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古醫書 해제

비급치험 (秘笈治驗)

지운이 2020. 5. 9. 21:40

비급치험 (秘笈治驗)


秘笈治驗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43張) : 16行20字; 29.2 x 17.0cm


이 책은 필사본으로 일부의 약재를 추출하여 그 질병에 따른 효용성과 처방법만 기록한 한의서이다.


1책 43장으로 장정은 4침안이다. 표지서명은 ‘비급치험(秘笈治驗)’이라 하여 왼쪽 상단에 세로로 묵서(墨書)되어 있다. 표지 뒷면에는 소화 6년 10월 25일에 등록한 등록번호 ‘고20809’라는 조선총독부도서관의 타원형 등록인이 날인이 되어 있으며, 문두에는 조선총독부장서인과 그 하단에 등록하기전의 소장자 습정재 (習靜齋)의 장서인이 상하로 날인되어 있다.


내용은 총 50종의 약재를 들어 각각의 효능과 처방을 기록하고 있다. 즉, 인삼(人蔘)에서 31항목, 당귀(當歸) 10, 황백(黃栢) 12, 대두(大豆) 19, 소두(小豆) 23, 마치현(馬齒莧) 14, 향부자(香附 子) 8, 대황(大黃) 11, 사과(絲瓜) 11, 동과(冬瓜) 9, 위령선(葳 靈仙) 12, 인동(忍冬) 10, 창포(菖蒲) 11, 포황(蒲黃) 13, 부평(浮萍) 9, 모서시(牡鼠屎) 14, 두구(頭垢) 15, 인시(人屎) 31, 인뇨(人尿) 32, 식염(食鹽) 29, 향유(香油) 28, 생강(生薑) 30, 총백(蔥白) 27, 대산 (大蒜) 7, 고삼(苦蔘) 17, 백초상(百草霜) 14, 애(艾) 14, 백반(白礬) 23, 서점자(鼠黏子) 10, 창이(蒼耳) 6, 비마자(蓖麻子) 14, 형개(荊芥) 11, 사상자(蛇床子) 7, 자소(紫蘇) 13, 행인(杏仁) 12, 도인(桃仁) 12, 정 화수(井華水) 20, 백비탕(百沸湯) 14, 황토(黃土) 6, 지룡시(地龍屎) 18, 복룡간(伏龍肝) 18, 유황(硫黃) 15, 마자(麻子) 17, 난발(亂髮) 28, 죽력(竹瀝) 14, 전라(田螺) 13, 양상진(樑上塵) 15, 조각(早角) 23, 비채(菲菜) 30, 백지(白芷) 35항목 등 총 50종의 약재를 들어 각각의 질병에 따른 효능과 처방법 835항 목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본 해제본은 타 본초서(本草書)와는 달리 약재의 형태나 약성을 다루지 않고 저자가 본초에서 경험했던 약재들 중 일부분만 추출하여 각 약재별로 질병에 따른 효용성과 처방법을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