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술 기법과 기술 33

도침(刀針)과 도침요법

특수한 침의 하나로 도침(刀針)이라 알려진 침을 활용한 침법이 있다. 도침술이라 하는 것으로 경결의 염증이 심한 부위나 석회화가 진행된 부위 등에 효과가 있는 침술로 알려져 있다.   도침(刀針)은 침첨이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형태로 된 특수한 침으로, 1970년대에 중국에서 고안된 새로운 침이다. 통상의 '침'(호침)과 현대의학의 '칼'을 결합한 모양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침'으로 분류된다. 침첨이 날카로운 칼날처럼 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침과는 달리 치료 포인트 아래 조직 부위를 미세하게 자르는 수기가 가능한데, 이러한 수기를 활용해 치료를 도모한다. 주로 석회화 등으로 경화된 근육의 유연성 회복, 혹은 건초나 근육 등 연부 조직의 유착(soft tissues injury)을 제거하는 치료에 ..

전신조정요법 : 구당 기본침과 무극보양뜸

전신조정요법이란 기혈・음양의 조정 및 장부의 조정을 도모한다는 관점을 기본으로 그에 상응한 경혈 및 경락을 취하여 치료에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취혈을 기초로 침과 뜸 시술을 적용하여 전신조정을 모도한다. 적절한 취혈은 어떻게 할까. 필요 최소한의 경혈 선택으로 전신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가장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면서 사용 빈도도 가장 많은 경혈을 취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혈자리만 모아도 사실 100여 개 가까운 경혈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많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좁혀야 할까.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는 신체 부위별 안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頭顔面部・上肢・下肢・胸腹部・背部 등으로 구분하여 적절히 배정하는 방..

황제내경의 九鍼

황제내경에서 설명하고 있는 9침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후대 의가들에 의해 그 모양이 재현되어 후대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로 아래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그려져 전해져 왔다. 누가 처음 그 모양을 재현했는지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추후에 정리하고자 함... -황제내경의 영추에서 9침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참침(鑱鍼) -長一寸六分 -頭大末銳, 去寫陽氣 -病在皮膚無常處者, 取以鑱鍼于病所, 膚白勿取. *길이 1촌6푼에, 침두가 크고서 끝이 뾰족하여 양기를 사함 *병이 피부에 있으면서 한 곳에 머물지 않는 것에 사용하되 피부가 창백하다면 사용하지 않는다 원침(員鍼) -長一寸六分 -鍼如卵形, 揩摩分間, 不得傷肌肉, 以寫分氣 -病在分肉間, 取以員鍼于病所. *길이 1촌 6푼에, 계란 모..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펌]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 /정우진(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 경희대학교 철학과) /의사학 제20권제2호(통권제39호)2011년12월 KoreanJMedHist20ː463-492Dec.2011 ⓒ대한의사학회pISSN1225-505X,eISSN2093-5609 1. 들어가며 2. 침술의 등장시점 3. 뜸 4. 폄(砭) 5. 치미병(治未病)과 보정(保精, 정의 보존)의 이념 6. 논의의 정리 1. 들어가며 한의학은 흐르고 있다고, 나는 믿고 싶다. 이 케케묵은 인류의 유산이 앞으로도 계속 살아남아 주류의학에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긴장감을 불어넣고, 어느 날 갑자기 사람들이 현재의 한계 속에서 좌절할 때, 희망을 찾을 수 있는 원시림으로 기능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희망이 학자의 몫인가? 희망..

비염의 침구 : '익구개신경절 침술'

비염의 침구 : '익구개신경절 침술' 비염은 현대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주로 코막힘, 코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후각 저하를 수반하기도 한다. 이 질병은 물론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치료가 쉽지 않아 삶의 질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친다. 임상적으로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급성비염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흔히 ‘감기’에 수반된다. ② 알레르기성 비염 : 특정 자극 요인, 코가려움, 발작성 재채기, 다량의 콧물, 간헐적인 코막힘, 눈물, 약간의 저산소증 등. ③ 혈관성 신경병성 비염 : 알레르기성 비염과 유사하나 명확한 알레르겐이 없고 감정, 환경, 내분비 장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④ ..

경락테스트 3 : 경락테스트와 치료 예시

경락테스트와 치료 예시 *이하는 경락테스트를 주창한 向野義人이 주도하는 일본의 'M-Test研究会'가 예시로 정리하고 있는 치료 실례이다. 근골격계의 치료 스킴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한가지 좋은 범례로써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부, 어깨, 팔꿈치, 손목 부위의 치료 1. 상지 척측, 두경부 후면에서의 동작 제한 - 손목관절을 요측으로 굴곡시켜 새끼손가락을 신전시킴 - 이때 통증이 유발된다면 소장경, 심경의 문제 - 소장경의 후계, 완골, 양노/ 심경의 신문 통리 등으로 치료 小海나 少海를 추가할 수 있음 -상지를 신장시킨 채 어깨를 굴곡시킴 - 이때 제한, 통증이라면 다시 팔꿈치 굴곡, 어깨를 외선시킴 -이 동작에서 문제가 없다면 小海나 少海를 활용 -동작에 ..

경락테스트 2 : M-TEST와 그 활용

M-TEST(경락테스트) *이하는 경락테스트를 주창한 向野義人이 주도하는 일본의 'M-Test研究会'로부터 정리한 것이다. 경락이론 맥락에서 친숙한 테스트 방식이라 할 수 있으므로, 침뜸 치료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가치가 인정된다 할 것이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체의 움직임(운동)에 따라 유발되는 통증과 불편감을 쉽게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그 움직임 시 신전되는 부위에 분포하는 경락을 치료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많은 관찰에서 확인되었다. 이 관찰을 바탕으로 증상과 관련이 깊은 경락을 쉽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동작의 부하법을 고안하여 M-Test(경락테스트)라고 명명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단관절의 부하에 대한 반응으로부터 이상 경락을 판단하는 것을 진단의 기본 원칙으로 한다. ..

경락테스트 1 : 경락테스트를 통한 진단과 치료

진단과 경락테스트 경락테스트란? 경락테스트란, 병증, 즉 심신의 이상은 경락의 이상으로 반영된다는 동의학 및 침구의학에 기초하여, 변증을 진단함은 물론 그 치료 프로세스를 이끌어내기 위한 침구의료의 한가지 기법이라 할 수 있다. 경락테스트를 주창한 向野義人에 따르면, 그 테스트의 수순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上半身에서는, 頚・上肢・ 손목・体幹으로, 下半身에서는 下肢・발목・体幹으로, 각각 그 주요 관절에서 前屈,側屈,後屈 등의 운동 부하를 가하여 테스트한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을 참고할 수 있다. *向野義人(2008), スポーツ領域の痛み, 田山文隆・加納龍彦(編), 痛みのマネジメント, 医歯薬出版株式 会社 pp.192-196 *向野義人(1999), 経絡テスト, 医歯薬出版株式会社 인체의 주요 관절..

方云鹏의 두피침

方云鹏의 두피침 *이 글은 중국 方云鹏의 두피침의 핵심 사항을 정리해 주고 있다. 다만 지나치게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어 제대로 이해하는데는 한계가 따른다. 추가적으로 여타 자료를 함께 정리하고자 합니다. 우선 아쉬운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头皮针的理论研究和应用—方云鹏临证经验 作者:秘书处编辑 来源:信息部 点击:4220次 更新:1554480000 方云鹂,男,河南省淮阳人,生于1909年。1936年毕业于河南大学医学院,早年从事西医外科工作。1948年开始自学中医针灸,I952年进修于中央卫生部针灸实验学习班,1958年10月在西安市《卫生通讯》上发表了题为《试用针灸代替止痛药和强心剂》的论文,先后编著《针灸万年历》、《针灸日历》,《子午流注、灵龟八法环钟图及其应用》等书。并将《针灸万年历》改编成8入51(31程序,输入微型电子计算机,方氏致力于中..

“三段論”手針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2

“三段論”手針法 “三段論”手針法 이 침법은 러시아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 중국 침구사(吴谨辰씨)가 네트워크 상의 토론방에서 소개한 것으로 그 출처와 이론 근거는 불명이지만, 이를 소개한 吴씨는 그간의 임상을 토대로 그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고 전한다 (소개 자료는 http://www.dabaijk.com/sj.php?act=article&id=250에서 볼 수 있다) 이 침법은 기본적으로 인체에 대한 전체론적 사고(홀로그램이론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방법과 임상적 치료의 특징과 주의사항에 대해 살펴본다. 이 침술의 기본 이론은 “三段論”에서 출발하여, 인체를 손가락 3개로, 발가락 3개로, 또 흉추, 요추, 천추 3개로 신체를 각각 세 부분으로 나누어, 손가락에 그에 상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