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매침(磁圆梅针)의 경혈자기전도요법
磁圆梅针의 经穴磁导疗法
http://www.360doc.cn/article/6969247_144907197.html
(1) 기원
磁圆梅针은 "황제내경"에 기록된 고대 圆针과 근대의 매화침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고대 중국의 자석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기록과 현대 자력의 원리에 기초하여 새로이 발명된 신형 침 도구이다. 圆针은 고대 9침의 하나로 《灵枢》의 관련 기록에 따르면, 옛 圆针은 길이는 1.6인촌이고 몸체는 둥글고 원통형이며 침끝은 둥글고 뭉툭한 타원형이다. 체표면을 문지르는 침 도구이다. 체표면을 문질러 분육 간의 기체를 치유하여 드러내고, 그 사이의 사기를 배출시켜 근육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磁圆梅针은 고대의 원침에서 유래한 것이다. 원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황제내경 구침십이원>이다. “9침의 이름은 다 같지 않다. 첫 번째가 참침인데 길이 1촌6푼, 두 번째는 원침으로 길이 1촌6푼이다 ... 원침이란 타원형의 침으로 분육간을 누르고 마찰하여 근육의 손상 없이 그 사이의 사기를 사할 수 있다. ...” 《灵枢·官针》에는, “凡刺之要,官针最妙. 九针之宜,各有所为,长、短、大、小,各有所施也 … 病在分肉间,取以圆针于病所”라 했다. 《灵枢·九针论》에는, “圆针,取法于絮针,筩其身而卵其锋,长一寸六分,主治分间气”라 했다. 그런 이후 역대 의가들이 여러 차례 논술하였다. 예컨대 晋代·皇甫谧은 《针灸甲乙经·九针九变十二节五刺五邪篇第二》에서,圆针의 유래, 形状, 그 장점과 작용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元代·杜思敬은 기록에 근거하여 그의 저작 《针经摘英集》에서 九针에 대해 기록을 통해 정리하였을 뿐 아니라 九针模拟图를 그렸는데, 그 속에 圆针의 针灸图도 포함되었다. 明朝 이후 많은 의가들이 九针을 논술하며 “九针式图”를 그렸는데,모두 圆针에 대해서도 논술하였다. 예를 들어 明朝의 《针灸素难要旨》、张景岳의 《类经图翼》、杨继洲의 《针灸大成》, 그리고 清朝 吴谦이 편찬한 《医宗金鉴》에도 많은 내용이 언급된 바 있고, 근대에 와서 孙祥麟의 《针灸传真》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다만 위 문헌에서 각 의가들은 9침 가운데 “圆针”에 대해 그 구체적인 사용예를 상세하게 기재한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위 의가들이 圆针을 9침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의사들이 “圆针”을 중의학 역사에서 비교적 일찍부터 안마 도구의 하나로 인식했다. 明·吴崑은 《针方六集·卷之三》에서 圆针은 그 끝이 둥근 타원형으로 분육 간을 마찰 눌러 사기를 빼내서 분육지간의 병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山东中医药大学 부속병원의 李华东은 《古代按摩器械考》에서 “圆针是古代的按摩工具之一”라고 분명히 하였다.
신중국 건국 후, 침술 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았고 침술 기술이 널리 보급되었으며 많은 고대 기술이 구출, 분류 및 개선되었다. 고대의 구침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산시성 침뜸연구소의 师怀堂 교수는 계속 혁신을 거듭하고 거의 사라져가는 구침 도구를 회춘시키고 인류를 위해 노력했다. 마침내 1985년에 《灵枢》에 기록된 화침의 특성을 참고하여 추가 개량을 거쳐 “师氏圆针”과 “师氏磁圆针”을 만들어냈다. 개량된 원침은, 그 침두가 약 1촌으로 크고 작은 두가지 형이 있다. 큰 것은 침첨이 완두콩 만하고, 작은 것은 녹두콩 만하다. 침 몸체는 7-8촌이고 강관 또는 구리관으로 만들어지며 지름은 약 1cm이다. 본체 끝에서 5푼 정도 떨어진 곳 좌우에 작은 구멍으로 침두를 장식하였다.
이 침은 주로 만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며, 외상, 염좌 및 내장 또는 뼈의 통증성 질병을 치료할 수도 있다. 동시에 연구 개발된 磁圆针은, 고대의 원침을 기초로 현대의 자기치료법의 특성을 흡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원침의 침두를 자성을 가진 철로 개조한 것이다. 그 치료 범위는 원래의 원침에서 늘어나, 가벼운 정맥류와 鹅掌风 등의 피부과 질환으로 확대되었다. 후대에 师怀堂선생과 山西省针灸研究所 동료들은 몇 차례의 개혁을 거쳐 圆针과 磁圆针을 하나로 합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보는 “新九针”의 침 가운데 들어있는 “师氏磁圆梅针”이다. 동시에 고대 의서에서는 “员针”과 “圆针”이 함께 통용되는데,이를 통일시켜 “圆针”이라 하였다.
현재 이 침은 주로 연조직 손상, 피부 질환, 내과 질환 및 산부인과 및 소아과 질병의 치료 또는 그 보조 치료에 사용된다고 한다. 그리고 “磁圆梅针”은 중화인민공화국 특허청의 발명 특허로 등록되어 있다.
(2) 구조
磁圆梅针은 고대의 圆针、梅花针과 磁疗의 3가지 침 도구의 치료 특성을 합성하여, 임상에서 치료 범위도 더욱 확장하였다. 바늘은 금속으로 되어 있고 도끼처럼 생겼으며 T자 모양으로 침 몸체와 침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1. 침체는 침 몸과 침 머리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침체의 중간 부분은 원통형이며 양쪽 끝이 일정하게 가늘어지며 침체의 양쪽 끝에 침 머리가 연결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콩알 크기의 공모양으로 “磁圆针”이라 부르고, 다른 쪽 끝은 자석의 매화침두로 되어 잇어 “磁梅花针”이라 한다.
2. 침병은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나선형 와이어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앞 부분은 가늘고 길이가 12cm, 뒷 부분은 굵고 길이는 10cm이다.
침체와 침병은 나선형 와이어 모양으로 연결되어 T자 모양을 이룬다.
(3) 침법
1. 침 잡는 법 :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침병 중간 부분을 잡고 중지와 무명지로 침병 뒷부분을 가볍게 잡고, 소지로 침병 끝부분을 가볍게 잡고 침 호구가 안쪽을 향하게 하고 침두를 수직으로 세운다. 등등 그 활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잡도록 한다.
2.기본기법
(1) 叩击法(고격법):팔을 매달고 오른쪽 팔꿈치를 90도 굽힌 상태에서 손목의 움직임으로 주타력을 형성하고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지르는 힘을 동시에 사용하는데, 손목의 힘과 손가락의 힘이 교묘하게 조화를 이루어 유연한 “弹刺”가 가능하도록 한다.
(2) 点揉法(점유법) : 磁圆针을 이용하여 경혈이나 병변부에 点揉의 조작을 한다.
(3) 刮摩法(괄마법) : 병변부를 층차로 긁고 문지른다.
*임상 활용을 위한 훈련
임상에서 능숙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 침 조작의 핵심은 손목과 손가락의 힘을 적절하게 조작하는데 있다. 두드리는 기법(앞의 침두1과 2)은 단단한 자극이면서도 유연한 자극을 얻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팔꿈치를 90도로 굽혀 침을 잡고 75도 정도로 이완시켰다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식으로 안정적인 움직음을 얻을 수 있도록 연습하도록 한다. 나아가 아래의 강도 차이를 반영한 응용 동작도 가능할 것이다.
침두3은 누르거나 문지르는데 쓰이므로, 비교적 간단하다. 다만 누르거나 문지르는 강도와 그 균일성이 필요하므로 이를 체감할 수 있는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磁圆梅针은 배부가 아니라면 스스로 자기 몸에 시술이 가능하므로 일정한 연습을 거친 다음 내 몸을 대상으로 적용해보며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자극강도. 보통 轻、重、中의 3가지로 구분
(1) 轻度의 조작 기준 : 국소 피부에 뚜렷한 변화가 없고 두드릴 때 진동만 있다.
(2) 重度의 조작 기준 : 타진 시 피하 통증이 뚜렷하고 타진 후 피부에 황록색 반점이 나타나다가 청자색 반점으로 변한다.
(3) 中度의 조작 기준: 피부가 붉어지고 2일째 피부 아래에 황록색 반점이 나타날 때까지의 타격.
4. 일반적으로 임사에서 사용되는 叩刺의 방법
(1)循经取穴 叩刺法:경락의 주행을 따라 경혈을 찾아 두드리는데, 특히 해당 중요 경혈(주경혈)을 중시한다. 일반법칙: 경락 방향으로 轻度로 두드리는 것이 보법이고, 경락의 역방향으로 重度로 두드리는 것이 사법이며, 경락을 따라 아래위로 中度로 두드리는 것이 平补平泻이다.(이하 보사법은 모두 동일함) 이것이 임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叩刺方法이다.
(2)经脉叩刺法:단순히 경맥을 두드리는 것이다. 병정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경맥을 두드린다. 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경맥 가운데서 한 부분 혹은 여러 부분을 두드릴 수도 있다.
(3)穴位叩刺法:단순히 경혈을 두드리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요 경혈을 더 세게 두드리거나 더 많이 두드리고, 배혈은 가볍게 또는 적게 두드린다.
(4)局部叩刺法:환부 또는 환부주위를 두드리는 방법이다.(피부질환 등)
(5)주의사항 : 경혈은 일반적으로 5~20회를 기준으로 하고, 두드리는 속도나 강도는 해당처 근육의 비대이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동시에 증후군 감별을 바탕으로 환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각종 질병과 증후군에 따라 해당 경락을 차별화하여 취혈하고, 주요 경혈은 세게 두드리고 배혈은 가볍게 두드린다.
이상의 여러 叩刺方法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4) 치료 범위
师氏 磁圆梅针治疗는 그 치료 범위가 매우 광범하며, 아래에 그 일부 적응증만 나열해 둔다.
1. 내과 병증. 위하수, 급성 및 만성 위장염, 만성 장염, 설사, 신경쇠약, 동맥경화 등
2. 외과 병증. 연조직 손상, 오십견, 경추증, 벌레(모기) 물림, 타박상, 혈액 정체, 부종 및 통증, 정맥류, 鹅掌风(피부병), 류머티즘, 류마티스 관절염, 내외의 발목 염증, 탈항, 신경성 피부염 등.
3. 신부인과 병증. 자궁탈출증, 불임 등
4. 소아과 병증. 어린이의 설사 및 야뇨증
5. 이비인후과 병증. 이명 및 이롱
6. 건강 미용
(5) 원리
인체는 하나의 자기장이며 또한 지렛대와 같다. 사람이 병에 걸리면 한의학에서는 이를 음양의 불균형이라 하고 기혈기능의 균형을 잃게 된다. 즉, 인체의 자기장 균형이 맞지 않게 된다. 磁圆梅针은 희토류코발트로 만들어지며, 희토류코발트는 육각형 결정구조로 높은 이방성을 가지므로 영구자석의 특성이 좋아 아주 작은 자석으로도 고성능을 얻을 수 있다. 磁圆梅针은 4000 가우스 이상에 달하면 정적 자기에서 동적 자기로 변화하여 경락경혈을 두드려 양방향 조정 효과를 발휘하여 음양의 균형을 유지하고 정기를 강화하며 사기를 제거한다.
磁圆梅针은 피부 표면에 기를 취하므로 고대인이 말한 “以经络为主,穴位次之”이라는 공식화한 준칙을 따라야 한다. 고인은 이르길, “宁失五穴,勿失一经”이라 했다. 이것은 선조들이 실천에서 얻은 지식이며, 허공에서 발명된 것이 아니다. 인체의 체표는 내장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장육부의 질병은 반드시 경락을 통해 체표면의 경혈로 전달된다. 이것이 바로 磁圆梅针의 경혈을 두드리기가 정기를 강화하고 사기를 제거하는 치병의 이론적 근거이다. 磁圆梅针의 경혈 두드리기는 그 작용 범위가 넓고, 疏通经络,活血化瘀를 통해 신경, 혈액, 림프 및 기타 조직에 우량한 변화를 일으켜 치병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6) 원칙
허증에는 보법을, 실증에는 사법을 쓰는 것이 침구로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기본 원칙이다. 또한 대자연의 음양 기후 변화와 질병의 복잡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 그 증에 따라 즉시 대응해야 한다. 그런 다음 능숙하고 유연한 기술로 장부장의 기능을 조절하고 신속하게 병원체를 제거해야 한다.
磁圆梅针으로 질병을 치료하려면 반드시 4진과 8강변증을 통해, 내외형기와 기맥증의 상호 부합을 살펴야 하며, 단순히 그 외형에만 의거해서는 안된다. 또한 기혈의 왕래와 병사의 심천을 숙지하고 현재 질병과 질병 증후군을 식별하고서야 바로소 침 치료의 처방이 가능하다.
磁圆梅针으로 병을 치료하는데 12경맥과 기경팔맥에 대해 그 주행 방향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경락은 중초에서 일어나 수태음폐경에서 시작하여 족궐음간경으로 돌아간다. 먼저 기억하자 : 폐, 대장, 위, 비장, 심장, 소장, 방광, 신장, 심낭, 삼중 화상, 담낭, 간. 그런 다음 또 가슴에서 손으로, 손에서 머리로, 머리에서 발로 그리고 발에서 가슴으로 주행함을 기억해 두자.
(7) 보법의 기법
磁圆针의 보사 기법은 세가지가 있다. 하나는 迎随补泻法, 두 번째는 轻重补泻法, 마지막으로 取穴补泻法이 있다.
(8) 적응증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병, 뇌동맥경화증, 경미한 정맥류, 모기 물림, 타박상, 급성 연조직 염좌, 오십견, 위하수증 등
경혈자기전도요법(经穴磁导疗法)의 상용 경혈
1. 任脉
天突─璇玑─华盖─紫宫─玉堂─膻中─中庭─鸠尾─巨阙─上脘─中脘─建里─下脘─水分─神阙─阴交─气海─石门─关元─中极─曲骨
복부의 정중선을 따라 곡골에서 천돌까지 라인을 왕복 6회 정도 두드리기.
2. 족양명위(상부)
气冲─归来─水道─大巨─外陵─天枢─滑肉门─太乙─关门─梁门─承满─不容─乳根─乳中─赝窗─屋翳─库房─气户─缺盆─云门─中府
沿胸腹部缺盆(锁骨上窝正中)?气冲(曲骨旁开2寸处);往返扣击6次左右。
흉복부를 따라 결분에서 기충까지 왕복 약 6회 두드리기.
3. 전면부 带脉 : 전면부 대맥의 주행 방향을 따라 왕복 약 6회 두드리기.
4. 疏肝疏肺. 조작은 전면의 정중선을 따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늑골을 따라 각각 약 8회 두드리기
5. 수태음폐경
少商─鱼际─太渊─经渠─列缺─孔最─尺泽
상지의 내측으로 소상에서 척택까지 왕복 약 6~8회 두드리기.
6. 수양명대장경
曲池─手三里─上廉─下廉─温溜─偏历─阳溪─合谷─三间─二间─商阳
상지 외측으로 곡지에서 상양까지 약 8~10회 두드리기.
7. 수궐음심포경
中冲─劳宫─大陵─郄门─间使─内关─曲泽
상지 내측을 따라 곡택에서 중충까지 왕복 약 6회 두드리기.
8. 수소음심경
少海─灵道─通里─阴郄─神门─少府─少冲
상지 내측을 따라 소해에서 소충까지 약 6회 두드리기.
9. 수소양삼초경
天井─四渎─三阳络─会宗─支沟─外关─阳池─中渚─液门─关冲
상지의 외측을 따라 천정에서 관충까지 약 6뢰 왕복 두드리기.
10. 족태음비경
隐白─大都─太白─公孙─商丘─三阴交─漏谷─地机─阴陵泉
하지 내측을 다라 은백에서 음릉천까지 약 5회 두드리기.
11. 족궐음간경
曲泉─膝关─中都─蠡沟─中封─太冲─行间大敦
하지 내측을 따라 곡천에서 대돈까지 약 8회 두드리기.
12. 족양명위경(하부)
厉兑─内庭─陷谷─冲阳─解溪─丰隆─下巨虚─条口─上巨虚─足三里
하지 외측을 따라 족삼리에서 여태까지 왕복 약 6회 두드리기.
13. 독맥
风府─哑门─大椎─陶道─身柱─神道─灵台─至阳─筋缩─中枢─脊中─悬枢─命门─腰阳关─腰俞─长强
배부 정중선을 따라 풍부에서 장강까지 왕복 약 6회 두드리기.
14. 족태양방광경
제1선 : (风池)─大杼─风门─肺俞─厥阴俞─心俞─督俞─肝俞─胆俞─脾俞─胃俞─三焦俞─肾俞─大肠俞─关元俞─小肠俞─膀胱俞─中膂俞─白环俞─上髎─次髎─中髎─下髎
제2선 : (肩井)─魄户─膏肓─神堂─膈关─魂门─阳纲意舍─胃仓─肓门─志室─胞肓─秩边─(环跳)─承扶─殷门─浮郄─委阳─委中─合阳─承筋─承山─飞扬─跗阳─昆仑─仆参─申脉─金门─京骨─束骨─足通骨─至阴─足指
배부 1선은 따라 풍지에서 백환유까지, 2선은 견정에서 질변까지, 하지 외측을 따라 위중에서 지음까지 약 6회 왕복 두드리기.
15. 족소음신경
涌泉─然谷─太溪─大钟─水泉─照海─复溜─交信─筑宾─阴谷
발바닥 용천에서 음곡까지 약 5회 두드리기.
16 배부 带脉:배부 带脉 주행방향을 따라 약 6회 왕복 두드리기.
17. 疏肝疏肺:그 조작은 전면 정중선에서 늑골을 따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각각 8회 두드리기.
18. 협척 강하게 두드리기(重扣) : 배부 정중선에서 좌우로 0.5촌 부위, 1흉추에서 4천골까지 약 5회 왕복 두드리기.
19. 头、颈、肩部:磁圆针으로 적당한 강도로 두드려 국부 근육을 이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