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손보감(양성연년약이) (增損寶鑑(養性延年藥餌))
증손보감(양성연년약이) (增損寶鑑(養性延年藥餌))
增損寶鑑(養性延年藥餌) / [編者未詳]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4冊 : 行字數不定; 20.9 x 14.3 cm
表紙書名 : 增損寶鑑
편자를 알 수 없는 책으로 약방문을 모은 것이다. 권두에는 양성연년약이(養性延年藥餌)라 큰 글자로 기록하고 내용에 들어갔고, 표지의 서명은 증손보감(增損寶鑑)이다. 질병치료와 건강증진법에 관해서 쓴 책으로, 주로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을 중심으로 수록한 것이다. 필체가 여러 차례 변한 것으로 보아 한 사람이 전체를 필사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황지표지에 5침안법으로 편철되어 있다.
서미에 대자로 신형(身形), 정(精), 기(氣), 신(神), 대변 (大便), 소변(小便), 부인(婦人), 흉(胸), 유(乳), 복(腹), 제(臍), 요(腰), 협(脇), 피(皮), 육(肉), 맥(脈), 내상(內 傷), 허로(虛勞), 소아(小兒), 두(頭), 면(面), 안(眼), 이 (耳), 비(鼻), 구설(口舌), 아치(牙齒), 인후(咽喉), 두항 (頭項), 배(背), 수(手), 족(足), 모발(毛髮), 전음(前陰), 후음(後陰), 혈(血), 성음(聲音), 진액(津液), 담음(痰飮), 곽란(癨亂), 해수(咳嗽), 오장(五臟), 충(蟲)을 기록하여 내용을 구분하고 있다. 이어 이들 주제에 해당하는 처방, 해당 증상, 제법, 방제를 수록하였다.
더 자세하게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권1 신형(身形)에는 경옥고(瓊玉膏)를 위시하여 13방, 정(精)에는 금쇄사선단 (金鎖思仙丹)을 위시하여 32방, 기(氣)에는 칠기탕(七氣湯)을 위시하여 40방, 신(神)에는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을 위시하여 78방, 소변(小便)에는 만전목통산(萬全木通散)을 위시하여 71방, 대변(大便)에는 위풍탕(胃風湯)을 위시하여 147방, 부인(婦人)에는 고본건양단(固本建陽丹)을 위시하여 219방이 수록되었다.
권2 흉(胸)에는 수념산(手拈散)을 위시하여 62방, 유(乳)에는 누노산(漏蘆散)을 위시하여 22방, 복(腹)에는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을 위시하여 17방, 제(臍)에는 장생연수단(長生延壽丹)을 위시하여 7방, 요(腰)에는 청아원(靑娥元)을 위시하여 26방, 협(脇)에는 지각자산(枳殼煮散)을 위시하여 14방, 피(皮)에는 조세약(澡洗藥)을 위시하여 38방, 육(肉)에는 삼령원 (蔘苓元)을 위시하여 4방, 맥(脈)에는 자감초탕(炙甘草湯)을 위시하여 5방, 내상(內傷)에는 지출환(枳朮丸)을 위시하여 125방, 허로(虛勞)에는 보음산(補陰散)을 위시하여 86방, 소아(小兒)에는 용담탕(龍膽湯)을 위시하여 291방이 수록되었다.
권3 두(頭)에는 소풍산(消風散)을 위시하여 66방, 면(面)에는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을 위시하여 15방, 안(眼)에는 지황죽(地黃粥)을 위시하여 149방, 이(耳)에는 궁지산(芎芷散)을 위시하여 43방, 비(鼻)에는 황연통성산(黃連通聖散)을 위시하여 34방, 구설(口舌)에는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을 위시하여 42방, 아치 (牙齒)에는 세신탕(細辛湯)을 위시하여 40방, 인후(咽喉)에는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을 위시하여 55방, 두항(頭項)에는 모과전(木瓜煎)을 위시하여 6방, 배(背)에는 어한고(禦寒膏)를 위시하여 4방, 수(手)에는 강황산(薑黃散)을 위시하여 12방, 족(足)에는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을 위시하여 41방, 모발(毛髮)에는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을 위시하여 23방, 전음(前陰)에는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을 위시하여 85방, 후음(後陰)에는 오치산(五痔散)을 위시하여 77방이 수록되었다.
권4 혈(血)에는 생지황탕(生地黃湯)을 위시하여 82방, 몽(夢)에는 별리산(別離散)을 위시하여 10방, 성 음(聲音)에는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을 위시하여 20방, 언어(言語)에는 밀타승산(密陀僧散)을 위시하여 3방, 진액(津液)에는 조위탕(調衛湯)을 위시하여 29방, 담음(痰飮)에는 영계출감탕(苓桂朮甘湯)을 위시하여 56방, 곽란(癨亂)에는 강염탕(薑鹽湯)을 위시하여 68방, 해수(咳嗽)에는 길경탕(桔梗湯)을 위시하여 185방, 오장육부(五臟六腑)에는 청간탕(淸肝湯)을 위시하여 32방, 포(胞)에는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을 위시하여 73방, 충(蟲)에는 거삼시충원(去三尸蟲元)을 위시하여 23방이 수록되었다.
서미에는 대자로 신형(身形), 정(精), 기(氣), 신(神) 등으로 표기한 후 다시 작은 글자로 세분하였다. 허로(虛勞)를 예를 들면 음허(陰虛), 양허(陽虛), 구허(俱虛), 심허(心虛), 간허(肝虛), 비허(脾虛), 폐허 (肺虛), 신허(腎虛), 통치(通治)로 세분하였다. 소아(小兒)를 예를 들면 제창(臍瘡), 객오(客忤), 중악(中 惡), 야제(夜啼), 경간(驚癎), 급경풍(急驚風), 만경(慢驚), 급만경(急慢驚), 만비(慢脾), 요조경(夭弔驚), 전간(癲癎), 오장감(五臟疳), 제감(諸疳), 통치(通治), 감안(疳眼), 제열(諸熱), 적벽(積癖), 토사(吐瀉), 감 모풍한(感冒風寒), 담천(痰喘), 설리(泄痢), 통창(痛脹), 오연오경(五軟五硬), 해로(解顱), 어지행지(語遲行 遲), 발치불생(髮齒不生), 구배구흉(龜背龜胸), 체이(滯頤), 단독(丹毒), 제창(諸瘡), 단유(斷乳), 희두(稀 痘), 두창(痘瘡), 두진발반(痘疹發癍), 출두(出痘), 기창(起脹), 통치(通治), 해독(解毒), 욕법(欲法), 양법 (禳法), 인후(咽喉), 요통(腰痛), 경휵(驚搐), 구토(嘔吐), 설사(泄瀉), 담천(痰喘), 번갈(煩渴), 양(痒), 반란(斑爛), 뇨삽(尿澁), 변비(便秘), 도엽(倒靨), 흑함(黑陥), 호안(護眼), 멸반(滅瘢), 두후잡병(痘後雜病), 두후예막(痘後瞖膜), 전절(癲癤), 두후이질(痘後痢疾), 반진(㿀疹)으로 세분하였다.
질병발생 부위별로 증상에 따른 해당 약재를 선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자료이다. 곳곳에 적, 청, 황색으로 선 또는 점으로 요점을 밝힌 표시가 많다. 그러나 전반적이고 개괄적인 설명이 없으므로 의학에 정통한 전문가가 아니면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배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