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진회통 (痘疹會通)
두진회통 (痘疹會通)
痘疹會通 / 曾鼎香田 簒 ; 曾炳蘇生 等校正 木板本
慶尙道 : 嶺營, 純祖 34(1834)
5卷 4冊 : 四周單邊 半郭 15.3 x 11.3 cm, 9行20字 註雙行, 上黑魚尾; 28.1 x 17.6 cm
序 : 時乾隆五十一年丙午(1786)...(淸)曾昇香田 序 : 乾隆五十一年丙午(1786)...高學謙 印文 : 李應寅印
정조(正祖) 10년(1786)경 회향전(曾香田)이 편찬한 두창(痘瘡)과 마진(麻疹)에 관한 의서로 순조(純祖) 34년(1834)에 영영(嶺營)에서 목판본(木板本)으로 간행하였다.
이 책은 총 5권4책으로 표지 우측에는 목차와 좌측에 �두진회통(痘疹會通)�이란 서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표제지에는 ‘甲午(1834)中夏鋟梓 / 痘疹會通 / 嶺營藏板’이라 하여 우측하단에 간기, 중앙에 서명, 좌 측하단에 간행처가 기록되어 있다. 표제지 다음에는 자서(自序)가 있으며, 자서 말미에 ‘乾隆五十一年丙午 (정조 10, 1786) 仲夏月旴江曾鼎香田氏自書於京邱之忠恕糖’이란 서문, 이어서 같은 해 가을에 쓴 고학겸 (高學謙)의 서문이 있다. 그 다음에는 범례(凡例)가 있다.
내용을 보면 권1에는 두원론(痘原論), 두분남북풍기론(痘分南北風氣論), 두마치법총론(痘痲治法總論), 관면부이단길흉(觀面部以斷吉凶), 간팔괘정두다과(看八卦定痘多寡)에서 협사론(夾痧論)까지 54항목의 두창과 마진에 관한 원인과 증상, 그리고 팔괘(八卦)로 병의 증상을 보는 법과, 얼굴 등에 나타난 형상을 보고 진찰하는 법 등의 이론을 밝히고, 또한 그림으로 표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권2에서는 두창과 마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증상, 즉 수포 ․혈포론(水泡 血泡論), 함복론(陷伏論)에서 분오경축일간법(分五經逐日看 法)까지 54항목의 병증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권3에서는 발열(發熱), 견점(見點), 기창(氣脹), 관농(貫膿), 결가수렴(結 痂收斂), 낙가여독(落痂餘毒) 등의 이론을 밝히고, 오색반가 (五色癍歌), 오형가(五形歌), 오색형가(五色形歌), 오색가(五 色歌), 소공료연가(邵公了然歌), 금경부(金鏡賦), 절제부(節制 賦) 등의 노래를 통해 신체에 나타난 여러 가지 형색을 기억하기 쉽도록 하였으며, 두증용약법(痘症用藥法)에서는 두창에 관련된 용약법을 기술하였다.
권4에서는 부록으로 소대선(邵 大仙)이 전수한 비방 12가지 처방과 두진(痘疹)에 사용될 약성 및 피해야 할 약재, 처방목록 등을 기술하였다.
권5에서는 부록으로 마진론(痲疹論), 마진변의부(痲疹辨疑賦), 마진경중 불치론(痲疹輕重不治論), 마자정치론(痲子程治論), 치마자법조 목(治痲子法條目), 치마진제방목록(治痲疹諸方目錄), 치마진 27방(治痲疹二十七方), 부 두후안증론(附 痘後眼症論), 치두후 안증제방목록(治痘後眼症諸方目錄), 치두후안증 13방(治痘後眼症十三方) 등 10항목으로 나누어 마진(麻疹) 의 원인, 증상 및 처방 등을 기술하고, 마진을 치료할 수 있는 조목과 여러 가지 처방을 모아 목록으로 작성하였으며, 마진에 효력이 있는 처방 27종과 두진 후 안질 및 처방 등의 목록 및 13종의 처방을 작성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의서는 아니지만 당시의 두창과 마진의 치료과정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평가된다. (김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