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거강 (依原擧綱)
의원거강 (依原擧綱)
依原擧綱 / 水鏡居士 著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121張) : 四周雙邊 半郭 18.2 x 12.4 cm, 10行18字 註雙行, 無魚尾; 21.4 x 15.9 cm
序 : 歲在黃鷄(?)...水鏡居士
이 책은 수경거사(水鏡居士)가 편찬한 필사본으로 인체의 모든 질병에 대한 증상과 맥법, 처방 등을 기술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간략의서이다.
찬자의 서문은 기재되어 있으나 수경거사(水鏡居士)가 어느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내용을 보면, 풍(風)에서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오약순기탕(烏藥順氣湯) 등 21종의 처방, 한(寒)에서는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소시호탕(小柴胡湯) 등 45종, 서(暑)에서는 소서패독산(消暑敗毒散) 외 5종, 습(濕) 은 위지출환(胃只朮丸), 이묘산(二妙散), 조(燥)는 지 선전(地仙煎) 외 2종, 화(火)는 사군자탕 외 11종, 내상 (內傷)은 지출환(只朮丸) 외 13종, 허로(虛勞)는 팔물 탕(八物湯) 외 7종, 담(痰)은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외 11종, 신(身) 경옥고(瓊玉膏) 외 2종, 정(精)은 황 련청심음(黃蓮淸心飮) 외 7종, 기(氣) 8종, 신(神) 7종, 혈(血) 11종, 두(頭) 4종, 면(面) 4종, 안(眼) 자음지 황원(滋陰地黃元) 외 3종, 간(肝) 1종, 심(心) 1종, 비 (脾) 2종, 폐(肺) 2종, 신(腎) 5종, 담(膽) 2종, 위 (胃) 3종, 소장(小腸) 1종, 대장(大腸) 2종, 방광(膀 胱) 4종, 삼초(三焦) 1종, 포(胞) 7종, 고(蠱) 4종, 이 (耳) 2종, 비(鼻) 3종, 구설(口舌) 8종, 아치(牙齒) 4종, 인후(咽喉) 3종, 경항(頸項) 2종, 배(背) 3종, 흉(胸) 3종, 유(乳) 2종, 제(臍) 3종, 복(腹) 4종, 요(腰) 6종, 피(䏢) 7종, 수(手) 6종, 족(足) 9종, 피(皮) 4종, 육(肉) 2종 등의 처방을 기술하였다.
맥(脈)에서는 자연과 인체를 비교하여 인간의 신체는 이의(二儀)와 오행(五行)으로 갖추어져 있다고 하면서 하늘의 양기(陽氣)가 위기(衛氣)가 되고, 땅의 음기(陰氣)가 영혈(榮血)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남(南)은 화(火)로 사람의 소장(小腸)이며, 북(北)은 수(水)로 신(腎)과 방광(膀胱)에 해당되며, 동(東)은 목(木)이요 간(肝)과 담(膽)이고, 서(西)는 금(金)이 요 폐(肺)와 대장(大腸), 중앙(中央)은 토(土)이며 비위(脾胃)라고 하였다. 이 오행에 맥을 비유하여 혈맥을 설명하였으며, 질병의 진단을 상세히 기술하였다.[南北政五行運脈]
다음에는 다시 질병에 관련한 근(筋) 2종, 골(骨) 2종, 모발(毛髮) 2종, 전음(前陰) 6종, 후음(後陰) 사 물해독탕(四物解毒湯) 외 7종, 소변(小便) 27종, 대변(大便) 22종, 곽란(癨亂) 3종, 구토(嘔吐) 6종, 해수 (咳嗽) 17종, 소갈(消渴) 5종, 황달(黃疸) 9종, 적취(積聚) 17종, 부종(浮腫), 창만(脹滿), 해학(痎瘧), 온 역(瘟疫), 사수(邪祟), 옹저(癰疽), 제창(諸瘡), 몽(夢), 성음(聲音), 언어(言語), 진액(津液), 토(吐), 하(下), 부인(婦人), 소아(小兒), 제상(諸傷), 해독(解毒), 구급(救急), 괴질(怪疾) 등 총 79종의 병증을 소 개하여 맥의 증상과 병증을 설명한 뒤 그 질병에 해당되는 처방명과 조제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팔진신방(八陣新方)으로 보진(補陣), 화진(和陣), 산진(散陣), 열진(熱陣), 고진(固陣), 인진(因陣) 등을 소개하였으며, 난산(難産)을 치료할 수 있는 신방(神方), 촉잉환(促孕丸), 찰색법(察色法), 신방(神方) 등을 소개하였다.
내용구성은 �동의보감�의 잡병편의 체계를 따랐으나 연결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대변(大便)과 곽란 (癨亂) 사이에 목록의 순서를 따르지 않고 잉부상복약(孕婦常服藥)과 계(鷄)의 단방약에 대해 설명이 되어 있다. 이는 필체가 다른 것으로 보아 소장자가 필사하여 삽입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형태적인 면을 살펴보면 장정은 오침안으로 표지에 ‘의원거강(依原擧綱)’이란 서명이 세로로 필사되었다. 표지 다음 장에는 연구악창신효단방(年久惡瘡神效單方)으로 청심환(淸心丸)이 기재되었으며, 다음에는 목록과 ‘歲在黃鷄暮春之晦 蓮花峯下 水鏡居士撰’이라는 수경거사(水鏡居士)의 서문이 있다.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에 10행으로 된 종이에 맞추어 내용을 필사하였다.
본 해제본은 서명에서 보여 주듯이 병의 원인에 따라 맥의 증상을 파악하고 그 진찰의 결과에 합당한 중요한 처방만을 엄선하여 소개한 의서이다. (김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