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코로나폐렴의 중의학치료/ 신형코로나폐렴 진료가이드라인(3)ᆢ 중국
신형코로나폐렴 진료가이드라인(3)ᆢ 중국
*아래 자료는 중국 당국이 공식적으로 코로나폐렴에 대한 진료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지침의 최근판이다. 중국 예이긴 하지만, 현장감 있는 진료지침으로 병증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중의학적 치료방침도 제시하고 있어 관심있게 볼 만하다. 중의학 접근에서 침구치료가 제외되어 있어 아쉽기는 하지만ᆢ
물론 우한컨테이너의원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의 경우 침구치료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추후 그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 질 것이다.
자료가 길어 3회에 걸쳐 나누어 올려둡니다. 그 중 세번째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중의학에 의한 치료
신형코로나바이러스 폐렴은 중의학 역(疫)의 범주에 속하며, 병인은 역귀(疫戻)의 기에 감염되는 것이다. 각지에서는 병상, 기후 특징, 환자의 체질 차이에 따라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참고로 변증논치를 할 수 있다. 중국약전의 기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의사의 지도하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1) 의학관찰기
-임상 증상 1: 위장의 부조를 동반한 권태감胃
-권장되는 중약제제: 藿香正気캅셀 (丸剤、水剤、内服液)
-임상 증상 2: 발열을 수반하는 권태감
-권장되는 중약제제 : 金花清感顆粒、連花清瘟캅셀(顆粒)、疏風解毒캅셀(顆粒)
2) 임상치료기 (확정증례)
2-1. 清肺排毒湯
-적용되는 환자의 범위: 각 지역 의사의 임상관찰과 결합하여 경증, 중등증, 중증환자에게 적용한다. 위독한 환자의 치료에 대해서는 실제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사용한다.
-기초방제 : .麻黄 9g、炙甘草 6g、杏仁 9g、生石膏 15~30g(先煎)、桂枝 9g、澤瀉 9g、猪苓 9g、白朮 9g、茯苓 15g、柴胡 16g、黄芩 6g、姜半夏 9g、生姜 9g、紫菀 9g、冬花 9g、射干 9g、細辛 6g、山薬 12g、枳実 6g、陳皮 6g、藿香 9g。
-복용법: 생약을 물에 달여서 1일 1제를 아침저녁(식후 40분) 각 1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사흘간를 1쿠르로 한다.
조건이 되면 매번 복용 후 쌀죽을 반공기씩 마신다. 혀가 마르고 진액이 부족한 환자는 한 공기의 찻잔을 마신다.(주: 발열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는 생석고 용량을 줄이고 발열이나 고열일 경우에는 용량을 늘린다.) 증상이 개선되었으나 완치는 되지 않은 환자에 대해서는 2쿠르를 복용한다. 환자에게 특수한 사정이나 기초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실제 상황에 따라 2쿠르째의 처방 내용을 조정하고 증상이 사라지면 복용을 중지한다.
*처방출처 : 国家衛生健康委弁公庁 国家中医薬管理局弁公室『中西医結合新型코로나바이러스肺炎治療에서「清肺排毒湯」使用권장에 관한 通知』(国中医薬弁医政函 [2020]22 号).
2-2 경증
(1) 寒湿鬱肺証
-臨床症状:발열, 권태감, 전신근육통, 기침, 객담, 가슴 답답, 숨쉬기힘듦, 식욕부진, 소화불량, 구역질, 구토, 변이 끈적거림. 설질은 담색, 종대, 치흔이 있으며 색깔은 분홍색. 설태는 白厚腐膩 또는 白膩.맥은 濡 또는 滑.
-권장처방 : 生麻黄 6g、生石膏 15g、杏仁 9g、羌活 15g、葶苈子 15g、貫衆 9g、地龍 15g、徐長卿 15g、藿香 15g、佩蘭 9g、蒼朮 15g、雲苓 45g、生白朮 30g、焦三仙各 9g、厚朴 15g、焦檳榔 9g、煨草果 9g、生姜 15g。
-복용법: 1일 1제, 600ml의 물로 달여서 아침, 점심, 저녁 3회로 나누어 식전에 복용한다.
(2) 湿熱蘊肺証
-임상 증상 : 미열 혹은 평열, 미오한, 권태감, 두중, 몸이 무거움, 근육통, 객담의 적은 건성 기침, 인두통, 구갈로 인해 수분을 섭취하지 않음, 때로 가슴 답답함, 땀이 없든가 나옴, 구역질, 식욕부진, 변이 느슨하거나 변이 끈적이고 배변 불쾌. 혀는 분홍색, 설태는 白厚膩 또는 또薄黄. 맥은 滑数 또는 濡.
-권장처방:檳榔 10g、草果 10g、厚朴 10g、知母 10g、黄芩 10g、柴胡 10g、赤芍 10g、連翹 15g、青蒿 10g(後下)、蒼朮 10g、大青葉 10g、生甘草 5g。
-복용법: 1일 1제, 400ml의 물로 달여서 아침저녁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하다.
2ㅡ3 중등증
(1) 湿毒鬱肺証
-임상증상 : 발열, 객담 적은 기침, 때로는 누런 객담, 숨쉬기 어렵고 호흡 거침, 복부 팽만감, 변비, 배변 곤란 경향. 혀는 암적색, 腫大, 설태는 黄膩 또는 黄燥. 맥은 滑数脈 혹은 弦滑.
-권장처방 : 生麻黄6g、苦杏仁15g、生石膏30g、生薏苡仁30g、茅蒼朮 10g、広藿香15g、青蒿草12g、虎杖20g、馬鞭草30g、乾芦根30g、葶藶子15g、化橘紅15g、生甘草10g。
-복용법 : 1일 1제, 400ml의 물로 달인 후 아침 저녁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2) 寒湿阻肺症
-임상증상 : 미열, 신열불양(열감이 있지만 체표부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는 발열하지 않는다. 객담이 적은 건성기침, 권태감, 가슴 답답함, 위팽만감 또는 구역질 구토, 설사. 설질은 淡 또는 핑크, 설태는 白 또는 白膩, 맥은 濡.
-권장처방 : 蒼朮15g、陳皮10g、厚朴10g、藿香10g、草果6g、生麻黄6g、羌活10g、生姜 10g、檳榔10g.
-복용법: 1일 1제, 400ml의 물로 달인 후 아침 저녁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2ㅡ4 중증
(1) 疫毒閉肺証
-임상증상 : 발열하고 얼굴이 붉고, 기침, 객담은 적고 누렇게 끈적거리거나 또는 객담에 피가 섞이고 호흡곤란감, 피로권태감, 입은 마르고, 쓴맛, 오심, 먹지못함, 배변곤란경향, 요량은 적고, 색은 깊은 황색이나 붉은 기를 띠고 있다. 혀는 빨강, 설태는 黄膩, 맥은 滑数.
-권장처방 : 化湿敗毒方
-기초방제 : 生麻黄6g、杏仁9g、生石膏15g、甘草3g、藿香10g(後下)、厚朴10g、蒼朮 15g、草果10g、法半夏9g、茯苓15g、生大黄5g(後下)、生黄耆10g、葶藶子10g、赤芍 10g.
-복용법 : 하루에 1-2제를 물로 달여서 100-200ml/회를 1일 2-4회 복용하거나 경비 투여한다.
(2) 気営両燔証
-임상증상 : 고열로 심한 구갈, 호흡곤란, 의식이 혼탁해지고 잠언 나오며, 사물이 잘 보이지 않음. 때로 발진, 토혈객혈, 코출혈,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혀는 진홍, 설태는 적거나 무태, 맥은 沈細数, 혹은 浮大 또는 数.
-권장처방 : 生石膏30~60g(先煎)、知母30g、生地30~60g 水牛角30g(先煎) 赤芍30g 玄参30g 連翹15g 丹皮15g 黄連6g 竹葉12g 葶藶子15g 生甘草6g
-복용법 : 1일 1제, 물로 달인다. 석고와 물소뿔을 먼저 달이고 나중에 남은 생약을 넣는다. 100~200ml/회, 일 2~4회 복용 또는 경비 투여한다.
-권장되는 중약제제 : 喜炎平(Xiyanping) 주사액、血必浄(Xuebijing)주사액、熱毒寧(Reduning) 주사액、痰熱清(Tanreqing) 주사액、醒脳静(Xingnaojing) 주사액. 효능을 보이는 중약제라면 환자의 상황에 따라 1가지를 선택, 임상증상에 따라 2가지를 병용하여 사용해도 좋다. 중약주사액과 생약탕액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2ㅡ5 重篤
内閉外脱証
-임상증상 : 호흡곤란, 움직이면 숨이 차거나 환기요법이 필요, 섬망, 불안, 흥분, 땀이 나고 사지가 시리다, 혀는 자암(舌), 설태는 厚膩 또는 燥, 맥은 浮大하고 無根.
-권장처방 : 人参 15g、黒順片 10g(先煎)、山茱萸 15g.
상기를 달인 탕액에 중약의 蘇合香丸 또는 安宮牛黄丸을 함께 복용한다.
환기요법 실시 시 복부 팽만, 변비 등을 동반한 사람은 생대황 5~10g을 사용할 수 있다. 환자-인공호흡기 비동조가 발생하여 진정제, 근육이완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生大黄 5~10g, 芒硝 5~10g을 사용할 수 있다.
-권장 중약제 : 血必浄(Xuebijing)注射液、熱毒寧(Reduning)注射液、痰熱清(Tanreqing)注射液、醒脳静(Xingnaojing)注射液、参附(Shenfu)注射液、生脈(Shengmai)注射液、参麦(Shenmai)注射液. 효능이 가까운 중약제라면 환자의 상황에 맞추어 1종류를 선택, 임상 증상에 따라서는 2종류를 병용해도 좋다. 중약주사액과 생약탕액은 합쳐서사용할 수 있다.
*주: 중증과 중증증례에서 권장되는 중약주사제의 용법
중약주사제의 사용은 약품설명서에 따라 소량부터 시작하고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권장되는 용법은 다음과 같다.
-바이러스 감염 또는 가벼운 세균감염 합병의 경우 :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250ml+喜炎平(Xiyanping) 주사액 100mg bid 또는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250ml+熱毒宁(Reduning)주사액 20 ml、또는 0.9%塩化나트륨 주사액 250 ml+痰熱清(Tanreqing) 주사액 40 ml bid.
-고열로 의식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250ml+醒脳静(Xingnaojing) 주사액 20ml bid.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 및 (또는) 다장기 기능 부전의 경우: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250ml+血必浄(Xuebijing) 주사액 100ml bid.
-면역억제의 경우 : 포도당주사액 250ml+参麦주사액 100ml 또는 生脈(Shengmai) 주사액 20~60 ml bid.
2ㅡ6 회복기
(1) 肺脾気虚証
-임상증상 : 숨이 짧고 피로 권태감, 식욕부진, 구역질, 흉복부 곤란, 배변에 힘이 들어가지 않음, 변이 헐거워 배변불쾌, 혀는 담(淡), 腫大, 설태는 白膩.
-권장처방 : 法半夏 9g、陳皮 10 g、党参 15 g、炙黄耆 30 g、炒白朮 10 g、茯苓 15 g、藿香 10 g、砂仁 6 g(後下)、甘草 6 g
-복용법: 1일 1제, 400ml의 물로 달여서 아침저녁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하다.
(2) 気陰両虚証
-임상 증상 : 피로, 호흡 곤란, 입 건조, 구갈, 두근거림, 다한, 미열 또는 평열, 객담의 적은 건성기침. 혀는 건조하고 수분이 부족하며 맥은 가늘거나 허, 무력하다.
-권장처방 : 南北沙参各 10 g、麦冬 15 g、西洋参 6g、五味子 6 g、生石膏 15 g、淡竹葉 10 g、桑葉 10 g、芦根 15g、丹参 15 g、生甘草 6 g.
-복용법 : 1일 1제, 400ml의 물로 달여서 아침저녁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11> 퇴원기준 및 퇴원 후 주의사항
1. 퇴원기준
(1) 체온이 정상적으로 회복되고 3일 이상이다.
(2) 기도 증상이 확연히 개선되고 있다.
(3) 폐부 화상진단에서 급성 삼출성 병변이 분명히 개선되고 있다.
(4) 연속 2회 객담, 비인두닦이액 등 기도샘플의 핵산 검사가 음성(샘플채취 간격은 24시간 이상).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자는 퇴원이 가능하다.
2. 퇴원 후의 주의사항
(1) 지정의료기관은 환자 거주지 지역의료기관과 연락하여 진료기록카드 자료를 공유하고, 적시에 퇴원환자 정보를 환자 관할구 또는 거주지 거민위원회와 지역 의료위생기관에송부하다.
(2) 환자는 퇴원 후 계속 14일간 격리관리와 건강상황 감시, 마스크 착용토록 한다. 조건이 되면 통풍이 잘되는 개인실에 거주하며, 가족과의 근거리에서의 농후한 접촉을 줄이고, 가족과는 별도로 음식을 먹고, 손 위생을 위해 노력하고, 외출하여 활동하는 것은 피한다.
(3) 퇴원 후 2주차, 4주차에는 진료를 받는다.
<12> 이송원칙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발행한 '신형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폐염증례 이송 실시 가이드라인'(시행)에 따라 집행한다.
<13> 의료기관의 원내 감염 예방과 대책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발행 '의료기관 내 신형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대책 기술 매뉴얼(제1판)', '신형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폐렴 방호 중의 표준적 의료용 방호용품 사용 범위안내(시행)'의 규정에 엄격하게 준거하여 집행한다.
中華人民共和国国家衛生健康委員会弁公庁 中国国家中医薬管理局弁公室
2020 年 3 月 3 日
.....................
블로그의 다른글 참조
신형코로나폐렴 진료가이드라인(1)ᆢ 중국
중국의 신형코로나폐렴 진료가이드라인(1) *아래 자료는 중국 당국이 공식적으로 코로나폐렴에 대한 진료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지침의 최근판이다. 중국 예이긴 하지만, 현장감 있는 진료지침으로 병증을 이..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