중국의 黃龍祥 교수는 고전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경혈의 변천/변화 과정에 대해 밝혀주고 있다. 그의 책 <針灸腧穴通考>에서 정리하고 있는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骨度尺寸의 變化
腹部橫向 尺寸
1.腎經0.5寸,胃經1.5寸,脾經3.5寸:針灸甲乙經、千金要方、外台秘要、銅人腧穴針灸圖經、類經圖翼、明成化史素銅人圖、明正統仿宋銅人、湖北博物館銅人、東京博物館銅人
2.腎經臍上0.5寸臍下1.5寸,胃經臍上3寸臍下2寸,脾經4.5寸:針灸聚英
3.腎經1.5寸,胃經臍上3寸臍下2寸,脾經4.5寸:醫學入門
4.腎經/胃經臍上1.5寸臍下1寸,脾經4.5寸:針灸大成、趙文炳重刊銅人圖、明嘉靖銅人、清光緒銅人
5.腎經0.5寸,胃經臍上2.5寸臍下2寸,脾經4寸:針方六集
6.腎經/胃經臍上1.5寸臍下1寸,脾經臍上1.5寸臍下3.5寸:醫統大全、針灸大成、循經考穴編
7.腎經/胃經/脾經1.5寸:針灸資生經、經穴指掌圖
8.腎經臍上1.5寸臍下0.5寸,胃經臍上1.5寸臍下2寸,脾經臍上1.5寸臍下4.5寸:韓國德壽宮 소장 針灸銅人
經絡循行의 改變
1. 手太陰肺經:上臂部分原本在肱二頭肌尺側動脈應手處,宋朝以後改到橈側。
2. 手厥陰心包經:陰陽十一脈、足臂十一脈에서는 手少陰이라 지칭했는데,內經에서 手心主주,또 그 후에 手厥陰으로 개칭됨. 足厥陰肝經의 "厥陰"은 "陰器"의 의미였으므로, 본디 궐음은 下肢에만 있고 上肢에는 없었다.
3. 手少陰心經:원래는 靈道~神門의 구간뿐이었는데, 나중에 기타 경혈이 새로 추가되었다.
4. 足少陰腎經:膀胱經 내측의 곳이 원래의 腎經이었고, 腎經의 腹部의 그것은 원래 衝脈이었다.
5. 絡穴、郄穴、蹺脈、維脈의 발달은 경맥과 무관하며, 순행선에 없을 경우 그 분지로 처리하여 전환은 줄었다:列缺、公孫、豐隆、養老、浮郄、委陽、申脈、照海、交信、大鐘、會宗、陽交 등 포함
경혈 歸經의 變化
王燾 | 楊上善 | 王惟一 | 其他 | |
齦交 | 手陽明大腸 | 足陽明胃 | 督脈 | 督脈任脈(王冰) |
兌端 | 手陽明大腸 | 手陽明大腸 | 督脈 | |
耳門 | 足陽明胃 | 足陽明胃 | 手少陽三焦 | |
聽宮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
聽會 | 手少陽三焦 | 手太陽小腸 | 足少陽膽 | |
頭維 | 足少陽膽 | 足陽明胃 | ||
頷厭懸顱懸厘曲鬢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
上關 | 足陽明胃 | 足陽明胃 | 足少陽膽 | |
下關 | 足陽明胃 | 足陽明胃 | 足陽明胃 | |
絲竹空 | 足少陽膽 | 手少陽三焦 | 手少陽三焦(王冰) | |
瞳子髎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
攢竹 | 足太陽膀胱 | 足太陽膀胱 | 足太陽膀胱 | |
睛明 | 手太陽小腸 | 足太陽膀胱 | 手太陽小腸(王冰) | |
天池 | 足少陽膽 | 手厥陰心包 | 足少陽膽(王冰) | |
天容 | 手少陽三焦 | 足少陽膽 | 手太陽小腸 | |
天髎 | 手少陽三焦 | 手少陽三焦 | 手少陽三焦 | 手陽明大腸(千金) |
肩髎 | 手陽明大腸 | 手陽明大腸 | 手少陽三焦 | 手陽明大腸(千金) |
臑會 | 手陽明大腸 | 手陽明大腸 | 手陽明大腸 手少陽三焦 |
手太陰肺(千金) |
肩貞 | 手少陽三焦 | 手陽明大腸 | 手太陽小腸 | |
臑俞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手少陽三焦(千金) | |
天宗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手少陽三焦(千金) |
秉風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手陽明大腸(千金) | |
曲垣 | 手少陽三焦 | 手太陽小腸 | 手太陽小腸 | 手少陽三焦(千金) |
肩外俞 | 手少陽三焦 | 手少陽三焦 | 手太陽小腸 | 手少陽三焦(千金) |
肩中俞 | 手少陽三焦 | 足太陽膀胱 | 手太陽小腸 | 手少陽三焦(千金) |
肩井 | 手少陽三焦 | 手陽明大腸 | 足少陽膽 | 手陽明大腸(千金) |
雲門 | 足太陰脾 | 足太陰脾 | 手太陰肺 | 足太陰脾(聖惠) |
期門 | 足太陰脾 | 足厥陰肝 | ||
章門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足厥陰肝 | 足少陽膽(王冰) |
五樞 | 足少陽膽 | 帶脈 | 足少陽膽 | 足少陽膽(王冰) |
會陰 | 足少陰腎 | 任脈 | 足少陰腎 | |
會陽 | 足太陽膀胱 | 督脈 | ||
跗陽 | 足太陽膀胱 | 陽蹻 | 足太陽膀胱 | 足少陽膽(千金) |
申脈、僕參 | 足太陽膀胱 | 陽蹻 | 足太陽膀胱 | 足太陽膀胱(千金) |
照海、交信 | 足少陰腎 | 陰蹻 | 足少陰腎 | 足少陰腎(千金) |
三陰交 | 足太陰脾 | 足太陰脾 | 足太陰脾(千金) 足厥陰肝(產經) |
|
懸鐘、陽輔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足少陽膽 | 足陽明胃 |
경혈 歸經의 順序變化
足陽明胃經
1. 承泣、四白、巨髎、地倉、大迎、頰車、下關、頭維、人迎:十四經發揮
2. 頭維、下關、頰車、承泣、四白、巨髎、地倉、大迎、人迎:銅人腧穴針灸圖經、針灸大成、大本瓊瑤神書、醫經小學、針灸問對、醫學統宗、針方六集、經穴指掌圖、步穴歌、經穴豈止歌、承淡安人體經穴圖
足少陰腎經
1.然谷、太谿、大鐘、照海、水泉、復溜、交信、築賓:
銅人腧穴針灸圖經卷上、針灸甲乙經、外台秘要、十四經發揮、日本本間祥十四經穴圖、骨度正誤圖說
2.然谷、太谿、大鐘、水泉、照海、復溜、交信、築賓:
銅人腧穴針灸圖經卷下、千金要方、千金翼方、針灸資生經、明嘉靖銅人、明太醫院銅人圖、趙文炳刊銅人圖、施沛經穴指掌圖、董德懋銅人圖、程莘農中國針灸學
3.然谷、太谿、水泉、大鐘、照海、復溜、交信、築賓:
銅人腧穴針灸圖經附錄穴腧都數
4.然谷、照海、水泉、大鐘、太谿、交信、復溜、築賓:
中國計量院人體經穴模型、朱璉新針灸學、中國中醫研究院針灸學
5.然谷、照海、太谿、水泉、大鐘、復溜、交信、築賓:類經圖翼
6.然谷、太谿、照海、大鐘、水泉、交信、復溜、築賓:元代明堂圖
黃龍祥의 이해:然谷、水泉、太谿、復溜、築賓은 직접 하나의 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照海、交信은 음교맥에 속하고 낙혈인 大鐘은 원래 순행선 상에 있지 않아, 三者는 분지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手少陽三焦經
1.角孫、耳門、耳和髎、絲竹空:十四經發揮
2.角孫、絲竹空、耳和髎、耳門:銅人腧穴針灸圖經、醫學入門、十四經穴步穴歌、明嘉靖針灸銅人、靳賢修銅人圖
足少陽膽經
1.率谷、(天衝、浮白、竅陰、完骨)、(本神、陽白)、(臨泣、目窗、正營、承靈)、腦空
銅人腧穴針灸圖經、十四經發揮
2.率谷、(本神、陽白)、臨泣、目窗、正營、承靈)、(天衝、浮白、竅陰、完骨)、腦空
醫經小學、針灸捷徑、經穴指掌圖、十四經穴步穴歌、明成化史素銅人圖、明弘治丘濬銅人圖
穴道位置變化
1. 新舊兩版의 三陰交!!!
內踝上八寸은,足太陰(三陰)이 足厥陰의 앞으로 교차해 나오는 까닭에 "三陰交"穴이라 불렸고, 또足太陰交、厥陰交、三陰이라 명명되었다.
內踝上三寸은, 원래 千金要方 및 諸病源候論의 經外奇穴이어서, "足太陰"穴이라 불리고, 또한 三交、承命으로 불렸다.
產經、醫心方、千金要方、太平聖惠方:目錄、內容、圖 모두 內踝上八寸이다
針灸甲乙經(明刊本)、外台秘要、銅人俞穴針灸圖經,三陰交 내용에 內踝上三寸이라 했는데, 다만 目錄順序에 卻은 漏谷地機 사이이고, 顯示一開始仍為內踝上八寸
金元以後,內踝上三寸의 "足太陰"穴은 內踝上八寸의 "足太陰交"로 대체되고,새로운 三陰交가 되었다.
과거 三陰交(內踝上八寸)과 條口、承山、豐隆이 한가지로 局部疾病을 주치한다
새로운 三陰交(內踝上三寸)은 千金要方에 의거하자면 "足太陰"穴이 원래의 내용인데, 針經摘英集、針灸玉龍經에서는 婦科、腸胃、泌尿 등의 문제가 주치로 추가되어 주치범위가 확대된다.
2. 絕骨이 원래의 懸鐘、陽輔를 대체
오늘날의 懸鐘、陽輔의 위치는 "絕骨"인데 경혈의 원래의 위치가 아니다.
懸鐘은 원래 內踝上3寸인데, 다만 陽明經에 가깝고, 맥동이 만져지는 곳으로 胃病을 치료할 수 있다.
陽輔는 원래 內踝上7寸 腓骨 앞이며, 腓骨 위의 外丘、腓骨 뒤의 陽交와 같은 높이이다
3. 大都、太白、公孫의 位置順序는 모두 바뀌었다
大都는 원래 本節 뒤인데(현재의 太白), 본절 전으로 옮겨졌다.
公孫은 원래 本節後一寸인데(현재의 太白 公孫 사이), 核骨下로 물러났다.
太白은 원래 核骨下인데(현재의 公孫), 本節後로 물러났다.
4. 그리하여 手三陰의 循行은 바뀌게 되고, 경혈명도 바뀌었다
尺澤은 원래 大筋 尺側인데(현재의 曲澤), 맥동이 만져지고 방혈도 가하므로 尺澤이라 불리게 된다
曲澤은 원래 肘橫紋 尺側인데(현재의 少海), 바로 肘橫紋 橈側의 曲池와 마주하고 있어 曲澤이라 불린다
尺澤、曲澤이 오늘의 위치로 물러난 후에, 원래의 빈자리는 少海(手少陰)로 바뀌고, 小海(手太陽)는 원래 취약한 곳으로 위치는 바뀌지 않았다.
天府、俠白은 원래 똑같이 肱二頭肌 尺側에 있고 맥동이 느껴지는 곳인데. 함께 橈側으로 물러났다.
5. 犢鼻는 원래 髕骨下 韌帶 정중앙인데, 唐代 이후 外膝眼의 위치로 물러났다.
6. 合谷은 원래 양 歧骨 사이인데(오늘날 董氏奇穴의 靈骨穴 위치에 해당), 점차 遠端으로 옮겨가 요측의 현 위치로 옮겨갔다
7. 陽池도 현 위치로 물러났는데, 원래의 위치는 기혈인 中泉으로 대체되었다
8. 井穴:內經에서는 湧泉이 足心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少商 隱白은 爪甲旁外에, 大敦은 爪甲正後에, 기타는 모두 指尖에 있었고, 少衝은 존재하지 않았다. 黃帝明堂經은 指尖의 井穴을 爪甲旁으로 조정하고 새로 少衝을 추가하였다.
9. 啞門、神庭은 원래 髮際上인데, 후에 上0.1寸、0.2寸이었다가 最終 현재의 0.5寸으로 옮겨졌다
10. 肘髎는 원래 尺骨 鷹嘴突과 橈骨小頭 사이인데(현재의 奇穴 肘俞), 肘上一寸으로 물러났다.
11. 消濼은 원래 三角肌內側頭長頭 교점이었다가, 肘尖上5寸으로 물러났다. 清淩淵은 肘尖上3寸에서 2寸으로 바뀌었다. 清淩淵의 別名은 青靈淵인데, 잘못 베낀 青靈은 心經이 되고 肘尖上3寸으로 바뀌었다.
12. 支溝는 正中線에 아무 문제도 없는데, 會宗은 偏尺側、偏橈側이라는 理論 모두 있다
13. 箕門、髀關은 體表解剖 定位가 되어야 하는데, 骨度折量法으로 잘못잡혔다.
穴道名稱變化
1. 承扶 원명은 扶承
2. 中都 원명은 中郄 ~ 이런 식의 변경을 쉬이 보여주는 것이 郄穴
3. 神闕 원명은 臍中
4. 上中下脘의 원명은 上中下管
5. 鳩尾、會陰의 별명은 모두 尾翳이고, 임맥의 絡病에 이르고, 동시에 이 양개 경혈의 주치이기도 하다
6. 氣衝 원명은 氣街
7. 中極은 宋代 이후 "玉泉"이라 지침
經外奇穴이 經內腧穴로 바뀜
0. 靈樞、素問:
(0) 標脈:人迎(胃標)、扶突(大腸標)、天窗(小腸標)、天容(膽標)、天牖(三焦標)、天柱(膀胱標)
(1) 本脈 -> 五俞穴(手少陰心經 불포함)
(2) 絡穴
(3) 下合穴:上巨虛、下巨虛、委陽
(4) 膈俞 및 五臟背俞
(5) 其他部位
頭頸:聽宮、完骨、啞門、風府、天突
上肢:天府、支正、肩貞
下肢:氣街(후에 氣衝 개명)、犢鼻(髕韌帶上)
胸腹:大包、關元、神闕、鳩尾
腰背:長強、腰俞
1.黃帝明堂經、針灸甲乙經:349穴
(1) 手少陰心經 五俞穴
(2) 郄穴
(3) 蹻維帶:照海、申脈、陽交、築賓、跗陽、交信、帶脈、五樞、維道
(4) 募穴、六腑背俞
(5) 其他穴位按照部位排列:頭、面、頸、肩、胸、脅、腹、腰背、臂、腿
靈台、腰陽關은 素問氣府論(王冰注)에서 나온다
厥陰俞、膏肓俞은 千金要方,千金翼方에 나오며、醫心方에도 역시 수록
青靈은 본래 이 그림에는 경혈이 없다.
3. 針灸資生經:365穴
督俞、氣海俞、關元俞、眉衝 太平聖惠方에서 나옴
風市는 肘後備急方,千金要方、千金翼方、醫心方에도 收錄
以上 五穴은 針灸大成에 남겨지고, 以下 六穴은 제외된다
神聰은 四神聰으로, 膝眼은 內外膝眼으로 複合奇穴이 되고,
明堂은 上星穴의 別名、當陽은 頭臨泣의 別名、前關은 瞳子髎의 別名이 되고,
脅堂은 外台秘要에 나오는데, 極泉下2寸이다
4.針灸大成:359穴
5.類經圖翼:356穴
中樞는 素問氣府論에 나옴(王冰注)
急脈은 素問氣府論에 나옴(王冰注),奇穴羊屎와 함께 闌門極에 가깝다
6.醫宗金鑑:360穴, 현재와 비교해 風市가 빠짐
7.針灸逢源:361穴,현재와 동일
靈台、腰陽關、中樞는 처음 출현했을 때는 穴名만 있고 主治는 없었는데, 이 세 혈을 삭제하면 독맥은 명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홀수의 척추에 혈자리가 있어 분포가 비교적 합리적이다.
部位와 경혈이 同名인 誤解
骨會 大杼는 大杼骨(大椎穴)로 大杼穴은 아니다
大包는 원래 淵腋脈(極泉穴)下三寸인데, 淵腋穴下三寸으로 잘못 알기 쉽다
廉泉脈은 舌下 絡脈으로 放血(金津玉液)이 가한데, 舌骨上의 廉泉穴과 다르다
"呂細"는 跟腱 및 그 주위 경혈인데 단지 太谿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標本 根結
寸口脈(經渠太淵) 腋下脈(天府俠白)
心主脈(大陵) 腋下脈(天池)
神門脈(神門) 岀腋脈(極泉)
陽谿脈(陽谿合谷) 大迎脈(大迎)
腕踝脈(陽池中渚) 耳後脈(契脈顱息)
腕踝脈(陽谷養老) 目上脈
厥陰脈(太衝) 股內脈(急脈陰廉)
太陰脈(太白三陰) 股內脈(箕門)
少陰脈(太谿) 舌下脈(金津玉液)
陽明脈(衝陽) 兩頰脈(巨髎)
少陽脈(丘墟) 兩顳脈(太陽)
太陽脈(崑崙)
竇氏針灸增加穴道主治的貢獻
1. 豐隆、巨闕 祛痰
2. 陰郄 汗症을 치료
3.內關 胃病을 치료(이전에는 心病만 치료)
4.中衝은 退熱에 쓰이는 경혈에서 急救에 쓰이는 경혈로 바뀜
'동의학 이야기 > 경락, 경맥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뜸의 개념, 이론, 문헌 등의 연구성과(중국) (0) | 2025.03.27 |
---|---|
귀안혈(鬼眼穴)에 대하여 (0) | 2025.03.21 |
五輸穴과 글로뮈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펌] (3) | 2024.10.22 |
황제내경 이전의 침뜸 고전 : <十一脉灸经> 2책 (0) | 2023.06.03 |
경락과 침구 : 어제와 오늘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