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조정요법 : 구당 기본침과 무극보양뜸
전신조정요법이란 기혈・음양의 조정 및 장부의 조정을 도모한다는 관점을 기본으로 그에 상응한 경혈 및 경락을 취하여 치료에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취혈을 기초로 침과 뜸 시술을 적용하여 전신조정을 모도한다.
적절한 취혈은 어떻게 할까. 필요 최소한의 경혈 선택으로 전신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가장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면서 사용 빈도도 가장 많은 경혈을 취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혈자리만 모아도 사실 100여 개 가까운 경혈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많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좁혀야 할까.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는 신체 부위별 안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頭顔面部・上肢・下肢・胸腹部・背部 등으로 구분하여 적절히 배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즉 頭顔面部에서는 百会를 위주로, 上肢에서는 合谷、曲池、手三里 등을, 하지에서는 足三里、三陰交、太谿 등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또 胸腹部에서는 中脘、天枢、気海 등을, 또 背腰部에서는 폐수 고황 간수 신수 요양관 등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환자의 병증이나 병세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위와 같은 예시를 기준으로 병증이나 병세를 고려하는 한편 반복적인 경험을 기초로 한 고려 사항을 가감하는 식으로 자신만의 전신조정 취혈을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인의 병세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취혈로 변경해 가면서 ‘자신만의’ 전신조정 취혈을 구사해 가도록 한다.
이런 맥락에서 전신조정 취혈은 기준이 되는 경혈을 상정할 수는 있으되, 그것이 누구에게나 병세 변화와 무관하게 고정된 어떤 것이 될 수는 없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우리나라의 구당의 기본침과 무극보양뜸을 들 수 있고, 일본에서는 澤田流 태극요법이 대표적이다. 취혈은 아래에서 참조할 수 있다.
● 전신조정1 : 구당의 기본침과 무극보양뜸
주 요 혈 | |
기본침혈 | (전면) 동자료 지창 중완 합곡 수삼리 양릉천 태충 (후면) 천주 풍지 천료 천종 고황 신수 위중 곤륜 |
무극보양뜸 | 백회 폐수 고황 중완 기해/관원(남) 중극/수도(여) 곡지 족삼리 |
기타 상용혈 | 전중 천추 대추 간수 비수 삼음교 |
● 전신조정2 : 사와다식(澤田流) 태극요법의 기본혈
: 百会・身柱・肝兪・脾兪・腎兪・次髎・澤田流京門(志室)・中脘・気海・曲池・左陽池・足三里・澤田流太渓(照海)
체간부 | 수족부 | |
선천계(신) | 기해 택전경문(지실) 신수 | 택전태계(조해) |
후천계(비) | 중완(장문) 천추 비수 | 대백 또는 족삼리 |
원기별사계(삼초) | 단전(기해) 중완 전중 삼초수(하) 담수(중) 궐음수(상초) |
좌양지 또는 좌대릉 |
기타 | 백회 풍지 신수 간수 차료 | 곡지 |
*참고
사와다(沢田健)의 침구세계에 관한 일고찰
*이글은 사와다 침구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사와다의 침구세계에 관심 있는 분들의 일독을 바랍니다. 특히 이른바 '전신조정 요법'을 이해하는데 훌륭한 길잡
hoocli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