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문 (中風門)
중풍문 (中風門)
KOL200200413 古7671-106
中風門 / [編者未詳]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62張); 23.5 x 15.4 cm
중풍(中風), 풍비(風痹), 상한(傷寒), 혈(血), 몽(夢), 성음 (聲音) 등에 관련된 질병의 원인 및 증상을 밝히고 그에 합당한 처방을 제시한 전문 의서이다. 필사자는 알 수
없으며, 언제 필 사했는지 정확치는 않으나 1884년부터 시작한 천세력이 본문 뒤 여백에 기재되어 있다.
내용의 구성을 보면 중풍문(中風門)에서는 졸중구급문(卒中救 急門), 폭부문(暴仆門), 정신몽매(精神蒙昧), 구안괘사(口眼喎 斜), 담연옹성(痰涎壅盛), 중풍열증(中風熱證), 중풍허증(中風虛 證) 등의 병증과 소속명탕(小續命湯), 소풍탕(疎風湯), 양영탕 (養榮湯),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성풍탕(省風湯), 통개산(通 開散), 신력탕(腎瀝湯), 해어환(解語丸) 등의 처방을 소개하였다.
풍비문(風痹門)에서는 역절풍(歷節風), 파상풍(破傷風)을, 상한문(傷寒門)에서는 소양형증(少陽形症), 태음형증(太陰形症), 소음형증(少陰形症), 궐양형증(厥陽形症), 음증(陰症), 표증(表 症), 명리증(明裏症), 반표반리(半表半裏), 음궐(陰厥), 음양궐 (陰陽厥) 등을 수록하였다. 혈문(血門)에서는 음혈생어수곡(陰 血生於水穀), 혈위기배(血爲氣配), 칠정동혈(七情動血), 내상실 혈(內傷失血), 구혈토혈(嘔血吐血), 박궐증(薄厥症), 뇨혈(尿 血), 실혈현훈(失血眩暈) 등을, 몽문(夢門)에서는 혼침다수(昏沉 多睡: 加味溫膽湯), 신중기와(身重嗜臥) 등을 소개하였다. 성음문(聲音門)에서는 잡병실음(雜病失音), 폐주성위언(肺主聲爲言), 진액문(津液門)에서는 도한(盜汗), 두한(頭汗), 수족(手足), 음한(陰汗), 망양(亡陽), 무한(無汗), 회진(迴津), 담음(痰飮), 한 담(寒痰), 습담(濕痰), 열담(熱痰), 울담(鬱痰), 울화(鬱火), 기 담(氣痰), 식담(食痰), 주담(酒痰), 경담(驚痰), 외증(外症), 제 증(諸症), 변색(辨色), 유냉(流冷), 사수(似祟), 담궐(痰厥), 담괴(痰塊), 담음(痰飮), 담음통치(痰飮通治), 제담(諸痰) 등을 제시하였다.
그밖의 내용으로는 두(頭), 면(面), 안(眼), 이(耳), 비(鼻), 구설(口舌), 아치(牙齒) 등의 인체외형을 다루었다. 그리고 잡병으로는 통풍(痛風), 체(滯), 유풍(遊風), 반진(斑疹), 상 한(傷寒), 식수(食嗽), 담수(痰嗽), 곽란(癨亂), 심통(心痛), 심비(心脾), 복통(腹痛), 서(暑), 학질(瘧疾), 이질(痢疾), 습문(濕門), 비만(痞滿), 사(瀉), 탄산(呑酸), 오달(五疸), 열종(熱腫), 허종(虛腫), 심복(心 腹), 요통(腰痛), 산증(疝症), 각기(脚氣), 소갈(消渴), 조결(燥結), 화증(火症), 치열(治熱), 협통(脇痛), 몽읍(夢泣), 항(肛), 내상(內傷), 식열(食熱), 적취(積聚), 담비(痰痞), 혈괴(血塊), 추충(追虫) 등 38종의 병증을 제시하였다.
내용상으로 보아 본 필사본은 허준의 �동의보감�「내경편(內景篇)」과 「외형편(外形篇)」, 「잡병편(雜病篇)」 중 중요한 부분만 발췌하여 필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풍문(中風門)은 잡병편 권2, 상한문(傷寒門)은 잡 병편 권2-3, 혈(血), 몽(夢), 성음(聲音), 진액(津液), 담음문(痰飮門)은 내경편 권2, 두(頭), 면(面), 안 (眼)은 외형편 권1, 외형편 권2에서는 이(耳), 비(鼻), 구설(口舌), 아치(牙齒) 등을, 그 밖의 병증은 잡병편에서 고루 발췌하여 작성한 것이다.
형태적으로 보면 총 62장 1책으로 표지에는 중풍문(中風門)이라는 서명이 한자로 필사되어 있고 표지 다음에 목차 없이 바로 내용이 시작된다. 책지(冊紙) 배면(背面)에는 다른 소유자가 천세력 등을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해제본은 �동의보감�에서 중요한 병증이나 처방 등을 발췌하여 필사한 점에 있어서는 이 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필사자 본인이 서명을 정하고 이름을 밝히지 않은 점과 발 췌본의 출처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 (김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