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뜸의 과학적 이해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9

지운이 2017. 4. 19. 11:59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이상의 검토를 통해, 인체의 항성성을 유지하는 조절기구라 할 수 있는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네트워크에서 침뜸자극이 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침뜸에 의한 인위적 자극은 기본적으로 신경계의 반사운동 메카니즘 속에서 인체의 항상성 유지 작용에 관여한다. 체성반사 및 자율신경반사를 매개로 근골격계나 장기와 같은 효과기의 반사운동을 통해 생리 조절작용을 한다

 

(2) 신경반사는 국소부의 축삭반사, 분절성반사, 전신성 비분절성반사 등으로 나타나는데, 침뜸자극은 이들 반사경로와 연계한 반응을 통해 인체의 생리 조절에 작용한다

 

(3) 침뜸자극은 신경반사과정에서 자율신경의 효과적 조절을 유도한다.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길항적 작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작용하여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

 

(4) 국소의 축삭반사 과정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물질 P의 작용과 혈관확장을 통한 혈행 개선 작용으로 통증유발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5) 침뜸자극에 의한 혈류개선은 국소부에 그치지 않고 원격부의 근혈류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체성자율반사의 기제를 통해 원격부의 근혈류를 개선하는가 하면 대뇌피질의 혈류도 개선하게 되는데, 혈류 개선은 나아가 백혈구에 의한 면역작용도 강화하게 된다.

 

(6) 침뜸자극에 따른 신경계의 반응은 내분비계 호르몬을 조절하는 작용도 수반한다.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조절작용은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7) 신경반사운동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호르몬 조절은 나아가 림프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한 직접적으로 림프조직에까지 뻗쳐있는 신경섬유의 작용이 림프구 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면역계도 활성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8) 침뜸자극의 면역작용은 일차적으로 염증반응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침뜸으로 유발되는 염증반응은 혈장과 백혈구에 의한 일차적 면역활동을 활성화한다.

 

(9) 보다 본격적인 면역작용은 백혈구의 면역기전을 활성화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 침뜸자극이 병원균(항원)을 제거하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면역세포인 NK세포의 증가, 킬러세포의 활성화, 호중구나 매크로파지(대식세포) 등을 활성화할 뿐 아니라,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반응을 활성화하여 면역력을 높여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10) 백혈구의 활동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데, 백혈구 가운데 교감신경 활성은 과립구를 증가기키고 부교감신경의 활성은 림프구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서는 이 양자의 효율적인 조절이 필요하다. 침뜸자극은 이 과정에서 과립구 우위 또는 림프구 우위라는 면역편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해 주는 작용을 한다. 이른바 면역력 향상은 바로 이 면역편향의 조절을 통해 달성된다.

 

(11) 종합적으로 보면 침뜸 자극은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생리조절네트워크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할 것이다. 침뜸 자극은 체성운동신경이나 자율신경의 반사반응을 거치며 그에 상응한 운동반응과 더불어 진통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분비계 및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쳐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 신경세포, 내분비세포, 면역세포는 각기 고유한 호르몬, 신경호르몬, 신경펩티드, 사이토카인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분비하여 그 면역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完)

 

 

........................................

*이전글 6. 침뜸 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8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이처럼 신경계와 내분비계 및 면역계라는 3계통이 상호연관된 생체의 포괄적 반응계를 형성하여 인체의 항상성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 내분비세포,

hoocli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