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의 중의학 이론 및 임상 연구
COVID-19의 중의학 이론 및 임상 연구
新型冠状病毒肺炎中医理论与临床探讨*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ory and Clinical Study on Novel Coronavirus Pneumonia(NCP)Infection
《医药导报》, 2020.03.012
项琼, 莫郑波, 宋恩峰/ 武汉大学人民医院中医科,武汉
通信作者 宋恩峰(1965-),男,山东汶上人,主任医师,博士生导师,博士,主要从事温病与中医肿瘤临床研究工作。E-mail:songef@126.com。
作者简介 项琼(1982-),女,湖北武汉人,主治医师,在读博士,主要从事中西医结合肿瘤及温病临床研究
요약 :
이 글는 중의학의 관점에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NCP)에 대해 논의하고 "湿毒疫"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이 중의 소속 범주로써 이 질환에 대해 병인병기, 증상 특성 및 임상 분류 등에 대한 이론적 토론을 통해 정리해 나간다. 중의학은 未病先防、既病防变을 주찰하며,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참여하고 치료하여 그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新型冠状病毒肺炎(Novel Coronavirus Pneumonia, NCP), WHO가 명명한 이름으로는 COVID-19(Corona Virus Disease 2019)은, 2019年12月에 武汉地区에서 발병하여 全国적으로 爆发하였다. 그 병원체는 新型冠状病毒(신형코로나바이러스)인데, 인간에게 감염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로서는 기존 교과서 및 참고 자료가 없고, 기존의 유효 약물 및 백신이 없다. 이처럼 이론과 임상경험이 제대로 없는 상황이므로 이 질환의 치료나 예방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中国疫病史鉴>의 기록에 의하자면, 西汉 시대 이래 지난 2000년 동안 중국에서 300건 이상의 전염병이 발생했으며, 중의학은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역할을 했으며 제한된 지역과 시간에 전염병의 확산을 통제했다.
NCP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저자는 질병의 이론적 증거를 분석하고, 저자가 있는 병원에서 확인된 NCP 사례의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湿毒疫"의 개념을 제안하고, TCM이론과 임상 실습을 밀접하게 통합하고, 이 유행병에서 일반적인 TCM 변증 유형화를 정리한다. 분류는 예방 및 치료 측면에서 NCP 제어에 매우 중요하다.
1 病名 및 病因의 기원
1.1 病名概念
国家卫生健康委员会는, 이 질병을 《中华人民共和国传染病防治法》 상의 乙类 传染病으로 분류하고 甲类 传染病에 의거해 예방 통제 조치를 취했다. 또한 이 질환을 잠정적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폐렴 또는 신형관상동맥폐렴으로 약칭하고 영문 명칭을 novel coronavirus pneumonia, 약칭 NCP라 한다.
《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2019-nCoV)诊疗快速建议指南(标准版)》[2]에는 中医中药에 의한 치료 지침 및 임상에서의 변증논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国家卫生健康委员会가 발표한 《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诊疗方案》试行第4版[3] 및 试行第5版[4]은, 中医药 치료의 구체적인 기도방안, 동시에 NCP를 중의약 이론 면에서 “疫病”의 범주로 분류하고, 疫疠의 气에 감염된 것으로 본다.
中医学에서 “疫疠之气” 곧 “疫气”란 곧 일종의 강렬한 전염성 外邪이다.[5] 《说文》의 “疫, 民皆病也”, 《字林》의 “疫, 病流行也”라 하여, “疫”은 이 질병의 명칭으로, 이런 유의 질병의 전염성 및 유행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과거 한의학 문헌에는 많은 전염병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관련 이름은 瘟疫、温疫、温病 등이 있으며 세 가지 개념의 관계도 혼동하기 쉽다.
“瘟疫”에 대해, 中医药大辞典에는, “瘟”은 “疫”과 같고, 강렬한 전염성 및 유행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이다. 따라서 “疫”은 일체의 疫病을 총칭하며, 疫病은 그 성질상 그 범위가 광범하며, 寒、热、湿、燥 등 다른 성질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寒疫、温疫、湿疫、燥疫 등을 포괄한다. 구분이 어렵지만, 瘟疫과 温疫은 同音이지만, 실제로는 종속 관계에 속한다.
温疫[5]은 温热의 성질이 강한 전염성 및 유행성의 감염성 질병이다. 温病은 개념상 밀접한 상관성을 갖지만 차이가 있다. 古代医家에서는 전염성 유행성의 특성을 강조하며 일반 温病과는 구별하여 특별히 温疫이라 했다. 温疫이란 温病学에서 특정한 의미를 갖는 질병 명칭으로, 温疫은 温病의 범주에 속한다.
温病[5]은 温热의 성질을 갖는 外感疾病을 총칭한다. 따라서 温病의 범주에는 전염성 및 유행성이 강렬한, 温疫과 같은 일종의 温病이 포함되며, 이라면, 传染性、流行性이 비교적 적거나 전염성이 없는 温病도 포괄한다.
清代의 医家, 王孟英의 《湿热经纬·湿热病篇》에 喻嘉言의 말, “湿温一证, 即藏疫疠在内, 一人受之则为湿温, 一方受之则为疫疠”을 인용한다. 温疫과 温病의 개념상 차이는, 그 강렬한 전염성과 유행성에 있다고 명확히 하였다. 일찌기 春秋시대 의학 대저인 《黄帝内经》 《素问·刺法论》에 이르길, “五疫之至, 皆相染易, 无问大小, 病状相似”이라 했다. 즉 이런 유의 疾病은 疫病이며, 疫病은 곧 전염이 쉽고, 나이와 무관하게 똑 같은 병증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NCP의 TCM 병명이 곧 疫病이다.
1.2 病因 검토
NCP는 새로운 유형의 중증 전염병이다. 이에 대한 TCM 치료는 앞의 《黄帝内经》의 《素问·刺法论》에 "五疫之至, 皆相染易, 无问大小, 病状相似"라 했다. 고대 의사들은 전염병의 특성을 인식했다. 《黄帝内经》에 “避其毒气, 天牝从来”이라 했다. 여기서 "天牝"은 코를 말하며, 이 질병은 일반적인 외부 병원성 질병이 아니라 상부 호흡기 감염성 질병이며, 일반적 감기를 일으키는 외사에 의한 질병은 아니라고 명확히 하고 있다.
明清 시대는 瘟疫病学의 전성기로 많은 저명한 의학자들이 나타나, 瘟疫学 이론을 풍부히 발전시켜 후대 瘟疫病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明代医家 吴又可의 《温疫论》은 최초의 传染病学 전문서인데, “戾气”病因说 이론을 주창하였다. 温疫病学에 대한 이 학술 사상은 후세 의가에 커다란 학술적 기여를 하는 등 많은 영향을 끼쳤다. 《温疫论》에는, “疫者, 感天行之疠气也”라 하여, 疫이란 곧 自然界의 疫疠之气임을 분명히 했다. “此气之来, 无论老少强弱, 触之者即病”고 하였다. 이들 의가들은 이 전염병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温疫论·原序》에 “夫温疫之为病, 非风、非寒、非暑、非湿, 乃天地间别有一种异气所感”고 하고, 《温疫论·原病》에, “疫者, 感天地之病气, 在岁运有多寡; 在方隅有厚薄; 在四时有盛衰. 此气之来, 无论老少强弱, 触之者即病, 邪从口鼻而入”이라 하였다. 《温疫论·杂气论》에는, “大约病遍于一方, 延门阖户, 众人相同, 皆时行之气, 即杂气为病也. 为病种种, 是知气之不一也”고 하였다. 清代医家 戴天章은, “谓瘟疫之异於伤寒,尤慎辨於见证之始. 辨气、辨色、辨舌、辨神、辨脉, 益加详焉”, “伏火는 곧 温病에 곧통된 병인인 伏气”로 하여, “凡伏气温热皆是伏火”라는 观点을 명확히 하였다. 清代 吴鞠通의 《温病条辨》에는 “疫者, 疠气流行, 多兼秽浊”, 一个是疫疠之气, 二个是秽浊之气. 疫病的感染途径历代医家观点是一致的이라 했고, 吴有性医家는, “从口鼻而入”고 했고, 李炳医家는, “疫为阴浊”, “入人口鼻”라 했다.
2003년에 발병했던 SARS에서, 中医医家들은 그 病因이 戾气라는 점에 일치하여, 기본적으로 温病家 吴又可의 病因学 이론을 계승하여 疫情에 대한 대응방안을 구성했다[6].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명청 왕조의 열병의 기본 원인과 경로를 비교연구한 문헌[ 7 ]이 있다. 사기 감염의 변화에 대한 이해는 후대에 크게 영향을 미쳐, 오늘날 질병의 변화상의 요인을 이해함에 있어 “戾气”와 “六淫” 위주의 인식을 형성했다.
요약하면, 저자는 이 폭발적인 NCP의 병인이 疫疠之气로, 疠气가 감염을 일으켜 촉발한 疫病이다.
2 발병의 기제
”NCP의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우한은 양쯔강 중하류로 雨水偏多, 光照不足의 곳이다. 2019년 겨울은 따뜻하여 전년보다 기온이 높고, 그다지 춥지 않아, 겨울에 藏精이 되지 않고 温疫疾病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전염병은 雨水의 과다로 인한 湿疫이 심해 발병한 것이다. 의사 叶天士은, “겨울에 寒에 상하면 봄에 病温이 되니, 겨울에 藏精을 못하면 봄에 病温을 앓게 된다”고 말했다.
인체가 戾气에 감염된 후 발병의 유무, 병의 경중은 인체의 정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만약 정기가 허쇠하면 곧 병이 된다. 仝小林은 NCP가 “戾气”와 “伏气” 상호결합된 것으로, 함께 인체를 침범하여 질병을 유발한다.
필자는 NCP 사례를 관찰함으로써 "湿毒疫"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宣肺利湿、芳香化浊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일반적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는 다르며 우한지역이 阴雨绵绵,气候潮湿하여 참아든 杂寒湿邪로 인한 것이다. 이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길고 질병의 경과도 길며 회복은 더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湿邪가 이른 병을 특징으로 한다. 인체의 세 가지 양경락은 표에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 후 肺卫를 먼저 범한다. 그러나 단순한 卫表의 증상은 매우 적고, 단순한 卫表의 증상은 극히 짧아, 그 발생 시간이나 발현 기간도 거의 살피기 어렵다. 직접 비위로 나아가 복부 팽만감과 포만감과 같은 일련의 위장 불편 증상이 나타난다. 메스꺼움 및 구토, 식욕 부진, 묽은 변 등, 질병의 전파가 매우 급속하다. 인체를 침범 한 후 빠르게 열을 낳고 음액이 쉬이 손상시키며, 邪气亢盛, 气血运行의 손상으로 나타나며, 장기 기능의 급격한 저하, 질병의 악화로 나타나, 임상적 중증 폐렴이 흔하고 교정하기 어렵운 물과 전해질대사의 불균형, 산-염기 균형 장애, 호흡 곤란, 의식 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毒邪에 의해 발생한다. 湿毒의 양 사기가 서로 붙어서 몸을 손상시키고 장부를 상하게 한다. 정과 사가 서로 다투어 정기가 한층 허해지면 질병의 진행이 길어져 치료가 어렵고 심지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3 临床에서 증상의 특징
환자는 주로 乏力倦怠、咽喉疼痛、干咳少痰、低热 혹은 高热、腹痛腹泻 등의 증상을 보인다. 鼻塞、流涕 등 상기도 증상은 드물다. 일부 환자는 그 증상이 경미하고 발열 등의 증상이 없으며 때때로 피로감을 느낀다. 일부 환자는 식욕 부진, 묽은 변 및 설사와 같은 위장 증상을 먼저 보이는데, 젊은이들의 경우 특히 그러하다. 일부 환자는 처음에 관절 근육통과 활동곤란 증상을 먼저 보이는데, 이는 노인 환자에게서 더 흔하다. 대부분의 환자는 1주일 후에 심흉부 울혈과 호흡 곤란을 겪고 심한 경우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패혈성 쇼크, 대사성 산증, 응혈 기능 장애거 빠르게 진행된다. 감염이 쉬는 환자군에서는 특이성이 뚜렷하지 않다.
4 临床分期와 각 증별 치료
临床治疗期는 3기로 구분 : 轻症期、重症期、恢复期
4.1 轻症期
4.1.1 寒湿은 表에 속해, 热郁津伤을 유발한다.
주요 증상 : 발병 초기, 저열 또는 고열, 피로, 마른 기침, 배가 가득함 혹은 오한, 혹 두통, 혹 메스꺼움, 혹 구강 건조 및 인후염. 피로, 흉부 압박감, 메스꺼움, 무른 변.
설과 맥 : 舌质은 淡红, 苔는 薄白腻. 脉은 浮紧 혹 浮缓 혹 脉濡
치료 방법 : 解表化湿, 宣肺透热.
처방 : 藿香正气散合甘露消毒丹加减。
方药 : 藿香10 g、苏叶10 g、桔梗10 g、薄荷6 g、连翘20 g 、芦根10 g、茯苓10 g、陈皮10 g、厚朴10 g、滑石15 g、黄芩15 g、知母10 g、生甘草5 g、苍术15 g、羌活10 g、槟榔10 g、草果5 g、生姜 5 g。随证加减:若便溏加炒扁豆10 g、炒薏苡仁10 g、砂仁6 g。
煎服法 : 水煎服, 每剂水煎400 mL, 每次口服 200 mL, 每日 2次.
4.1.2 风寒袭表, 气虚湿滞
주요 증상 : 恶寒壮热、无汗, 头项紧强、肢体酸痛 ; 咳嗽有痰、鼻塞头痛、胸膈痞闷 ; 身困乏力, 纳呆便溏
혀와 맥 : 舌苔白腻, 脉浮按无力
치료 방법 : 散寒祛湿, 益气解表
처방 : 人参10 g、柴胡20 g、羌活10 g 、独活10 g、前胡10 g、川芎10 g、苍术10 g、茯苓15 g、枳壳10 g、桔梗10 g、生姜10 g、甘草5 g。
随证加减 : 头项强痛者는 葛根20 g、白芷10 g 더함
복용법 : 水煎服, 每剂水煎400 mL, 每次口服200 mL, 每日2次。
4.1.3 热毒袭肺
주요 증상 : 高热 头痛, 热势较高, 口干咽痛, 咳嗽咳痰, 面红目赤, 口渴喜饮, 小便短赤.
혀와 맥박 : 舌质红, 苔黄或腻, 脉滑数.
치료 방법 : 辛凉透表, 清热解毒.
방제 : 银翘散에 麻杏甘石汤을 加减
처방 : 金银花30 g、连翘20 g、桔梗10 g、薄荷15 g、牛蒡子10 g、竹叶10 g、芦根30 g、麻黄6 g、生石膏30 g、杏仁10 g、柴胡20 g、生甘草5 g。随证加减:若便秘加生大黄10 g、芒硝5 g。
持续高热시 知母30 g、赤芍20 g 더함
복용법 : 水煎服, 每剂水煎400 mL, 每次口服200 mL, 每日2次
4.1.4 外寒内热
주요 증상 : 高热烦躁, 恶寒怕风, 身痛无汗, 咽痛口干, 咯黄粘痰 혹 咳痰不利, 大便秘结
혀와 맥 : 舌质红, 苔白而少津, 脉滑数.
치료 : 发汗解表, 清肺化痰
처방 : 麻黄10 g、桂枝10 g、杏仁10 g、生石膏60 g、知母30 g、芦根 30 g、冬瓜仁30 g、生姜5 g、生薏苡仁15 g、大枣10 g、生甘草5 g。
煎服法:水煎服,每剂水煎400 mL,每次口服200 mL,每日2次。
随证加减 : 黄粘痰이 많은 편이면 鱼腥草30 g、浙贝母10 g、金荞麦30 g 더함. 大便秘结이 심하면 生大黄10 g、芒硝10 g、瓜蒌仁20 g 더함
4.2 重症期
4.2.1 疫毒壅肺
주요 증상 : 高热不退或往来寒热,咳嗽加重,少痰或无痰, 혹 有黄痰, 心胸憋闷, 喘促短气, 动则气喘, 腹胀便秘, 头身痛楚, 혹 伴心悸, 烦躁不安
혀와 맥박 : 舌质红, 苔薄黄 혹 腻 혹 黄燥, 脉은 弦数 혹 滑数
치료 방법 : 清热宣肺, 通腑泄热.
처방 : 麻杏甘石汤에 宣白承气汤을 가감
方药 : 生石膏60 g、杏仁10 g、 生大黄10 g、全瓜蒌30 g、炙麻黄10 g、知母30 g、黄芩15 g、芦根30 g、葶苈子20 g、桃仁10 g、甘草10 g。
煎服法 : 水煎服,每剂水煎400 mL,每次口服200 mL,每日2次. 必要时可日服2剂,每6 h口服1次,每次200 mL. 也可鼻饲或结肠滴注
随证加减 : 高热 지속이면 羚羊角粉0.5 g、安宫牛黄丸1丸。腹胀便秘加枳实10 g、厚朴10 g、芒硝10 g。喘促重汗出乏力加西洋参10 g、麦冬20 g、五味子 10 g 추가
4.2.2 内闭外脱
증상 : 神志昏蒙、表情淡漠,呼吸困难、动辄气喘或需要辅助通气,口唇爪甲紫暗,胸腹灼热,烦躁,咯粉红色血痰,四肢厥冷,汗出肢冷,尿量减少
혀와 맥 : 舌红 혹 紫暗, 苔는 厚腻 혹 燥, 脉은 沉细数 혹 浮大无根
치료 방법 : 益气固脱, 清热解毒.
처방 : 生晒参15 g、制附片10 g、芦根30 g、麦冬30 g、金银花30 g、贯众10 g、水牛角30 g、地龙15 g、山萸肉15 g、五味子15 g、煅龙骨30 g 、煅牡蛎30 g、生甘草 5 g
煎服法:水煎服,每剂水煎400 mL,每次口服200 mL,每日2次. 必要时可日服2剂,每6 h口服1次,每次200 mL。也可鼻饲或结肠滴注。
常用中成药 : 可苏合香丸、至宝丹、安宫牛黄丸 등
中药注射剂 : 清开灵注射液、痰热清注射液、醒脑静注射液 등
4.3 恢复期
4.3.1 余热未退
주요 증상 : 神疲怠倦,身热多汗,或有微渴,气短乏力,心胸烦热,气逆欲呕,咽痛咳嗽,口干喜饮
혀와 맥 : 舌红苔少,脉虚数
치료 방법 : 清热生津, 益气和胃
처방 : 竹叶10 g、生石膏30 g、姜半夏 10 g、麦冬15 g、百合10 g、太子参10 g、生甘草 10 g、生地黄10 g。
随证加减: 低热、口渴或干咳,舌红少苔,脉细数者,可加青蒿10 g、制鳖甲30 g。煎服法:水煎服,每剂水煎400 mL,每次口服200 mL,1日2次;必要时可日服2剂,每6 h口服1次,每次200 mL。常用中成药:生脉冲剂、参麦饮 등
4.3.2 气阴两虚
주요 증상 : 神疲倦怠,乏力气短,咳嗽痰少,痞满纳呆呕恶,大便无力
혀와 맥 : 舌暗或淡红或胖,苔薄白腻,脉沉细。
治法:益气养阴
방제 : 麦味补中益气汤加减。
처방 : 太子参15 g、麦冬10 g、五味子10 g、炙黄芪30 g、炒白术10 g、茯苓15 g、陈皮10 g、当归10 g、北沙参15 g、升麻6 g,柴胡10 g、炙甘草 5 g。
加减:低热、口渴或干咳,舌红少苔,脉细数者,可加青蒿15 g、制鳖甲15 g、银柴胡10 g。
煎服法:水煎服,每剂水煎400 mL,每次口服200 mL,每日2次. 必要时可日服2剂,每6 h口服1次,每次200 mL。也可鼻饲或结肠滴注
常用中成药:生脉冲剂、参麦饮 등
5 中医药预防
《温疫论》에서는 이 질병의 특성을 “疫病遍一方, 延门阖户, 众人相同”이며, “此一日之间而有三变”, “缓者朝发夕死, 急者顷刻死亡”이라 하였다. 《素问·刺法论》에는 “正气存内, 邪不可干”이라 하여, 温邪가 인체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지의 유무는 인체 내 正气의 强弱 및 邪气의 盛衰에 달려 있다 했다. 즉 温邪가 人体의 正气가 부족하고 방어기능이 위약할 때만 발병한다고 본다. 《灵枢·百病始生》에서는, :“风雨寒热, 不得虚, 邪不能独伤人. 卒然逢疾风暴雨而不病者, 盖无虚, 故邪不能独伤人. 此必因虚邪之风, 与其身形 ,两虚相得, 乃客其形”. 즉 여기서 人体의 正气가 부족한 것이, 外邪戾气가 인체에 침범하여 질병을 발생시키는 한가지 결정요소임을 분명히 하였다.
인체의 체질과 정기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温病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몸의 脾虚湿盛 체질이면 외감 습열 사기에 감염되기 쉽고 湿温을 발생한다. 薛生白의사가 말하듯, "내부 및 외부 상호 작용이므로 질병은 습열"이라고 부르며, 春温의 발생은 阴精亏虚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가 邵新甫가 말하듯, "冬伤于寒, 春必病温者, 重在冬不藏精也." 인체의 음정휴허면, 温热病邪를 받기 쉬워 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인체의 정기를 扶益하여 바이러스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중국 전통의학에서 수년간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扶补正气、祛邪除秽를 위한 强身扶正方을 추천한다.
처방 : 黄芪、枸杞子、党参、当归,熟地、女贞子、炒白术、茯苓各10 g。
복용법 : 水煎服,每剂水煎400 mL,每次口服200 mL,每日2次,服用2周。
적응증 : 평시의 体质虚弱 혹 年老体弱者는 감염이 쉬운 군.
6 토론
5,000년이 넘는 중국의 끊임없는 역사에서 중의약은 전염병과 싸우는데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중국 역사상, 스페인 독감, 유럽 흑사병, 등과 같이 전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이 사망한 전염병과 같은 유사한 비극은 없었다. NCP는 전염성이 강하고 확산력이 강한病毒에서 유래하며, 감염되기 쉬운 인구군이 광범하며, 인체의 호흡기 및 기타 시스템에 크게 손상을 입혀 대규모로 폭발하기 쉬운데, 임상에서 전형적인 증상이 아주 많지는 않다.
저자는 신속하게 차단하고 전염병(疫病)을 조기에 정확하고 무자비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 "正气存内, 邪不可干"란, 면역력과 질병 저항력 향상을 강조하는 것이고, "避其毒气"란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방법을 강조한다. 중의는 무엇보다 治“未病”을 중시하여, 未病先防、既病防变、防重于治를 주창한다. 치료의 원칙은 扶正祛邪이다. 扶正과 祛邪는 서로 연관된 양면으로 부정은 거사를 위한 것으로 정기를 증강하는 방법으로 사기를 밖으로 몰아내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른바 “正盛邪自祛”이다. 거사는 부정을 위한 것으로, 병인에 의한 손해를 제거하여 정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건강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소위 “邪去正自安”을 말한다. 虚实错杂证에 속하면, 扶正祛邪를 병용하여 虚实의 主次缓急을 분별하고 扶正祛邪의 主次、先后를 결정토록 한다. 응당 “扶正不致留邪, 祛邪不致伤正”을 기본으로 한다.
저자는 "湿毒疫"은 병위가 폐이고, 비위로 퍼지고 심장을 침범하고 神明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기본적인 병인의 특징은 "湿、热、毒、瘀、虚"이다. 초기 단계에서는 肺卫不固하고, 이어 순전 또는 역전하여 중증의 폐렴으로 발전하고 심지어 호흡 부전이 될 수도 있다. 중환자의 경우 기계적 인공호흡 또는 ECMO가 제공되며, 이는 특히 생존에 중요하다.
현재 제한된 사례 데이터에 따르면, 중의약은 发热、腹泻、咳嗽、咽喉疼痛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 진행을 억제하여 합병증 감소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중의약은 모든 과정과 모든 방향에서 예방과 치료에 참여할 수 있으며, 서양의학 방법의 장점과 더불어 상호 보완하여 효능을 개선하고 전염병에 맞서 싸울 수 있다. 후반기에 저자는 임상 치료를 더 잘 이끌어가기 위해 더 많은 증거 기반 의학적 증거를 얻을 수 있도록 대규모 샘플과 다기관 연구가 필요함을 지적한다.
参考文献
[1]国家卫生健康委关于新型冠状病毒肺炎暂命名事宜的通知[S].国家卫生健康委, 国卫医函[2020]42号:1.
[本文引用:1]
[2]武汉大学中南医院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防治课题组,中国医疗保健国际交流促进会循证医学分会.新型冠状病毒(2019-nCoV)感染的肺炎诊疗快速建议指南(标准版) [J/OL].解放军医学杂志,2020,45(1):1-20.
[本文引用:1]
[3]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诊疗方案(试行第四版)[S].国家卫健委, 国家中医药管理局,2020:7-8.
[本文引用:1]
[4]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诊疗方案(试行第五版)[S].国家卫健委,国家中医药管理局. 2020:9-10.
[本文引用:1]
[5]马健. 温病学[M].上海:上海科技出版社,2008:14-21.
[本文引用:3]
[6]韩雪梅. 论温疫学派学术特色在SARS治疗中的作用[J].河南中医,2003,23(12):14-15.
[本文引用:1]
[7]吴宇峰,于琦,王燕平,等.中医温疫类疾病认识的继承与发展[J].中国中医基础医学杂志,2013, 19(7):736-739.
ᆢ ᆢ ᆢ ᆢ ᆢ
*원문은 아래에ᆢ
www.yydbzz.com/article/2020/1004-0781/1004-0781-39-3-323.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