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술 기법과 기술 38

운동근침(動筋針)과 그 작용기전에 대하여

운동근침(動筋針)과 그 작용기전에 대하여 운동근침 요법 개요(陳德成의 動筋針)"운동근침요법(動筋針)"은 중국의 陳德成 박사가 처음 창안한 침술 요법 중 하나이다. "動"은 "운동"을 의미하며, "筋"은 "경근"과 "근막"을 의미한다. 운동근침 요법은 자침 과정 중이나 유침한 상태로 환자가 의자의 지도 하에 국소적으로 운동을 하는 요법을 말한다. 동근침 요법은,  陳德成 박사가 30여 년의 침구 임상 경험을 쌓으며, 전통적인 침구 방법과 현대 근육 해부학, 근막이론 등의 이론을 결합하여 형성된 새로운 침구 요법으로 분류된다.  2022년에 인민위생출판사에서 출판한 動筋針療法>이라는 책은 세계침사연맹 회장인 劉保延 교수로부터 "고전을 존중하되 고전에만 얽매이지 않고, 혁신하되 미혹되지 않았다"라는 평가를 받..

뺨침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3

뺨침(頰針)요법과 그 의의(중국의 신침술) 뺨침(頰針)의 출현 새로운 침법은 대부분 우연한 기회를 통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뺨침요법 역시 마찬가지였다. 1991년 7월, 중국인 王永洲라는 의사(프랑스로 이주)가, 한 치통 환자를 치료하던 중 호침으로 건강한 쪽 뺨의 협거혈에 자침했더니 환자의 치통이 사라지면서 며칠 동안 괴롭혔던 다리 통증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는 경험에서 출발한다. 이 우연한 발견은 그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그는 의도적으로 세 명의 다리 통증 환자를 치료하는데 이 협거혈을 사용하여 모두에게서 다양한 효과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인 침술이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는 의문을 안고 뺨의 혈자리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많은 임상을..

황제내경 <영추(靈樞)> 종시(終始)편의 침구 '보사'(補瀉) 취혈에 대하여

樞 ·終始> 针刺補瀉取穴考姚鑫1刘振国2黄作1#(1 北京中医药大学国学院 北京100029;2 兴安盟人民医院)http://www.360doc.com/content/22/1213/12/45408769_1060093003.shtml 이 글은 종시(終始)편, 침구 보사취혈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고, 그 보사 부위의 의미와 취혈 방법을 탐구하며, 나아가 그 조작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문헌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사 부위는 각 경락의 맥구의 처, 즉 '본수(本輸)'에 해당하며, 전통적으로 이해되는 경락은 아니라고 한다. 예컨대, "족소양을 사하고 조궐음을 보한다"라고 한 대목은 족소양의 본수를 가리키며, 족소양담경은 아니라는 것이다. 취혈 방법에서 말하는 '二瀉一補'란, 양경의 본수를 2회 사하고 음경의 본수를 1..

자락부항요법에 대하여

자락부항요법에 대하여 자락요법은 “방혈요법(放血疗法)” 또는 “자혈요법(刺血疗法)”으로 불리는 고래로부터 전해온 치료법의 하나이다. 삼릉침, 작은 눈썹칼(소비도 小眉刀), 피부침 등을 이용하여 환자 신체 일부 표층의 혈관을 찔러 소량의 혈액을 방출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전통적으로 ' 刺血络 '이라 불러왔다. 선인들은 이 자락술을 매우 중시했다. 에 언급된 봉침(锋针)이 자락술의 주된 도구였으며, 오늘날 사용되는 삼릉침에 해당하는 것다. 이렇게 언급된다. "따라서 침술로 치료할 때는 반드시 몸체는 관 모양이고 침끝은 날카로워(锋) 열을 사하고 출혈을 유도하여 만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은, "봉침은 세 개의 날이 있어 만성 질환을 고질병소를 제거해 준다"고 했다. 에서는, "경락에 만성적인 ..

자침수기법과 '염전'기법

침술은 신체의 특정 부분(경락, 침혈, 경락 근육, 피부 등)을 자극하여 조정 조동을 통해 신체의 균형을 개선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제거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신체의 회복을 완료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침술을 통해 신체를 자극하는데 관련된 주된 요소는 그 수기법의 정량적 범주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수기법과 관련한 정략적 범주에는, ⑴ 효과적인 처방 및 경혈의 선택, ⑵ 자침의 자세 및 취혈의 정확성, ⑶자침의 방향 및 자침의 깊이, ⑷ 적절한 기법의 선택과 유침 시간의 결정, ⑸ 침 효능의 체내 유지 시간과 소멸과정 등을 포괄한다.  일찍이 针灸大成> 등에, “针三呼,灸五壯”과 같은 고인들의 양적 기준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후대에 와서도, “拇指向前为补,拇指向后为泻”(..

<영추 관침>의 자침 기법 연구

자침 기법 연구(《靈樞·官针》刺法探究)祝秋梅 외, 세계침구학회연합회 2018년 개요 : 자침 기법은 침구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통 동의학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에는 자침 기법 26가지가 열거되어 있다. 장개빈은, "관은 법과 공을 뜻한다. 규칙에 따라 만들어지고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므로 관침이라고 한다." 영추의 관침편에서는 5자, 9자, 12자의 자침 기법에 대해 일반론적인 소개만 제시하고 있을 뿐, 체계적인 비교나 분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5자, 9자, 12자를 포함한 26가지 침술 기법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분류, 정리하는 한편, 유사한 현대 자침 기법과 비교해 둔다.  자침 기법은 전통 동의학의 영혼이라 할 만하다. 자침 기법에 대한 가장 자세한 논의는 에서 볼 수 있다. 이..

침술로 인한 의료 사고와 예방

침술로 인한 의료 사고와 예방 침술은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치료법이다.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약물 요법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독성 효과(부작용)도 거의 없다. 물론 침술이 절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침술을 제대로 숙달하지 않고 잘못 수행하면 사고가 발생하여 의료 과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 경미한 경우는 환자에게 일시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끝나지만, 심한 경우에는 평생 장애를 일으키거나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중국의 예를 보면 건국 이래 대략 1,000여명 이상의 사람들이 부적절한 침술로 인한 사고로 부상을 입거나 적지 않은 사람들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그 외 침 요법을 주로 사용하는 나라..

침술의 자침 각도, 방향 및 깊이에 대하여

침술의 자침 각도, 방향 및 깊이에 대하여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는 침이 피하 조직에 삽입된 후의 구체적인 시술 기법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침술 시술 시, 올바른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를 익히는 것은 침감을 얻고, 보사법을 수행하여, 침술 효과를 발휘하거나 그 효과를 향상시키며, 또 침술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항목이다. 정확한 경혈 선택은 피부 표면의 위치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올바른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를 결합하여 경혈의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따라서 경혈을 단순히 작은 점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경혈에 대한 입체적인 개념을 가져야 한다. 임상에서 동일한 경혈이라 하더라도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가 달라지면 닿는 조직의 구조, 생성되는 침감, 치료 효과 ..

자침의 각도, 방향과 깊이 및 침술의 효과에 대하여

침술 자침의 각도, 방향과 깊이 및 침술의 효과에 대하여 침술 자극을 통해 얻어지는 효능은 침의 삽입 방법, 침 감각의 강도, 심리적 요인, 경혈의 특이성, 자침 기술, 침을 유지하는 시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침의 각도, 방향, 깊이는 침 치료 및 시술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이다. 즉 좋은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침술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임상에서는 같은 자침점이라도 침의 감각 강도, 감각 전달 방향, 침의 각도, 방향, 깊이 등에 따라 치료 효과에 뚜렷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상 효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혈 위치와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자침 각도, 방향, 깊이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자침의 각도, 방향 ..

변비의 침구(부침요법)

《내경》은 변비의 발생이 오장육부와 모두 관련이 있다고 처음 제시하였고, 《중의내과학》(田德禄,2002)은 변비의 병위가 대장에 있으나 오장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폐주숙강(肺主肃降)은 대장과 표리관계에 있는 폐의 선발숙강 기능에 이상이 생겨 변비가 된다. 비장의 건운(健運)을 잃어 청기가 오르지 못하고 탁기가 내리지 못해 변비가 된다는 것이다. 肝主疏泄인데 肝气가 울체되면 腑气不通,气滞不行이 되어 변비가 된다. 신은 이음(二陰)으로 개규하니 신이 2변을 주관하는데 신허음한으로 응결이 되면 변비가 된다. 그런 까닭에 변비는 오장과 모두 관계가 있고 오장 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경락과 관계가 있다. 경락은 내장과 조직을 연결하니 경락은 내장과도 작용하여 내장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니 내장의 불균형을 치료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