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스크랩 동의학

「玉龍賦」연구2 [펌]

지운이 2021. 5. 12. 22:23

옥룡부에 대한 연구(2)
방정균 1⋅ 장현준 2⋅ 이준무 2 상지대학교 1 원전의사학교실, 2 경혈학교실

(대한경락경혈학회지 Vol.24, No.2, 2007)

 

Ⅰ. 序 論
「玉龍賦」는 宋代 楊氏가 저술한 「玉龍歌」의 내용 가운데 精華만을 뽑아 賦의 형 식으로 서술한 것으로 『鍼灸聚英』에 실려 있던 것을 『鍼灸大成』에서 인용하고 있다. 『鍼灸聚英』은 1529년에 완성되었고 모두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16세기 이전의 침구문헌의 이론과 치료경험을 수집하였고, 동시에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였다. 특히, 제 4권은 鍼灸歌賦 60여수를 인용하였는데, “世俗喜歌賦以其便于記誦”이라는 인식하에 歌賦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니, 「玉龍賦」는 그 가운데 하나이다 1). 「玉龍賦」는 「玉龍歌」의 精華만을 뽑아 賦의 형식으로 서술한 것인데, 玉龍이라고 이름을 붙인 이유에 대해서는 貴重하다는 의미를 취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2).
전편에서는 총 46개의 穴을 살펴보았는데 灸法이 4회 刺血요법이 2회 제시되었다. 전 체적으로 氣血의 鬱結로 인한 질환이 많았 고, 그 결과 氣血 소통의 목적으로 取穴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絡 脈․下合穴․八脈交會穴․五輸穴․原穴 등 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四肢 末端에 위치하면서 臟腑의 기능 저하에 의해 야기된 氣血의 鬱結상태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이용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
본 논문에서는 前篇에 이어「玉龍賦」의 일부를 번역하고 아울러 제시된 병증을 분 석하여 取穴의 이유와 의의를 탐구해 보고 자 한다.


Ⅱ. 硏究方法
1. 『鍼灸聚英』(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78) 을 底本으로 하여 原文을 기재한다.
2. [解釋]은 逐字해석을 원칙으로 하되, 「玉龍歌」의 내용을 참고로 하고 病症의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약간의 의역을 하였다.
3. [比較]에서는 「玉龍賦」의 구절과 관 련성을 가지는 「玉龍歌」의 내용을 기재하였다. 「玉龍歌」는 大星文化社(1990 三版) 에서 출간한 『校訂註解 鍼灸大成』을 底本 으로 하였다.
4. [注釋]에서는 字解와 病症에 대한 간략 한 설명을 기재하였다.
5. [考察]에서는 「玉龍歌」와 비교를 하였고, 겸하여 病症의 분석을 바탕으로 取穴 의 의의와 이유를 설명하였다.


Ⅲ. 本 論


[原 文] 風門主傷冒寒邪之嗽. 

[解 釋] 風門穴은 寒邪를 뒤집어써서 손상된 기침
을 주로 치료한다. 

[比 較] 腠理不密咳嗽頻, 鼻流淸涕氣昏沉, 須知噴 嚔風門穴, 咳嗽宜加艾火深. 

[注 釋]
嗽 : 咳嗽는 病因의 측면에서 본다면 外 感과 內傷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病證 의 측면에서 보면 五臟과 六腑로 구분할 수 있으니, 『素問·咳論』에서 제시한 五臟의 咳症과 六腑의 咳症이 이에 해당되는 것이 다 4). 「咳論」에서는 咳嗽症을 “此皆聚於胃, 關於肺”의 문장으로 총괄하고 있는데, 그 의 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肺는 氣를 주관하고 밖으로 皮毛에 합하며, 코로 開竅하므로 外 邪가 코나 皮毛를 통해 들어와서 안으로 肺 까지 손상하여 肺의 宣發肅降의 기능이 실 조되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胃의 경우 는 水穀之味를 받아들여 腐熟을 하며 또한 降濁의 기능이 있고, 胃와 表裏 관계인 脾는 腐熟된 영양물질을 전신으로 運化하는 기능 을 담당한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脾胃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水穀의 精微 가 五臟六腑로 轉輸되지 못하고, 營衛가 中 焦로부터 보충을 받지 못하여 허약해지는데, 그 결과 衛氣의 방어기능이 쇠퇴해지면 쉽 게 外邪의 침습을 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脾胃의 기능 실조로 痰飮, 痰濁이 內生하고 이것이 肺氣의 宣發肅降 기능에도 영향을 미쳐 咳嗽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 이 「咳論」에서는 咳嗽의 발생에 있어 肺 와 胃의 기능 실조를 중요시 하고 있으니, 전체적으로 外邪에 의해 발생하는 것과 五 臟六腑의 기능실조에 의한 內傷을 아우르고 있다. 다만, 外邪에 의한 外感病이 진행이 되어 內傷病으로 전변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할 때 咳嗽의 치료는 단순히 外邪의 제거와 止咳의 관점 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된다. 즉, 整體觀의 관점에서 변증을 하여야 하니, 疏肝, 健脾, 淸心, 利水, 和胃, 利膽, 調氣 등의 방법까지 도 止咳의 목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것이다5).
[考 察]
風門穴은 足太陽膀胱經에 소속된 穴로 風邪가 出入하는 門戶가 되기 때문에 風門이 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고 설명되고 있 다. 解表宣肺하고 護衛固表하는 효능이 있어서, 傷風에 의한 咳嗽, 發熱頭痛, 目眩, 多涕, 鼻塞, 胸中熱, 項强, 肩背痛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6). 근자에 中國에서는 風門穴에 주사약을 투입하여 鼻炎 을 치료하고, 또한 風門穴, 大杼穴, 大椎穴 등에 함께 注射를 하여 氣管支炎을 치료하 였다는 보고가 있다 7).
한편,「玉龍歌」에서는 風門穴이 鼻流淸涕 와 氣昏沈 및 噴嚔의 증상을 치료한다고 하 였고, 咳嗽의 증상에는 灸法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즉, 咳嗽의 증상을 傷寒 초기에 나 타나는 것이 아니고, 外邪를 感受한 후 일정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여 肺氣가 衰해진 상 황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한 것이다. 그 결과 咳嗽의 症이 나타날 때는 風門穴에 灸 法을 시행하여 肺氣를 補하는 것으로 설명 하고 있다. 醫史學的으로 唐代 孫思邈의 『千金方』과 王燾의 『外臺秘要』에는 灸 法을 위주로 기술하고 있고, 특히 王燾는 鍼
法은 심오한 것이어서 그 이치를 깨닫기 어 려우니, 사람을 죽일 수는 있지만 기사회생 시키지는 못한다고 하여 침경을 수록하지 않고 있다 8).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玉龍 歌」는 宋代에 저술된 것이고, 「玉龍賦」는 明代에 高武에 의해 정리되었다. 즉, 唐代의 鍼法에 대한 인식이 宋代에 저술된 「玉龍 歌」에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을 것 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바, 「玉龍歌」에서는 「玉龍賦」에 비해 灸法을 사용한 빈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灸法의 선호 는 明代에 이르러 鍼法에 대한 이론이 정리 되고 심화되면서 자연스럽게 鍼法 위주의 치법으로 전환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가 「玉龍賦」에서 鍼法 위주의 치법을 제시하 게 된 배경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天樞理感患脾泄之危. 

[解 釋]
天樞穴은 脾泄의 위급한 증상을 다스린다. 

[比 較]
脾泄之症別無他, 天樞二穴刺休差, 此是五 臟脾虛疾, 艾火多添病不加. 

[注 釋]
脾 泄 : 脾의 運化기능이 실조되어 생기 는 병증이다. 脾의 運化기능이 실조되면 脹 滿, 泄瀉, 嘔吐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몸이 무겁고 얼굴빛이 누렇고 윤기가 없게 된다. 

[考 察]
天樞穴은 足陽明胃經에 속하는 穴로 배꼽 옆에 위치하여 上下腹의 分界點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치적 특성 때문에 中焦에 通하면서 인체 氣機의 升降을 담당하고 되 고, 또한 穴名의 의미도 이상의 특성을 함축 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한편, 穀 門이라는 異名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水穀의 消化와 津液의 出入을 관장하는 의미를 포 괄하고 있다. 天樞穴은 升降氣機, 斡旋上下 의 효능으로 繞臍腹痛, 嘔吐, 腹脹, 腸鳴, 癥 瘕, 痢疾, 泄瀉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 로 정리되고 있다 6).
한편, 天樞穴은 大腸의 募穴인데, 募穴은 대체로 虛8嬴瘦, 遺精崩s, 中風脫症 등 陰 性病症을 치료하게 된다 6). 이상의 의미를 고려할 때 「玉龍歌」에서 脾虛로 인한 脾 泄症에 天樞穴에 灸法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된 것은 의미가 있다. 즉, 脾泄의 원인 을 元氣不足, 즉 陽氣不足에 의한 것으로 설 명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니, 脾의 陽氣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脾泄症에 주로 陰性病症을 다스리는 募穴에 배속이 된 天 樞穴에 灸法을 시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근자에 들어서는 急性 腸炎에 天樞穴에 刺絡을 하여 出血하는 治法이 소개되고 있 다. 이 경우는 위에서 언급한 脾虛로 인한 脾泄症의 치법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腸炎의 발생이 脾의 運化기능이 실 조되어 積滯된 濕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 로 분석할 때, 天樞穴에 대한 刺絡요법을 통 해 氣血을 소통시키고, 아울러 氣機의 升降 을 유도함으로써 通腸導滯의 효능을 이끌어 내어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9).


[原 文] 風池絶骨而g乎傴僂.風池絶骨而乎傴僂
[解 釋]
風池穴과 絶骨穴은 傴僂病을 치료한다. 

[比 較]
偏正頭痛有兩般, 有無痰飮細推觀, 若然痰 飮風池刺, 倘無痰飮合谷安.
寒濕脚氣不可熬, 先針三里及陰交, 再將絶 骨穴兼刺, 腫痛登時立見消. 

[注 釋]
傴 僂 : 늙거나 병으로 등이 굽어져서 펴 지 못하는 증상이다. 

[考 察]
風池穴은 足少陽膽經에 속하는 穴로 風邪 가 蓄積되는 곳이기 때문에 風池라는 이름 을 얻게 되었다. 平肝熄風하고 淸熱解表하는 효능이 있으며 頭痛, 眩暈, 頸項强痛, 中風, 口眼喎斜 등의 증상을 치료 한다 6). 絶骨穴 은 八會穴의 하나인 髓會에 해당되는데, 구 체적으로 어느 穴을 지칭하는 가에 대해서 는 의가들마다 의견이 달라 陽輔, 懸鍾, 玉 枕穴 등의 3가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內經』에서 髓海를 腦라고 한 것을 염두 에 두고 각 穴의 주치증과 髓海의 증상을 비교할 경우 髓會인 絶骨은 玉枕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10). 그러나 본 편의 증상이 下 肢에 나타나는 脚氣症이고 또한 絶骨의 의 미가 骨이 끊어진 곳을 따라 髓가 滋養되는 뜻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6) 본 편에서 제시한 絶骨은 陽輔나 혹은 懸鍾 穴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氣血 이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한 佝僂病에 髓를 滋養해주는 의미로 絶骨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玉龍歌」에서는 寒濕脚氣에 絶骨穴과 함께 足三里, 三陰交穴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風池穴의 경우는 痰飮에 의한 偏頭 痛 및 正頭痛을 치료한다고 하여, 絶骨穴과 風池穴이 佝僂病을 치료한다는 「玉龍賦」 의 내용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佝 僂病의 발병 원인이 氣血 소통이 이루어 지 지 않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러므로 氣血 소통이 이루어 지지 않는 이유를 寒濕 에 의한 것으로 인식할 경우 絶骨穴을 적용 할 수 있고, 寒濕이 積滯됨으로 인해 痰飮이 발생하여 頭痛뿐만 아니라 佝僂病을 유발할 수 있다고 인식할 경우 風池穴을 응용할 수 있다.


[原 文] 人中曲池可治其痿傴. 

[解 釋]
人中穴과 曲池穴은 痿傴를 치료한다. 

[比 較]
中風之症症非輕, 中衝二穴可安寧, 先補後 瀉如無應, 再刺人中立便輕.
兩肘拘攣筋骨連, 艱難動作欠安然, 只將曲 池針瀉動, 尺澤兼行見聖傳. 

[注 釋]
痿 : 痿病은 팔다리가 연약해서 힘이 없 는 것을 말하며, 특히 아랫도리를 못 쓰고 심지어는 살이 시들어 오그라들기까지 하는 병증으로 下肢에서 多發하기 때문에 痿躄이 라고도 한다. 肺熱傷津, 濕熱浸淫이나 氣血 不足, 肝腎虧虛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된 치료법은 淸熱潤燥, 淸熱燥濕, 滋陰養 血, 補益肝腎, 益氣健脾, 化痰, 行瘀, 消導 등 의 치법이 있을 수 있다. 서양의학의 근위축
성측삭경화증, 근위축증, 근이영양증 등이 이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5). 

[考 察]
人中穴은 奇經八脈 가운데 하나인 督脈經 에 속하는 穴로 水溝穴이라고도 불린다. 醒 神開竅, 淸熱熄風하는 효능이 있고, 昏迷, 昏 厥, 癲狂, 急慢驚風, 喎僻, 腰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曲池穴은 手陽明大腸經의 合穴 로 脈氣가 이 穴로 流注되는 것이 물이 못 속으로 흘러들어가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曲池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즉, 陽經에 속하면서 陰氣가 모이는 곳이므로 陰陽의 通化를 이루어 내니, 曲池穴을 조절하여 氣 分을 치료하지만 養陰의 효과를 얻을 수 있 는 것이다. 散風止痒하고 淸熱消腫하는 효능 이 있고, 熱病, 咽喉腫痛, 手臂腫痛, 上肢不 遂, 手肘無力 등의 증상을 치료 한다 6).
「玉龍歌」에서는 人中穴과 曲池穴이 痿 傴를 치료한다는 내용이 없다. 다만 人中穴 은 中風症을 치료하고, 曲池穴은 兩肘拘攣을 치료한다고 하여 일정 정도 관련성을 가지 고 있다. 즉, 痿病과 佝僂病이 모두 氣血이 제대로 소통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氣血疏通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人中穴과 曲池穴을 조절하여 氣血의 소통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原 文]
期門刺傷寒未解, 經不再傳. 

[解 釋]
傷寒이 풀리지 않고 다른 經으로 傳變되 지 않은 경우에 期門穴을 刺鍼한다. 

[比 較]

傷寒過經尤未解, 須向期門穴上針. 

[考 察]
期門穴은 足厥陰肝經에 속하는 穴로 穴名 에 氣血이 歸入하는 門戶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疏肝健脾하고 和胃降逆하는 효능을 가 지고 있으며, 胸脇脹滿疼痛, 嘔吐, 呑酸, 咳 喘, 傷寒熱入血室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이 외에도 傷寒의 過經不解할 때 豫防의 要穴 로 인식되고 있다 6).


[原 文]
鳩尾針癲癎已發, 愼其妄施. 

[解 釋]
癲癎이 이미 발생한 것에 鳩尾穴을 刺鍼 하는데, 함부로 施鍼하지 말고 삼가야 한다. 

[比 較]
鳩尾獨治五般癎, 此穴須當仔細觀, 若然着 艾宜七壯, 多則傷人針亦難. 

[注 釋]
癲 癎 : 발작적으로 의식장애가 오는 것 을 주증으로 하는 병증이다. 七情內傷, 飮食, 風 등으로 肝脾腎이 장애되어 발생한다. 특 이하게 『素問·奇病論』에서는 癲癎病을 胎 病으로 인식하여, 산모가 크게 놀라 氣가 上 逆하여 내려오지 못하고, 精氣도 氣를 따라 逆上하여 위에만 머물게 됨으로써 아래로 胎兒를 기르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설 명하고 있다 5). 

[考 察] 鳩尾穴은 奇經八脈 가운데 하나인 任脈에 속하는 穴이다. 安心寧神, 寬胸定喘하는 효 능이 있으며, 癲狂, 癎症, 哮喘 등의 증상을 치료 한다 6). 한편, 「玉龍歌」에서는 灸法을 사용할 경우 7壯으로 한정을 하면서, 灸法을 많이 사용할 경우 오히려 부작용이 생길 수 있음을 경고 하고 있다.


[原 文]
陰交水分三里, 蠱脹宜刺. [解 釋]
蠱脹證에는 陰交·水分·足三里穴에 刺鍼한 다.
[比 較]
水病之疾最難熬, 腹滿虛脹不肯消, 先灸水 分幷水道, 後針三里及陰交. 

[注 釋]
蠱 脹 : 脹滿의 하나로 虫鼓라고도 한다. 

[考 察]
足三里穴은 足陽明胃經에 속하는 穴로 和 胃健脾, 通腑化痰, 升降氣機의 효능을 가지 고 있으면서 胃痛, 嘔吐, 腹脹, 頭暈, 癲狂, 脚氣, 水腫 등의 질환을 치료한다. 한편, 足 三里穴은 四海 가운데 水穀海인 胃의 所通 穴이며, 足陽明胃經의 五輸穴 가운데 合穴에 속하고, 六腑下合穴의 하나로 胃의 下合穴에 속한다. 특히, 下合穴의 경우 六腑의 질환을 조절하는 것으로 疏通과 下行을 주된 기능 으로 보고 있다 6). 이상의 여러 가지 정황을 참고로 할 때 足三里穴은 胃의 腐熟기능을 도와 濕이 積滯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水穀之氣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전신 에 氣血(영양)을 공급하고 氣血의 순환을 돕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三陰交穴은 足太陰脾經에 속하는 穴로 健 脾利濕, 兼調肝腎의 효능을 가지면서 脾胃虛 弱, 飱泄, 消化不良, 水腫, 足痿痹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아울러 十二經의 標本을 구 분할 때 三陰交穴은 足太陰脾經의 本部에 해당된다. “急則治其標, 緩則治其本”과 正氣 를 補할때는 本을 사용하고 邪氣를 제거할 때는 標를 사용한다는 원칙 6) 을 염두에 둔다 면, 三陰交穴은 正氣를 補하여 氣血의 순환 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돕고, 이러한 기능 을 통해 水濕에 의한 蠱脹症을 치료하는 것 으로 설명할 수 있다.
水分穴은 任脈에 속하는 穴로 안으로 小 腸에 應하여 淸濁을 分別하는 小腸의 기능 을 도와 水病을 主治하므로 水分의 명칭을 얻게 되었다. 通調水道하고 理氣止痛하는 효 능이 있으며, 腹脹腸鳴, 水腫鼓脹, 面腫 등 水濕의 停滯와 관련된 증상을 치료 한다 6). 이상에서 살펴보듯이 足三里, 三陰交, 水分 穴은 모두 水濕의 停滯를 조절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水濕의 停滯와 관련이 있 는 蠱脹症에 응용할 수 있다.
한편, 「玉龍歌」에서는 三陰交·水分·足三 里穴이 水濕에 의한 腹滿·虛脹을 치료한다 고 설명하면서, 水分穴에 먼저 灸法을 사용 하고 뒤이어 足三里穴과 三陰交穴에 刺鍼한 다고 설명하고 있다.


[原 文]
商丘解谿坵墟, 脚痛堪追. [

解 釋] 商丘·解谿·丘墟穴은 脚痛을 능히 몰아 낼 수 있다. 

[比 較] 脚背疼起丘墟穴, 斜針出血卽時輕, 解谿再 與商丘識, 補瀉行針要辨明.
[考 察]
商丘穴은 足太陰脾經에 속하는 穴로 健脾 化濕, 肅降肺氣하는 효능이 있으며, 腹脹, 腸 鳴, 泄瀉, 怠惰嗜臥, 小兒癎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解谿穴은 足陽明胃經에 속하는 穴 로 淸胃降逆, 鎭驚寧神하는 효능이 있으며, 腹脹, 便秘, 頭面浮腫, 眩暈 등의 증상을 치 료한다. 丘墟穴은 足少陽膽經에 속하는 穴로 扶正祛邪, 疏肝健脾하는 효능이 있으며, 目 赤腫痛, 脚下腫, 下肢痿痺, 外踝腫痛 등의 증 상을 치료한다 6).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3 穴은 모두 水濕의 停滯를 풀어주는 공통된 효능이 있다. 그러므로 본 조문의 脚痛은 水 濕이 停滯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玉龍歌」에서는 脚痛에 丘墟穴 을 刺絡하여 出血시키고, 解谿穴과 商丘穴의 경우 辨證을 하여 補瀉法을 시행해야 한다 고 설명하고 있다. 즉, 丘墟穴을 먼저 刺絡 하여 出血시킨다는 것은 出血을 통해 氣血 疏通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水濕의 停滯를 풀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原 文] 尺澤理筋急之不用. 

[解 釋]
尺澤穴은 筋이 당겨 사용하지 못하는 것 을 다스린다. 

[比 較] 筋急不開手難伸, 尺澤從來要認眞. 

[考 察]
筋이 당기는 증상은 크게 2가지의 원인으 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陰血이 不足하여 筋을 영양하지 못하여 나타날 수 있고, 둘째는 陽氣가 不足하여 筋을 溫煦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다. 尺澤穴은 手太陰肺經에 속 하는 穴로 肅降肺氣, 滋陰潤肺하는 효능이 있으며, 咳嗽, 氣喘, 潮熱舌乾, 咯血 등의 증 상을 치료한다 6). 한편, 尺澤穴은 手太陰肺經 의 合穴이 되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合穴 은 水에 배속이 되어 補腎育陰의 효능이 있 다. 또한, 肺는 氣를 주관하면서 通調水道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전신의 氣 순환 을 주관하면서 氣의 推動작용을 통해 津液 을 돌려주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의 내용을 통해 볼 때 본 조문의 筋急은 陰 血이 부족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 고, 尺澤이 筋急을 다스리는 기전은 氣를 돌 려주는 과정에서 津液을 筋에 공급하여 치 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合穴의 특성으로 직접 腎水를 길러줌으로써 滋陰의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原 文] 腕骨g手腕之難移. 

[解 釋]
腕骨穴은 손목을 움직이지 어려운 경우를 치료한다. 

[比 較] 腕中無力痛艱難, 握物難移體不安, 腕骨一 針雖見效, 莫將補瀉等閑看. 

[考 察]
腕骨穴은 手太陽小腸經에 속하는 穴로 增 液止渴, 利膽退黃하는 효능이 있으며, 瘧疾, 消渴, 驚風, 瘈瘲, 頭痛項强, 臂痛指攣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腕骨穴의 효능과 主治症 을 통해 볼 때 본 조문의 증상은 陰液의 不
足과 水濕의 停滯가 兼하여 발생하는 것으 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肩脊痛兮, 五樞兼於背縫. 

[解 釋]
어깨와 척추의 통증에는 背縫穴에 五樞穴 을 兼한다. 

[比 較] 肩背風氣連臂疼, 背縫二穴用針明, 五樞亦 治腰間痛, 得穴方知疾頓輕. [注 釋]
背 縫 : 肩端骨直下 後腋縫尖上 膏肓穴外 方約5分處 [考 察] 背縫穴은 經外奇穴이고, 五樞穴은 足少陽 膽經에 속하는 穴이다. 五樞穴은 經脈이 縱 橫으로 交錯하기 때문에 五樞라는 穴名을 얻게 되었다. 調經固帶, 理氣止痛하는 효능 이 있으며, 陰挺, 月經不調, 疝氣, 少腹痛, 腰 胯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玉龍歌」에 서는 背縫穴의 경우 肩背痛을, 五樞穴의 경 우 腰間痛을 치료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있 다.


[原 文]
肘攣疼兮, 尺澤合於曲池. 

[解 釋]
팔꿈치가 오그라들며 아픈 증에는 曲池穴 에 尺澤穴을 합한다. 

[比 較] 兩肘拘攣筋骨連, 艱難動作欠安然, 只將曲 池針瀉動, 尺澤兼行見聖傳.

[考 察]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曲池穴은 陰液을 보 충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尺澤 穴은 氣를 돌려줌으로써 津液을 전신으로 공급하는 효능과, 직접 水를 보충하는 효능 을 兼하고 있다. 본 조문과 관련 있는 「玉 龍歌」의 문장에서는 먼저 曲池穴을 취하고 尺澤穴을 겸하여 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할 때 肘攣의 증상을 陰 液不足에 의해 발생하는 병증으로 본 것이 라고 추론할 수 있다. 그러므로 曲池穴을 주 된 치료혈로 제시하였고, 아울러 氣를 돌려 줄 수 있는 尺澤穴을 兼하여 取穴한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原 文]
風濕搏於兩肩, 肩髃可g.

[解 釋]
風濕이 양 어깨에 뭉쳐진 경우는 肩髃穴 로 치료할 수 있다. [比 較] 肩端紅腫痛難當, 寒濕相爭氣血旺, 若向肩 髃明補瀉, 管君多灸自安康. 

[考 察]
肩髃穴은 手陽明大腸經에 속하는 穴로 散 風淸熱, 消痰止痒하는 효능이 있고, 風熱癮 疹, 瘰癧, 肩臂疼痛, 手臂攣急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이상의 효능과 主治症을 살펴볼 때 본 조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風濕은 風熱 과 濕熱을 兼하여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주로 熱性 질환에 肩髃穴을 이용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玉龍歌」에서는 어깨 부위가
붉게 붓고 통증이 발생하는 病因을 寒濕때 문이라고 하여 風濕을 病因으로 인식한 「玉龍賦」와 약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玉龍歌」에서는 寒濕을 病因으로 인식하 였기 때문에 肩髃穴로 치료함에 灸法을 사 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2가지 견해를 비교해 볼 때 風熱 이나 濕熱에 의한 肩臂痛에 肩髃穴을 사용 할 경우 刺鍼을 하는데, 이 경우는 鬱結된 氣를 소통시켜 주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 에 비해 寒濕으로 인한 肩臂痛에 肩髃穴을 사용할 경우는 灸法을 이용하는데, 이는 陽 氣를 북돋아 줌으로써 氣의 소통을 유도하 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寒症과 熱症에 따라 치료 방법이 鍼刺法과 灸法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모두 氣血의 소통을 유도 한다는 공통된 효능을 가지고 있다.


[原 文]
壅熱盛乎三焦, 關衝最宜. 

[解 釋]
壅滯된 熱이 三焦에 盛한 경우 關衝穴이 가장 마땅하다. 

[比 較] 三焦熱氣壅上焦, 口苦舌乾豈易調, 針刺關 衝出毒血, 口生津液病俱消. 

[考 察] 「玉龍歌」에서는 三焦의 熱氣가 주로 上 焦에 壅滯되어 口苦舌乾 등의 증상이 나타 나는 것으로 설명하면서, 關衝穴을 刺絡하여 毒血을 빼내는 것으로 치료법을 설명하고 있다. 즉, 刺絡療法을 통해 上焦에 壅滯된 熱을 泄해줌으로써, 熱을 제거 할 뿐만 아니라 氣血의 소통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氣 血이 소통됨으로써 口苦舌乾 등의 津液 不 足 증상이 소실되는 것이다.


[原 文]
手臂紅腫, 中渚液門要辨. 

[解 釋]
팔이 붉게 부은 경우는 中渚穴과 液門穴 을 사용하는데 변별을 해야 한다. 

[比 較]
手臂紅腫連腕疼, 液門穴內用針明, 更將一 穴名中渚, 多瀉中間疾自輕. 

[考 察]
中渚穴과 液門穴은 手少陽三焦經에 속하 는 穴로 공통적으로 淸熱의 효능이 있으며, 頭痛, 臂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한편, 「玉龍歌」에서는 주로 瀉法을 사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니, 본 조문에서 手臂의 紅腫 症에 中渚穴과 液門穴을 取穴한 것은 瀉法 을 통해 熱을 泄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脾虛黃疸, 腕骨中脘何疑. 

[解 釋]
脾虛로 인한 黃疸에는 腕骨穴과 中脘穴을 사용하는 것을 어찌 의심하겠는가? 

[比 較]
脾家之症有多般, 致成翻胃吐食難, 黃疸亦 須尋腕骨, 金針必定奪中脘. 

[注 釋]
黃 疸 : 온몸과 눈, 오줌이 누렇게 되는 병증. 주로 濕熱이나 寒濕이 中焦에 몰려 발
생한다. 陽黃疸일때는 濕熱을 없애는 치법을 쓰고, 陰黃疸일때는 脾陽을 補하면서 寒濕을 없애는 치법을 쓴다. 

[考 察]
腕骨穴은 手太陽小腸經에 속하는 穴로 增 液止渴, 利膽退黃하는 효능이 있으며, 瘧疾, 消渴, 驚風, 瘈瘲, 頭痛項强, 臂痛指攣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腕骨穴은 手太陽小 腸經의 原穴이다. 原穴은 原氣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니, 臟腑와 經絡의 氣는 그 생산 의 근원이 原氣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原穴은 氣의 소통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 며, 주로 扶正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原氣를 補함으로써 邪氣에 대항하는 방어의 기능과 祛邪의 효능을 兼하고 있다6).
한편, 中脘穴은 任脈에 속하고 八會穴 가 운데 腑會에 속하는 穴로 和胃健脾, 通降腑 氣의 효능이 있고, 胃脘疼痛, 腹脹納呆, 嘔 吐, 翻胃呑酸, 腸鳴泄瀉, 黃疸脇疼 등의 증상 을 치료한다 6).
이상 2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본 조문의 黃疸은 본문에서도 언급되었듯이 虛症에서 유발된 것이다. 특히, 脾陽이 虛하 여 체내에 寒濕이 쌓여 발생한 것으로 추론 할 수 있다. 때문에 手太陽小腸經의 原穴인 腕骨穴을 선택하여 原氣를 補하여 氣의 소 통을 증진시킴으로써 寒濕의 積滯를 완화시 키고, 兼하여 和胃健脾의 효능이 있는 中脘 穴을 선택하여 脾陽을 補하여 脾의 運化기 능을 증진시킨 것이다. 즉, 2穴을 取穴하여 脾의 運化기능을 증진시키고 寒濕의 積滯를 제거함으로써 脾虛로 유발된 黃疸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原 文]
傷寒無汗, 攻復溜宜瀉 ; 傷寒有汗, 取合谷 當隨.
[解 釋]
傷寒에 땀이 없을 경우에는 復溜穴을 공 격하여 瀉하는 것이 마땅하다. ; 傷寒에 땀 이 나는 경우는 合谷을 취하는데 마땅히 그 증상을 따라서 치료해야 한다. 

[比 較]
無汗傷寒瀉復溜, 汗多宜將合谷收, 若然六 脈皆微細, 金針一補脈還浮. 

[考 察]
傷寒의 無汗과 有汗은 麻黃湯證과 桂枝湯 證을 의미하는 것으로 “傷寒”과 “中風”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風寒邪에 감촉되었 을 때 麻黃湯證과 桂枝湯證으로 나뉘어지게 되는 이유에 대해서 歷代의 醫家들이 다양 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리해보 면 邪氣의 輕重과 體質의 强弱에 의해 兩分 되는 것이다. 즉, 麻黃湯證은 體質이 强한 사람이 비교적 重한 風寒邪의 침습을 받은 것이고, 桂枝湯證은 體質이 弱한 사람이 비 교적 輕한 風寒邪의 침습을 받은 것이다. 그 러므로 無汗이 대표적인 증상인 麻黃湯證은 發表를 통해 邪氣의 제거에 치법이 집중되 는 것이고, 有汗이 대표적인 증상인 桂枝湯 證은 肌肉을 풀어주는 扶正祛邪의 치법을 시행해야 한다 11). 「玉龍歌」에서 無汗에 復 溜穴을 瀉하고 有汗에 合谷穴을 補하여 수 렴시킨다고 한 것은 이와 같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欲調飽滿之氣逆, 三里可勝. 

[解 釋]
飽食으로 인해 그득하여 氣가 逆한 것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三里穴이 좋다. 

[比 較]
傷寒過經尤未解, 須向期門穴上針, 忽然氣 喘攻胸膈, 三里瀉多須用心. 

[考 察]
足三里穴은 足陽明胃經에 속하는 穴로 和 胃健脾, 通腑化痰, 升降氣機의 효능을 가지 고 있으면서 胃痛, 嘔吐, 腹脹, 頭暈, 癲狂, 脚氣, 水腫 등의 질환을 치료한다. 한편, 足 三里穴은 四海 가운데 水穀海인 胃의 所通 穴이며, 足陽明胃經의 五輸穴 가운데 合穴에 속하고, 六腑下合穴의 하나로 胃의 下合穴에 속한다. 특히, 下合穴의 경우 六腑의 질환을 조절하는 것으로 疏通과 下行을 주된 기능 으로 보고 있다 6). 이상의 여러 가지 정황을 참고로 할 때 足三里穴은 胃의 腐熟기능을 도와 濕이 積滯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水穀之氣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사지 말단에 氣血(영양)을 공급하고 氣血의 순환 을 돕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玉龍賦」에서는 飽食으로 인한 氣 逆에 足三里穴을 取한다고 한 반면에, 「玉 龍歌」에서는 傷寒에 갑자기 喘證이 발생하 면서 上逆한 氣가 胸膈을 공격할 때 足三里 穴을 瀉한다고 하였으니, 病因에 있어 차이 점이 있다. 그러나 上逆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 기전이 체내의 氣血의 積滯로 인한 것이 라고 한다면 질병 발생의 기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玉龍歌」의 期門穴 및 足三里穴과 관련된 내용 을 별개의 문장으로 이해한다면, 胸膈으로 氣가 갑자기 上逆하여 발생하는 喘證은 胃 에 쌓인 濕熱로 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 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胃는 降濁작용을 한 다. 그런데 胃에 濕熱이 쌓이게 되어 降濁의 기능이 상실되면, 濕熱이 上逆하여 喘證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마땅히 足三 里穴을 瀉하여 濕熱을 제거하는 치법을 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原 文]
要起六脈之沉匿, 復溜稱神. 

[解 釋]
六脈의 沉匿을 일으키고자 할 때는 復溜 穴이 신묘하다. [比 較] 無汗傷寒瀉復溜, 汗多宜將合谷收, 若然六 脈皆微細, 金針一補脈還浮. 

[考 察] 「玉龍歌」에서는 傷寒에 六脈이 微細한 경우 復溜穴과 合谷穴에 補法을 시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여, 六脈이 微細한 것의 원인 을 外感 寒邪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復 溜穴은 足少陰腎經에 속하는 穴로 足少陰의 脈氣가 湧泉穴에서 시작하여 然谷, 太谿, 照 海등을 거쳤다가 다시 復溜穴로 모여 흐르 기 때문에 復溜라는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 즉, 足少陰腎經의 脈氣가 왕성한 穴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또한, 復溜穴은 補腎益陰, 通 調水道하는 효능이 있으면서, 水腫, 腹脹, 脈 細無力, 腰脊强痛, 舌乾口燥 등의 증상을 치 료한다 6). 이상의 復溜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玉龍賦」에서 언급한 六脈의 沉匿은 腎陽의 虛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조문의 六脈의 沉匿을 腎陽의 虛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론할 경우, 이것은 內傷과 관련된 것으로, 「玉龍 歌」에서 언급한 外感 寒邪에 의해 발생하 는 것과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寒邪에 침습되어 病이 발생한 경우 적기의 치료를 행하지 않아 시기가 지나거나 혹은 誤治를 행할 경우 체내의 正氣가 모손되게 된다. 이 와 같이 正氣가 모손된 경우 오로지 邪氣의 제거만을 고집할 수 없다. 즉, 外感病에서도 腎陽의 虛로 인해 脈이 沈細한 경우는 다반 사로 나타나게 되니, 『傷寒論』에서 眞武湯 을 응용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조문의 경우 마땅히 腎陽 을 補하는 치법을 시행할 수 있으니, 復溜穴 을 補하는 것이 적합한 치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原 文]
照海支溝, 通大便之秘. 

[解 釋]
照海穴과 支溝穴은 大便의 秘結을 通하게 한다.
[比 較]
大便閉結不能通, 照海分明在足中, 更把支 溝來瀉動, 方知妙穴有神功. 

[考 察]
照海穴은 足少陽膽經에 속하는 穴로 陰蹻 脈이 생겨나는 곳이고 足少陰의 脈氣가 몰 려드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치적 속성 으로 調陰寧神하고 通調二陰하는 효능이 있으며, 月經不調, 痛經, 赤白帶下, 陰挺, 目赤 腫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한편, 支溝穴은 手少陽三焦經에 속하는 穴로 淸熱聰耳, 降逆 潤腸하는 효능이 있으며, 耳聾, 耳鳴, 嘔吐, 便秘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이상 2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본 조문의 大便 秘結은 체내의 熱로 인해 陰液이 모손되어 발생하는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原 文]
內庭臨泣, 理小腹之䐜. 

[解 釋]
內庭穴과 臨泣穴은 小腹이 부어오른 증상 을 다스린다. 

[比 較] 小腹脹滿氣攻心, 內庭二穴要先針, 兩足有 水臨泣瀉, 無水方能病不侵. 

[注 釋]
臨 泣 : 足臨泣穴을 가리킨다. 

[考 察]
足臨泣穴은 足少陽膽經에 속하는 穴로 平 肝熄風, 化痰消腫하는 효능이 있으며, 中風 偏癱, 瘧疾, 頭痛, 脇肋痛, 痺痛, 足跗腫痛 등 의 증상을 치료한다. 內庭穴은 足陽明胃經에 속하는 穴로 和胃健脾, 淸心安神하는 효능이 있으며, 腹痛, 腹脹, 泄瀉, 痢疾, 熱病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이상 2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본 조문의 小腹䐜脹證은 濕熱로 인해 발생 한 병증으로 볼 수 있다. 한편, 「玉龍歌」 에서는 臨泣穴을 瀉하여 水濕을 제거하면 小腹脹滿의 증상이 재발되지 않는다고 설명 하면서 小腹脹滿의 病因을 水濕으로 인식하
고 있다. 『素問·至眞要大論』의 病機十九條 에서는 腹部脹滿에 대해 脾의 運化기능 低 下와 와 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하 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劉河間 은 濕熱에 의해 복부 脹滿證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李東垣은 寒脹은 많고 熱脹 은 적다라는 주장을 하면서, 腹部脹滿의 증 상을 寒脹證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5). 이와 같이 脹滿證의 病因에 대한 인 식은 陽證과 陰證으로 양분되고 있는데, 본 조문의 경우에는 陽證인 熱脹 즉 濕熱에 因 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天突膻中醫喘嗽. 

[解 釋] 天突穴과 膻中穴은 喘嗽를 치료한다. 

[比 較]
哮喘之症最難當, 夜間不睡氣遑遑, 天突妙 穴宜尋得, 膻中着艾便安康. 

[注 釋]
喘 : 喘證은 숨을 헐떡이며 숨소리가 거 친 것을 위주로 하는 病證이다. 주로 편히 눕지 못하는 증상이 겸하여 나타난다. 病因 은 肺, 胃, 腎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肺는 宣發과 肅降의 기능을 통해 全身 의 氣血을 소통시키는데, 肺에 風寒이 침습 하거나 燥熱이 생길 경우 氣가 下行하지 못 하여 喘證이 발생하게 된다. 胃는 降濁기능 이 있어 下行을 위주로 하는데, 脾의 운화기 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되어 胃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氣가 上逆하여 喘 證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腎陽이 虛하여 納氣를 하지 못하면 氣가 上逆하여 喘證이 발생하기도 하고, 또한 水氣가 上泛하여 肺 를 침범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5). [考 察]
天突穴은 任脈에 속하는 穴로 宣通肺氣, 消痰止咳의 효능이 있으며, 咳嗽哮喘, 胸中 氣逆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한편, 膻中穴도 任脈에 속하는 穴로 理氣止痛, 生津增液의 효능이 있으면서 胸痛氣喘, 哮喘, 咳逆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膻中穴은 八會穴 가 운데 氣會에 해당되는 穴로 肺의 呼吸을 주 관하는 穴이다 6).
한편, 「玉龍歌」에서는 哮喘症을 치료하 는 穴로 天突穴과 膻中穴을 제시하면서, 膻 中穴의 경우 灸法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 하고 있다. 즉, 본 조문의 喘嗽證을 肺氣의 虛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한 것이니, 膻中穴에 灸法을 사용하는 것은 肺氣의 宣 發기능을 도와주려는 목적으로 응용된 치법 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地倉頰車g口喎. 

[解 釋] 地倉穴과 頰車穴은 口眼喎斜를 치료한다. 

[比 較]
口眼喎斜最可嗟, 地倉妙穴連頰車, 喎左瀉 右依師正, 喎右瀉左莫令斜. 

[注 釋]
口 喎 : 입과 눈이 한쪽으로 비뚤어진 병 증으로 주로 風痰이 經脈에 침습하여 발생 한다.
[考 察]
地倉과 頰車穴은 모두 足陽明胃經에 속하 는 穴로 散風止痛, 舒筋活絡의 효능을 가지 고 있으면서 口眼喎斜에 常用하는 穴로 알 려져 있다 6).


[原 文] 迎香攻鼻窒爲最. 

[解 釋] 迎香穴은 코가 막힌 것을 공격하는데 가 장 좋다. 

[比 較] 不聞香臭從何治, 迎香兩穴可堪攻, 先補後 瀉分明效, 一針未出氣先通. 

[考 察]
迎香穴은 手陽明大腸經에 속하는 穴로 散 風淸熱, 通利鼻竅의 효능이 있으며, 鼻塞, 鼻 衄, 鼻淵 등 주로 코의 질환에 常用되는 穴 이다 6). 효능과 主治症을 살펴보면, 주로 風 熱이 病因이 되어 발생하는 코의 질환에 응 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니, 본 조문의 鼻 塞의 증상도 風熱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 론할 수 있다.


[原 文] 肩井除臂痛如拿. 

[解 釋] 肩井穴로 臂痛을 제거하는 것은 손에 쥐 는 것과 같이 쉽다. 

[比 較] 急疼兩臂氣攻胸, 肩井分明穴可攻, 此穴元 來眞氣聚, 補多瀉少應其中. 

[考 察] 「玉龍歌」에서는 肩井穴이 眞氣를 모으는 효능이 있다고 하면서, 補法을 위주로 해 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原 文] 二間治牙疼. 

[解 釋] 二間穴은 牙疼을 치료한다. 

[比 較]
牙疼陣陣苦相煎, 穴在二間要得傳. 

[考 察]
二間穴은 手陽明大腸經에 속하는 穴로 淸 熱消腫하는 효능이 있으며, 喉痺, 鼻衄, 目 痛, 齒痛, 口乾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二 間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본 조문 의 牙疼은 내부의 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 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中魁(1)理翻胃而卽愈. 

[解 釋]
中魁穴로 翻胃를 다스리면 바로 치유된다. 

[比 較]
若患翻胃幷吐食, 中魁奇穴莫敎偏. 

[注 釋]
中 魁 : 手中指背側正中線上 屈指時 中指 節骨과 遠側指節骨間의 高點 

[考 察]
中魁穴은 經外奇穴로 降逆和胃하는 효능 이 있으며 反胃, 吐食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6).


[原 文] 百8止虛汗.
[解 釋]
百8穴은 虛汗을 그치게 한다. 

[比 較]
滿身發熱通爲虛, 盜汗淋淋漸損軀, 須得百 8椎骨穴, 金針一刺疾俱除. 

[注 釋]
(1) 百 8 : 大椎穴上 2寸, 傍1寸 [考 察]
百8穴은 經外奇穴로 化痰消塊, 止咳平喘 하는 효능이 있으며, 瘰癧, 咳嗽, 盜汗自汗, 骨蒸潮熱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한편, 「玉龍歌」에서는 百8穴이 椎骨穴과 함께 虛로 인해 발생하는 滿身發熱·盜汗·淋症을 치료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할 때 百8穴은 주로 陰虛로 인해 발생하는 盜汗 및 虛熱性 질환의 치료에 응 용할 수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通里g心驚而卽差. 

[解 釋]
通里穴로 心驚症을 치료하면 바로 치료된 다.
[比 較]
連日虛煩面赤壯, 心中驚悸亦難當, 若須通 里穴尋得, 一用金針體便康. 

[考 察]
通里穴은 手少陰心經에 속하는 穴로 寧志 安神, 益陰淸心하는 효능이 있으며, 心痛, 心 悸怔忡, 面紅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玉 龍歌」에서는 虛煩 등 虛證을 치료하는 것 으로 설명하고 있는바, 본 조문의 心驚證은 心虛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大小骨空, 治眼爛能止冷r. [

解 釋]
大骨空穴과 小骨空穴은 眼爛을 치료하고 冷r를 그치게 한다. 

[比 較] 風眩目爛最堪憐, r出汪汪不可言, 大小骨 空皆妙穴, 多加艾火疾應痊. 

[注 釋]
大骨空 : 拇指背側正中線, 近側指節骨과 遠側指節骨關節의 高點
小骨空 : 小指背側第二指骨關節橫紋中點 [考 察]
大骨空穴과 小骨空穴은 經外奇穴로 明目 하는 효능이 있으며, 目痛 目翳, 目爛, 冷r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특히 이 2穴은 모두 灸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6),「 玉龍歌」에서도 灸法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原 文]
左右太陽, 醫目疼善除血翳. 

[解 釋]
左右의 太陽穴은 目疼을 치료하고 血翳를 제거한다. 

[比 較] 目痛忽然血貫睛, 羞明更澀最難睜, 須得太 陽針血出, 不用金刀疾自平. 

[考 察]
본 조문에 제시된 血翳에 대해 「玉龍 歌」에서는 火熱로 인한 질환으로 인식하면서 太陽穴을 刺絡하여 出血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血翳의 증상은 火熱이 鬱結 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그 病因을 火熱이 鬱結되어 氣血이 소통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淸熱消腫, 止痛舒絡의 효능이 있는 6) 太陽穴을 刺絡하 여 出血시킴으로써 鬱結된 火熱을 소통시켜 주는 것이다. 散風淸熱, 明目退翳 시키는 효 능이 있어 目赤腫痛, 目眦痒, 目視不明 등을 치료하는 睛明穴을 刺鍼할 수 있다. 특히, 太陽穴에 刺絡요법을 쓴 것은 出血을 통해 氣血의 소통을 도와줌으로써 鬱結된 火熱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刺絡요법을 통해 出血을 시키는 치료법은 金元時代의 대표적 醫家인 張子和가 다용했던 방법으로 12) 氣血소통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原 文]
心兪腎兪, 治腰腎虛乏之夢遺. 

[解 釋]
心兪穴과 腎兪穴은 腰痛과 腎의 虛乏으로 인한 夢遺를 치료한다. 

[比 較] 膽寒由是怕驚心, 遺精白濁實難禁, 夜夢鬼 交心兪治, 白環兪治一般針.
腎敗腰虛小便頻, 夜間起止苦8神, 命門若 得金針助, 腎兪艾灸起邅迍.
腎弱腰疼不可當, 施爲行止甚非常, 若知腎 兪二穴處, 艾火頻加體自康. 

[考 察]
夢遺의 증상과 腎虛로 인한 腰痛은 水火 未濟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즉, 遺精이나 夢泄 등은 모두 心火가 盛하여 나타나는 병증이다. 이에 비해 腰痛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본 조문에서는 腎虛로 인한 腰痛을 언급하고 있다. 즉, 아래로 내 려와야 할 心火가 내려오지 못하고 위로 上 逆하여 遺精과 夢泄등의 증상이 발생한 것 이고, 아래에서는 腎精이 부족하여 위로 올 라가지 못하고 腎虛로 인한 腰痛이 발생한 것이다. 치료법은 마땅히 寬胸降氣, 安神寧 心하는 효능이 있는 心兪穴로 遺精과 夢泄 의 증상을 치료하고, 益腎助陽, 納氣利水의 효능이 있는 腎兪穴로 腎虛腰痛을 치료한다
6). 특히, 腎虛로 인해 발생하는 腰痛은 「玉 龍歌」에서 제시하였듯이 灸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사료된다.


[原 文]
人中委中, 除腰脊痛閃之難制. 

[解 釋]
人中穴과 委中穴은 허리와 척추의 통증과 삔 증상의 제어하기 어려운 것을 제거한다. 

[比 較]
强痛脊背瀉人中, 挫閃腰痠亦可攻, 更有委 中之一穴, 腰間諸疾任君攻. 

[考 察]
人中穴은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奇經八 脈 가운데 하나인 督脈經에 속하는 穴로 水 溝穴이라고도 불린다. 醒神開竅, 淸熱熄風하 는 효능이 있고, 昏迷, 昏厥, 癲狂, 急慢驚風, 喎僻, 腰痛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주로 기혈 소통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한편, 委中 穴은 足太陽膀胱經에 속하는 穴로 淸熱醒腦, 理血消腫의 효능이 있고, 腹痛, 遺尿, 腰痛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특히 腰痛 치료 시 常用하는 穴로 알려져 있다 6).


[原 文]
太谿崑崙申脈, 最g足腫之迍. 

[解 釋]
太谿穴과 崑崙穴, 申脈穴은 다리가 부어 걷지 못하는 것을 가장 잘 치료한다. 

[比 較]
腫紅腿足草鞋風, 須把崑崙二穴攻, 申脈太 谿如再刺, 神醫妙訣起疲癃. 

[考 察]
太谿穴은 足少陰腎經의 穴로 足少陰經의 脈氣가 湧泉, 然谷穴을 거쳐 太谿穴에 이르 러 모여 머물기 때문에 太谿라는 穴名이 생 기게 되었다. 益腎納氣의 효능이 있으며 頭 痛目眩, 咽喉腫痛, 咳嗽氣喘, 內踝腫痛, 腹脹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崑崙穴과 申脈穴은 모두 足太陽膀胱經에 속한다. 崑崙穴은 淸熱 截瘧, 鎭驚止癎의 효능이 있으며 小兒癎證, 瘧疾, 頭痛, 腰痛, 脚跟痛 등의 증상을 치료 한다. 申脈穴의 “申”字는 “伸”字와 의미가 통하여 “脚屈難伸” 등의 병증을 주로 치료 하는데, 氣를 잘 퍼뜨리는 속성을 가지고 있 는 穴이다 6).
이상 3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본 조문의 足腫症은 熱이 鬱結되어 발생하 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특히 「玉龍歌」 에서 紅腫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니, 내부의 熱이 鬱結되어 퍼지지 못하여 발생하는 병 증인 것이다. 때문에 淸熱의 효능이 있는 崑 崙穴을 取穴하였고, 鬱結된 熱에 의해 진액 의 모손이 우려되기 때문에 足少陰腎經에 배속이 되어 腎陰을 더해주는 효능이 있는 太谿穴을 取穴하였다. 아울러 陽氣가 鬱結된 것이 주된 病因이므로 氣의 소통을 고려하 여 申脈穴을 取穴하였다. 전체적으로 陽氣의 怫鬱로 인해 下肢에 발생한 紅腫의 증상을 淸熱, 益陰, 通氣의 효능이 있는 穴을 배합 하여 치료한 것이다.


[原 文]
湧泉關元豐·, 爲治屍8之3. 

[解 釋]
湧泉穴과 關元穴, 豊·穴은 屍8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比 較] 傳屍癆病最難醫, 湧泉出血免災危, 痰多須 向豊·瀉, 氣喘丹田亦可施.
腎强疝氣發甚頻, 氣上攻心似死人, 關元兼 刺大敦穴, 此法親傳始得眞. 

[注 釋]
屍 8 : 전염성을 띤 만성소모성 질환으 로, 기침, 피가래, 潮熱, 胸痛, 몸이 여위는 등의 주요 증상을 나타낸다. 인체의 氣血不 足이 주된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考 察]
「玉龍歌」에서는 屍8症에 湧泉穴을 刺 絡하여 出血하고, 痰이 많은 경우 豊·穴을 瀉한다고 하였다. 湧泉穴은 足少陰腎經에 속 하는 穴로 益腎調便, 平肝熄風하는 효능이 있다 6). 屍8證의 경우 氣血不足이 원인인 만성소모성 질환이지만, 전염성을 띤 병원균 이 있는 경우이므로 湧泉穴을 刺絡하여 出 血시킴으로써 毒血을 배출시키는 효과를 거 둘 수 있다. 豊·穴은 足陽明胃經에 속하는 穴로 化痰定喘, 寧心安神의 효능이 있어, 주로 哮喘, 喘咳, 痰多, 癲狂 등 痰이 積滯되어 생기는 증상을 치료한다 6). 따라서 屍8證에 의해 유발되는 痰症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인 데, 이 경우 주로 瀉法을 응용할 수 있다.
한편, 關元穴의 경우 「玉龍歌」에서는 疝 氣로 인해 氣가 心을 上攻하여 죽은 사람처 럼 보이는 경우를 치료한다고 하여 「玉龍 賦」와 차이가 있다. 關元穴은 任脈에 속하 는 穴로 培補元氣, 導赤通淋의 효능이 있다
6). 元氣 즉 腎의 陽氣를 補해 주어 陽氣의 氣化작용을 북돋아 줌으로써 熱이 鬱結되어 발생하는 赤淋을 풀어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와 같이 關元穴의 효능을 인식할 때, 비록 「玉龍歌」에서 屍8證을 치료한다는 내용 은 없지만, 만성적인 氣血부족으로 인해 虛 熱이 발생하여 풀어지지 않는 경우 關元穴 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原 文]
印堂治其驚搐, 神庭理乎頭風. 

[解 釋]
印堂穴은 驚搐을 치료하고, 神庭穴은 頭風 을 다스린다. 

[比 較] 頭風嘔吐眼昏花, 穴取神庭始不差, 孩子慢 驚何可治, 印堂刺入艾還加. 

[注 釋]
印 堂 : 兩眉之正中央

[考 察] 「玉龍歌」에서는 구체적으로 小兒의 慢 驚風에 印堂穴을 사용하는데 鍼刺法과 灸法 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印 堂穴은 經外奇穴로서 鎭驚淸神, 明目通鼻의 효능이 있어 小兒의 急驚風과 慢驚風을 함 께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그러나 急驚風과 慢驚風은 實證과 虛證으로 명확하 게 구분되므로, 印堂穴을 이용함에도 역시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玉龍歌」에서는 小兒의 慢驚風에 鍼刺法과 灸法을 함께 사 용한다고 하였으나, 慢驚風에는 주로 灸法이 적당할 것이고, 鍼刺法의 경우에도 補法 위 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原 文]
大陵人中頻瀉, 口氣(1)全除. 

[解 釋]
大陵穴과 人中穴을 자주 瀉하면 口氣가 완전히 제거된다. 

[比 較] 口臭之疾最可憎, 8心只爲苦多情, 大陵穴 內人中瀉, 心得淸凉氣自平. 

[注 釋]
(1) 口 氣 :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으로 주로 脾胃에 熱이 몰리거나 心火가 盛하거 나 虛火가 있을 경우 발생한다. 

[考 察]
人中穴은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奇經八 脈 가운데 하나인 督脈經에 속하는 穴로 水 溝穴이라고도 불린다. 醒神開竅, 淸熱熄風하 는 효능이 있고, 昏迷, 昏厥, 癲狂, 急慢驚風, 喎僻, 腰痛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주로 氣血 소통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大陵穴은 手厥陰心包經에 속하는 穴로 寧心安神, 寬胸 和胃하는 효능이 있어, 心痛, 癎證, 口臭, 咳 血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大陵穴은 手厥陰心包經의 輸穴이자 原穴로 心包(心)의 氣血 소통에 관여하게 된다 6).
한편, 「玉龍歌」에서는 口氣가 8心, 즉 心火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면서, 大陵穴과 人中穴을 瀉하면 心火가 꺼져 치 료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위에 서도 살펴보았듯이 心의 氣血소통과 관련이 있는 大陵穴과 人中穴을 瀉함으로써 心火로 인해 발생하는 口氣症을 치료하는 것이다.


[原 文]
帶脈關元多灸, 腎敗堪攻. 

[解 釋]
帶脈穴과 關元穴에 뜸을 많이 뜨면 腎敗 를 능히 치료한다. 

[比 較] 腎氣衝心得幾時, 須用金針疾自除, 若得關 元幷帶脈, 四海誰不仰明醫. 

[考 察]
위에서도 살펴보았듯이 關元穴은 任脈에 속하는 穴로 培補元氣, 導赤通淋의 효능이 있다. 帶脈穴은 足少陽膽經의 穴로 足少陽과 帶脈의 交會穴이다. 帶脈은 허리를 한 바퀴 돌면서 몸통을 지나는 모든 經脈을 띠처럼 묶어주기 때문에 帶脈이라 부르는 것이다 6).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關元穴은 元氣를 補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고, 帶脈穴은 足少陽 과 帶脈의 交會穴로서 腰部 밀접한 관련성 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허리부위는 腎 氣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그러므로 腎陽 이 虛하여 발생하는 질환에 關元穴과 帶脈 穴을 응용할 수 있는 것이고, 주로 腎의 陽 氣虛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陽 氣를 補하는 의미에서 灸法을 多用하게 되는 것이다.


[原 文]
腿脚重疼, 鍼髖骨(1)膝關膝眼. 

[解 釋]
다리가 무겁고 아픈 경우에는 髖骨穴과 膝關穴, 膝眼穴에 鍼을 놓는다. 

[比 較]
髖骨能醫兩腿疼, 膝頭紅腫不能行, 必針膝 眼膝關穴, 功效須臾病不生. 

[注 釋]
(1) 髖 骨 : 足少陽膽經의 環跳穴을 말하 는 것이다. 

[考 察] 膝關穴은 足厥陰肝經에 속하고 膝眼穴은 經外奇穴이고 髖骨穴은 足少陽膽經에 속한 다. 3穴은 모두 濕을 제거하고 經絡을 소통 시키는 공통된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위치적으로 膝關穴과 膝眼穴은 무릎 부위에 위치하고 있고 髖骨穴은 골반 뼈 주위에 위 치하면서 공통적으로 관절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6). 이상의 효능과 위치적 특성을 고려 할 때 본 조문의 증상은 濕邪가 積滯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이상의 3穴을 자침함으로 써 濕을 제거하고 관절의 氣血소통을 원활 하게 유도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行步難楚, 刺三里中封太衝. 

[解 釋]
빨리 걷기 어려운 경우에는 足三里穴과 中封穴, 太衝穴을 刺鍼한다.
[比 較]
行步艱難疾轉加, 太衝二穴效堪誇, 更針三 里中封穴, 去病如同用手爪. 

[考 察]
위에서도 살펴보았듯이 足三里穴은 足陽 明胃經에 속하는 穴로 和胃健脾, 通腑化痰, 升降氣機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胃痛, 嘔吐, 腹脹, 頭暈, 癲狂, 脚氣, 水腫 등의 질 환을 치료한다. 한편, 足三里穴은 四海 가운 데 水穀海인 胃의 所通穴이며, 足陽明胃經의 五輸穴 가운데 合穴에 속하고, 六腑下合穴의 하나로 胃의 下合穴에 속한다. 특히, 下合穴 의 경우 六腑의 질환을 조절하는 것으로 疏 通과 下行을 주된 기능으로 보고 있다. 이상 의 여러 가지 정황을 참고로 할 때 足三里 穴은 胃의 腐熟기능을 도와 濕이 積滯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水穀之氣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四肢에 氣血(영양)을 공 급하고 氣血의 순환을 돕는 기능을 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한편, 中封穴과 太衝穴은 모두 足厥陰肝經 에 속한 穴들이다. 中封穴은 足厥陰肝經의 經穴로 疏肝健脾, 理氣消疝의 효능을 가지고 있고, 太衝穴은 足厥陰肝經의 輸穴이자 原穴 로 平肝熄風, 健脾化濕의 효능을 가지고 있 다 6). 이상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濕의 積滯 를 해소하는 공통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주 지하는 바와 같이 肝은 疎泄의 기능이 있으 면서 筋을 주관하는 臟腑이다. 그러므로 足 厥陰肝經에 속하는 穴들은 대부분 관절에 발생한 水濕의 積滯를 제거하여 關節의 활 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足三里穴과 中封穴 및 太衝穴의 효능을 근거로 할 때 본 조문의 “行步難楚” 는 체내에 積滯된 濕邪에 의해 下肢의 關節 에 氣血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한 증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병증에 濕의 積滯를 제거하고 氣血의 원활 한 공급을 주관하는 이상의 3穴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原 文]
取內關於照海, 醫腹疾之塊. 

[解 釋]
內關穴과 照海穴을 취하여 腹疾의 덩어리 가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比 較] 腹中氣塊痛難當, 穴法宜向內關防, 八法有 名陰維穴, 腹中之疾永安康. 

[考 察]
內關穴은 手厥陰心包經에 속하는 穴로 寧 神鎭痛, 疏肝和中하는 효능이 있으며, 心痛, 心悸, 胃痛, 嘔吐, 熱病, 肘臂攣痛 등의 증상 을 치료한다 6). 이상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 려할 때 內關穴은 心의 질환에 多用하는 穴 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胃에 濕熱이 積滯 되어 降濁작용이 일어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濕熱의 上逆과 관련된 증상을 주 로 치료하는 穴이기도 하다. 즉, 心痛이나 心悸의 증상이 七情 등 정서적인 것이 원인 일 수 있지만, 胃에 濕熱이 積滯되어 上逆하 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한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照海穴은 체내의 濕熱로 인해 발생한 大便秘結의 증상을 치 료하기도 한다. 이상의 2穴의 효능을 근거로 할 때 본 조문의 腹疾의 塊는 腸胃에 積滯된 濕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搐迎香於鼻內, 消眼熱之紅. 

[解 釋]
코의 안에서 迎香穴을 잡아당기면 눈에서 熱이 나면서 붉어지는 것을 없앨 수 있다. 

[比 較]
心血炎上兩眼紅, 迎香穴內刺爲通, 若將毒 血搐出後, 目內淸凉始見功. 

[考 察]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迎香穴은 手陽明 大腸經에 속하는 穴로 散風淸熱, 通利鼻竅의 효능이 있으며, 鼻塞, 鼻衄, 鼻淵 등 주로 코 의 질환에 常用되는 穴이다. 즉, 주로 風熱 이 病因이 되어 발생하는 코의 질환에 응용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玉龍歌」 에서는 心血이 炎上한 것, 즉 心火로 인해 양 눈이 붉어지는 것으로 病機를 이해하면 서, 迎香穴을 刺絡하여 毒血을 배출시키면 目內가 淸凉해지면서 치유되는 것으로 설명 하고 있다.
이상 迎香穴의 효능과 「玉龍歌」의 내용 을 종합해보면 迎香穴을 자극하여 熱을 消 散시킴으로써 눈에 생긴 熱을 瀉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原 文]
肚痛秘結, 大陵合外關於支溝. 

[解 釋]
배가 아프고 秘結된 경우에는 大陵穴과 外關穴, 支溝穴을 사용한다.

比 較]
腹中疼痛亦難當, 大陵外關可消詳, 若是脇 疼幷閉結, 支溝奇妙效非常. 

[考 察]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大陵穴은 手厥陰心 包經에 속하는 穴로 寧心安神, 寬胸和胃하는 효능이 있어, 心痛, 癎證, 口臭, 咳血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大陵穴은 手厥陰心 包經의 輸穴이자 原穴로 心包(心)의 氣血 소통에 관여하게 된다. 支溝穴은 手少陽三焦 經에 속하는 穴로 淸熱聰耳, 降逆潤腸하는 효능이 있으며, 耳聾, 耳鳴, 嘔吐, 便秘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한편, 外關穴은 手少陽三 焦經의 絡穴로 解表淸熱, 聰耳明目의 효능이 있어, 傷寒, 熱病, 頭痛, 脇痛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大陵穴 및 支 溝穴은 주로 腸胃의 濕熱이 上逆하여 발생 하는 증상에 응용되는 穴이고, 外關穴은 주 로 外感에 적용되는 穴로 효능에 있어 차이 점이 있다. 한편, 본 조문에 나타난 증상은 腸胃의 濕熱이 積滯되어 발생하는 것이므로 外關穴이 이 증상에 取穴된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外關穴이 手少 陽三焦經의 絡穴에 해당된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腸胃濕熱에 의해 발생한 腹痛 및 秘 結의 증상에 外關穴이 取穴된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즉, 三焦는 原氣의 別使로 相火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면서 全身의 氣血 소 통에 관여한다. 外關穴은 이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手少陽三焦經에 속하는 穴이 고, 또한 本經의 絡穴에 해당이 된다. 그러 므로 腹痛秘結에 응용된 3穴의 기능을 구분
해 보면, 체내에 積滯된 濕熱을 大陵穴과 支 溝穴로 풀어주고, 積滯된 濕熱로 인해 장애 가 발생한 氣의 소통 문제를 外關穴이 해결 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原 文]
腿風濕痛, 居髎兼環跳於委中. 

[解 釋]
대퇴부의 風濕痛에는 居髎穴과 環跳穴, 委 中穴을 사용한다. 

[比 較] 環跳能治腿股風, 居髎二穴認眞攻, 委中毒 血更出盡, 愈見醫科神聖功. 

[考 察] 「玉龍歌」에서는 腿股風에 環跳穴과 居 髎穴을 이용하고, 兼하여 委中穴을 刺絡하여 毒血을 빼내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原 文]
上脘中脘, 治九種之心痛. 

[解 釋]
上脘穴과 中脘穴은 9種 心痛을 치료한다. 

[比 較]
九種心痛及脾疼, 上脘穴內用神針, 若還脾 敗中脘補, 兩針神效免災侵. 

[考 察]
上腕穴은 任脈에 속하는 穴로 和胃降逆, 化痰寧神하는 효능이 있고, 腹脹納呆, 胃脘 疼痛, 嘔吐呃逆, 黃疸 등을 치료한다 6). 한편,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中脘穴은 任脈에 속 하고 八會穴 가운데 腑會에 속하는 穴로 和 胃健脾, 通降腑氣의 효능이 있고, 胃脘疼痛, 腹脹納呆, 嘔吐, 翻胃呑酸, 腸鳴泄瀉, 黃疸脇疼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이상 2穴의 효능과 主治症을 고려할 때 본 조문의 心痛은 주로 胃脘痛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니, 특히 체내에 濕이 쌓 여 발생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때문에 和胃降逆하는 上腕穴과 和胃健脾의 효능이 있는 中脘穴을 선택하여 脾陽을 補하여 腸 胃에 積滯된 濕을 내려 보내고 兼하여 脾의 運化기능을 증진시켜 積滯된 濕을 흩어줌으 로써 心痛(胃脘痛)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 다.


[原 文]
赤帶白帶, 求中極之異同. 

[解 釋]
赤帶下와 白帶下는 中極穴의 補瀉의 다름 을 구해야 한다. 

[比 較] 赤白婦人帶下難, 只因虛敗不能安, 中極補 多宜瀉少, 灼艾還須着意看. 

[考 察]
中極穴은 任脈에 속하는 穴로 益腎興陽, 調經止帶하는 효능이 있다 6). 즉, 주로 腎陽 이 虛하여 발생하는 제반 증상을 치료하는 穴로 灸法이 주로 사용되는 穴이다. 「玉龍 歌」에서는 帶下症이 대부분 虛해서 발생하 는 것으로 인식하여 中極穴을 取穴하되 補 法을 위주고 하고, 아울러 灸法을 사용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니, 灸法을 통해 腎陽 을 補하고자 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原 文]
又若心虛熱壅, 少衝明於濟奪.
[解 釋]
또한 만약 心虛하고 熱이 壅滯되었을 때 는 少衝穴을 사용하되 補할 것인지 瀉할 것 인지를 명확히 해야 된다. 

[比 較] 膽寒心虛病如何, 少衝二穴最功多, 刺入三 分不着艾, 金針用後自平和.


[原 文]
目昏血溢, 肝兪辨其實虛. 

[解 釋]
눈이 침침하고 血이 넘치는 경우에는 肝 兪穴을 사용하되 虛實을 변별해야 한다. 

[比 較]
肝家血少目昏花, 宜補肝兪力更加, 更把三 里頻瀉動, 還光益血自無差. 

[考 察] 「玉龍歌」에서는 目昏이 肝의 血이 부족 하여 발생한다고 인식하면서 肝兪穴을 補해 야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다만, 足三 里穴의 경우 瀉法을 써야 한다고 하였으니, 「玉龍賦」에서 肝兪穴을 사용하되 虛實을 변별해야 한다는 내용과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原 文]
當心傳之玄要, 究手法之疾徐. 

[解 釋]
마음으로 전하는 玄妙한 요점에 마땅해야 하고 수기법의 徐疾을 연구해야 한다.

[原 文]
或値挫閃疼痛之不定, 此爲難擬定穴之可祛.

[解 釋]
혹 挫閃疼痛의 病處가 일정하지 않은 경 우를 만나게 되면 어떤 穴을 定하여 제거할 수 있는지 헤아리기 힘들다.


[原 文]
輯管見以便誦讀, 幸高明而無哂諸. [解 釋]
좁은 소견으로 여러 내용을 모아 외우고 읽기 편하게 하였으니, 부디 高明한 이가 보 고 비웃지 말기를 바란다.


[原 文]
俗以玉龍歌爲扁鵲所撰, 蓋後人依托爲之者. 玉龍賦又總輯其要旨爾. 

[解 釋]
세속에서 玉龍歌를 扁鵲이 撰한 것이라고 하는데, 대개 後人이 扁鵲의 이름을 依托한 것이다. 玉龍賦는 또한 玉龍歌의 요지를 모두 모은 것일 뿐이다.


Ⅳ. 結 論
이상 「玉龍賦」의 일부를 고찰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총 84개의 穴이 사용되었다. 그 가운데 人中穴·足三里穴은 3회, 曲池穴·尺澤穴· 中脘穴·復溜穴·腕骨穴·照海穴·支溝穴·迎 香穴·委中穴·關元穴·大陵穴 등은 2회 사 용되었다.
2. 「玉龍賦」에서는 灸法이 1회 사용되었지 만, 관련 조문의 「玉龍歌」에서는 灸法
이 총 10회 사용되었다. 醫史學的으로 唐代 孫思邈의 『千金方』과 王燾의 『外臺秘要』에는 灸法을 위주로 기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唐代의 鍼法에 대한 인식이 宋代에 저술된 「玉龍歌」에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灸法의 선호는 明代에 이르러 鍼法에 대한 이론이 정리 되고 심화되면서 자연스럽게 鍼法 위주의 치법으로 전환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가 明代에 정리된 「玉龍賦」에서 鍼法 위주의 치법을 제시하게 된 배경으로 추론할 수 있다.
3. 「玉龍賦」의 조문과 관련이 있는 「玉龍歌」의 내용을 살펴볼 때 刺絡요법은 5 회에 걸쳐 이용되었다.
4. 전체적으로 氣血의 鬱結로 인한 질환이 많았고 그에 대한 치법으로 氣血의 소통을 목적으로 取穴이 되었다. 아울러 刺絡요법은 많이 보이지 않지만 出血을 통해 氣血소통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한편, 灸法은 寒症에 陽氣를 補하고 氣血을 소통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參考文獻
1. 홍원식, 윤창렬 편저. 증보 중국의학사. 서울 : 一中社. 2001 : 389-90, 510-1.
2. 黑龍江省祖國醫藥硏究所 校釋. 鍼灸大成 校釋.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95 : 233.
3. 방정균, 장현준, 이준무. 「玉龍賦」에 대한 연구(1). 경락경혈학회지. 2006 ; 23(2) : 14.
4.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 東洋醫 學硏究院出版部. 1985 : 142.
5. 全國韓醫科大學原典學敎室 編. 類編黃帝 內經. 대전 : 周珉. 2006 : 391-2, 457, 471-2, 568-9, 584-5, 587, 625.
6. 楊甲三 主編. 針灸學. 台北 : 知音出版社. 1990 : 105-7, 147, 154-6, 161-2, 165-7, 180, 188, 195-6, 204, 214, 220, 222, 225, 228-30, 251, 253, 258, 267, 278-9, 287-8, 297, 303, 307, 309, 322, 326-8, 334-5, 343, 354, 356, 358-60, 374-5, 377, 381, 401, 406, 411-5, 417, 419, 423-4, 429, 437-8, 444-5.
7. 南景禎, 殷惠軍, 于春雷 主編. 經穴臨床應
用. 哈爾濱 : 黑龍江科學技術出版社. 1999 : 223.
8.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외. 강좌중국의학사. 서울 : 대성의학사. 2006 : 132, 143.
9. 呂景山, 何樹槐, 耿恩廣 主編. 單穴治病選 萃.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96 : 65.
10. 金振鎬, 任二彬, 方正均. 八會穴에 對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5 ; 18(3) : 37-8, 53.
11. 方正均.『傷寒論』의 “中風”과 “傷寒”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6 ; 19(4) : 142-4.
12. 陳大舜, 曾勇, 黃政德 엮음. 各家學說. 서울 : 대성의학사. 2001 : 217-8.

'동의학 이야기 > 스크랩 동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管子의 陰陽五行論  (0) 2022.03.12
산모를 위한 催生符ᆢ  (0) 2021.05.13
足中脘穴[펌]  (0) 2021.05.12
무극보양뜸 정리(펌)  (0) 2021.04.17
황제내경의 이론체계(펌)  (0)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