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의 불안증에 대한 침술의 효과
파킨슨병의 불안증에 대한 침술의 효과
파킨슨병은 통상 운동 증상 외에 심적 불안 증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집중력 부족, 지속적인 근심, 근육 긴장 및 떨림 등과 같은 불안 증상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에 수반되는 불안증에 대한 침술 접근에 대한 임상 결과가 최근 보고되었다. AJMC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22.9.22)에 보고된 논문에 따르면, ‘침술이 파킨슨병 환자의 불안증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즉, 파킨슨병 환자에 대해 8주간 침술을 받는 그룹과 받지 않는 그룹으로 나누어 경과를 본 결과, 침술을 받은 그룹에서 ‘불안증’이 대폭 감소했다고 한다.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for Anxiety Among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2796568)
본 연구는 70명의 환자(남성 36명, 여성 34명)를 침술 그룹과 가짜침 그룹으로 나누어 이중맹검시험으로 이루어졌다. 침 시술 종료 후 그 결과를 Hamilton Anxiety Scale(HAM-A) 점수 평가와 통합 파킨슨병 평가 척도(UPDRS), 39개 항목 파킨슨병 질문지(PDQ-39),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및 코르티솔(CORT)의 혈청 수치에 대한 점수 등을 통해 평가하였다고 한다.
그 결과, 우선 HAM-A 점수의 경우 침술 그룹이 가짜침술 그룹보다 유의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침술그룹 쪽이 HAM-A 점수가 훨씬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고 한다.(그림 1 참조)
그림1 파킨슨병의 침술 치료의 효과
A, HAM-A에 따른 향상 수준 ; B, UPDRS 점수의 개선 ; C, UPDRS I 점수의 향상 ; D, PDQ-39 점수의 개선 ; E, PDQ-39-ADL 점수의 향상 ; F, PDQ-39-EW 점수의 개선.
ADL은 일상 생활 활동을 나타낸다. EW, 정서적 웰빙; HAM-A, 해밀턴 불안 척도; PDQ-39, 39개 항목 파킨슨병 설문지; UPDRS, 통합 파킨슨병 평가 척도; UPDRS I, 통합 파킨슨병 평가 척도 I.
또한 <그림1>에서와 같이, UPDRS 및 PDQ-39 점수를 통한 2차 평가에서도 침술 그룹이 유의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침술 치료 2개월 후 침술 치료를 받은 그룹의 경우 불안증 및 정신상태가 가짜침술 그룹에 비해 통계 유의적으로 보다 나은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었다고 한다.
한편 이러한 효과가 물론 플라시보 효과일 수도 있다는 점도 전적으로 부정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추가적으로 침술 전후 CORT 및 ACTH의 혈청 수준을 측정하였다.
CORT는 코르티솔, ACTH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이다. 파킨슨병의 불안증은 HPA축에서 5-HT의 합성 및 방출이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바로 이 5-HT의 합성 및 방출을 억제케 하는데에 CORT 및 ACTH가 관여한다는 것이다. 즉 CORT 및 ACTH의 과활성화가 5-HT의 합성 및 방출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파킨슨병의 불안증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혈청에서 이들 수치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 침술 그룹에서 ACTH 수치가 가짜침술 그룹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즉 침술이 ACTH 수치 감소를 통해 HPA 축의 5-HT의 합성 및 방출을 억제하여 불안증을 완화하는데 기여하였을 것이라는 기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CORT 수치 상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침술이 파킨슨병 환자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침술이 불안을 완화함으로써 파킨슨병 환자의 전반적인 운동 기능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는 것이다.
참고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경혈과 다음과 같다
: 신정, 인당, 신문(양측), 삼음교(양측), 백회 및 사신총
*芝雲 정리/씀
*블로그의 다른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