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古醫書 해제

서씨침구대전 (徐氏鍼灸大全)

지운이 2020. 5. 9. 22:04

서씨침구대전(徐氏鍼灸大全)

徐氏鍼灸大全 / 徐鳳(元) 編 木板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37張) : 四周單邊 半廓 19.7 x 12.2 cm, 11行25字 註雙行, 上黑魚尾; 24.2 x 15.8 cm.


원대(元代)에 태의원(太醫院) 의원인 서봉(徐鳳)이 저술한 침구관련 의서이다. 1책 37장인 목판본으로 장정은 오침안이다. 표지에는 ‘서씨침구대전(徐氏鍼灸大全)’이라고 한자로 묵서되어 있다. 표지 다음 장에 의림발췌(醫林拔萃)라는 도판이 있다. 문두에는 신침태의원참정서씨침구대전 권지1(新鋟太醫院參訂徐氏鍼灸大全 卷之一)이라 하여 서씨침구대전(徐氏鍼灸大全)을 새롭게 목판으로 간행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 하단에는 강우 고당 서봉, 정서 편차(江右 古塘 徐鳳, 廷 瑞 編次)라고 편저자를 밝히고 있다. 권1에서 관칭(冠稱)으로 서명 앞에 ‘신침태의원참정(新鋟太醫院參訂)’이라 기재한 것과는 달리 권2에서는 동의어인 ‘신각태의원참정(新刻太醫院參訂)’으로 표현하였다. 본문 전체가 가부(歌賦)형식으로 이루어져 혈맥과 침구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 권1에서는 온 몸의 경혈을 기억하기 쉽도록 노래로 시작하는 주신경혈부(周身經穴賦)와 12경락을 구분하는 십이경본일맥가(十二經本一脈歌)가 표기되어 있으며, 다음에는 경혈기지가(經穴起止歌), 오십맥락가(十五脈絡歌), 경맥기혈다소가(經脈氣穴多少歌), 침구에 있어서 금기해야할 혈 등을 나타 내는 금침혈가(禁針穴歌)와 금구혈가(禁灸穴歌), 혈원가(血怨 歌)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으며, 또한 선인들의 비결인 구궁거신가(九宮居神歌), 태을인신가(太乙人神歌), 장상군천성비결가(長桑君天星秘訣歌), 마단양천성십이혈 및 치잡병가(馬丹陽天星十二穴 幷治雜病歌) 등과 사총혈가(四總穴歌), 치병십일증가(治病十一證歌), 유주지미가(流注指媺歌), 통현지요부(通玄 指要賦) 등 침구치료법이 소개되어 있다. 권2 표유부(標由賦)에서는 증구지법 묘용자침(拯救之法 妙用者針), 찰세시어천도 (察歲時於天道), 정형기어여심(定形氣於予心), 춘하수이자천 추동비이자심(春夏瘦而刺淺 秋冬肥而刺深) 등 경혈 및 침술기법 전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내용들은 명대 양계주(楊繼洲, 1522-1620)의 <침구대성(鍼灸大成)>에도 상세히 소개되어 있고, 1800년 초에 일본에서 간행된 원남양(原南陽 昌克, 1753-1820)의 <경혈휘해(經穴彙解)>에도 인용된 것 등으로 보아 원대 이후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침구학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준 가치 있는 자료로 판단된다. (김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