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구 9

'면역과 침뜸' 이야기 4 : 면역시스템의 작동기구

'면역과 침뜸' 이야기4 : 면역시스템의 작동기구 면역시스템의 작동메카니즘 일단 항원이 우리 몸에 침입해 오면, 앞서 살펴본 '자연면역-획득면역'으로 구성되는 면역시스템이 작동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모습은 어떤 것일까.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경로를 거친다고 한다. -항원(이물질)이 우리 몸에 침입한다 -마크로파지, 호중구 등이 이들 항원을 잡아먹는다 -수상세포가 림프액을 타고 림프절로 이동하여 항원의 침입을 헬퍼T세포에게 알린다 -통지를 받은 헬퍼T세포가 항원을 확인하고 증식한다 -헬퍼T세포는 B세포에게 항체를 만들어 공격하도록 한다 -B세포는 형질세포로 변하여 항체를 만들어 항원을 공격한다 -세포가 항원에 감염되면 킬러T세포가 세포 내의 항원을 공격하여 처리한다 -항원이 사라지면 조절T세포가 공격 종..

'면역과 침뜸' 이야기 3 : 선천면역과 획득면역

'면역과 침뜸' 이야기 3 : 선천면역과 획득면역 선천면역 획득면역 면역은 흔히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으로 나눈다 선천면역 선천면역은 엄마 뱃속에서부터 가지고 태어난 면역으로 자연면역, 내재면역 이라고도 한다. 비특이적으로 동물이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저항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소에서는 급성 감염증을 일으키는 탄저균이 닭에서는 살지 못하고, 돼지 콜레라도 사람에게 감염 되지 않는 등, 개체의 특이성으로 특정 병원체에 대해 기억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체계로써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면역력을 말한다 모든 동물과 식물은 어느 정도의 자연면역력을 갖추고 있는데, 이 면역력은 오래 지속 되지는 않는다. 선천면역은 넓게 보면 면역세포를 중심으로 한 기전 뿐만이 아니라 물리적 장벽도 포함한다...

‘면역과 침뜸’ 이야기 2 : 면역세포

‘면역과 침뜸’ 이야기2 : 면역세포 면역의 주역, 백혈구.. 면역시스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혈액 속에 있는 면역세포, 즉 백혈구이다. 백혈구에 이물질의 정보를 알려주는 수지상세포 역시 면역세포에 속한다. 그리고 백혈구는 마크로파지(단구, macrohpage),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 림프구(T세포, B세포, NK세포 등)로 구분된다. 수지상세포는 병원균을 직접 처리하기도 하지만, 항원전달을 통해 후천면역을 활성화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골수 조혈줄기세포로부터 미성숙 수지상세포로 분화되어 조직 사이를 이동해 다니다가 이물질을 만나면 활성화되어 비장이나 림프절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이물질을 삼켜고(식균) 그 조각을 항원으로 제시한다(MHC 클래스I). 이에 대응하여 킬러T세포..

흉선면역과 침뜸활용

흉선면역과 침뜸활용 : "흉선면역점"  흉선은 심장 앞쪽의 가슴 한복판 뼈(흉골)의 안쪽에 위치하는 매우 작은 장기이다. 임신 2~3개월부터 형성되어 10대 전반에 약35g으로 가장 커졌다가 그 후로는 점점 작아져서 40대에는 절반으로, 70대가 지나면 거의 흔적만 남을 정도로 작아진다고 한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맹장과 마찬가지로 중요하지 않은 장기 취급을 받았으나, 1960년대 이후 면역학 발달과 더불어 면역의 중추기관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흉선은 태아 때부터 생존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인 면역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활발하게 활동하다, 면역시스템이 안정되면 조금씩 작아지는 것이 아닐까라고들 보고 있다. 물론 70살이 넘어서도 림프구 감소등의 위기가 발생하면 언제라도 활동을 확대하게 된다고..

자율신경과 면역반응

자율신경과 면역반응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자율신경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교감신경은 면역을 억제하고 부교감신경은 면역을 올려주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 교감신경은 주간에 주로 활성화되며 자극시 그 신경말단에서 아드레날린(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호르몬)이 방출되어 면역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야간(수면/휴식)에 주로 활성화되어 그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방출하여 면역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좀더 엄밀히 말하자면, 교감신경이 면역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은 맞지만, 부교감신경이 면역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아니고, 교감신경 억제에 따른 면역억제를 약화시켜 면역이 상승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한다.  교감신경에 의한 면역억제(..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9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이상의 검토를 통해, 인체의 항성성을 유지하는 조절기구라 할 수 있는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네트워크에서 침뜸자극이 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침뜸에 의한 인위적 자극은 기본적으로 신경계의 반사운동 메카니즘 속에서 인체의 항상성 유지 작용에 관여한다. 체성반사 및 자율신경반사를 매개로 근골격계나 장기와 같은 효과기의 반사운동을 통해 생리 조절작용을 한다  (2) 신경반사는 국소부의 축삭반사, 분절성반사, 전신성 비분절성반사 등으로 나타나는데, 침뜸자극은 이들 반사경로와 연계한 반응을 통해 인체의 생리 조절에 작용한다  (3) 침뜸자극은 신경반사과정에서 자율신경의 효과적 조절을 유도한다.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길항적 작용이 균형을 이룰 수 있..

5. 자율신경과 침뜸의 면역조절 작용/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7

5. 자율신경과 침뜸의 면역조절 작용  1) 자율신경과 면역조절  자율신경은 혈관을 매개로 림프조직의 미소순환을 조절하는 한편, 신경섬유의 일부는 림프구에까지 연장, T림프구 및 B림프구에 작용하기 때문에 면역계의 활동 역시 자율신경을 매개로 활성화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신경계에서 유래하는 엔돌핀, 물질P, 사이토카인 등이 NK세포의 증가, 킬러세포의 활성화, 호중구나 마크로파지 등의 활성화는 물론 T세포, B세포 등의 활동성 증가에 작용하며 또한 이들 물질은 침뜸자극으로 그 생성이 촉진된다고 한다.     그림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과 림프구 및 과립구       백혈구의 활동 역시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적절한 방어활동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교감신경의 작용(활성)은 ..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1) 신경-내분비계와 면역계  우리 몸은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병원균에 대한 자율적 면역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역시 항상성 유지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앞서 살펴본 신경-내분비계의 협력작용과 더불어 면역계 역시 이 신경계를 매개로 작동한다. 뇌 및 척수의 중추신경계로부터 뻗어 나오는 신경섬유를 통해 내분비계의 호르몬 분비가 조절되는데, 이 호르몬이 직접적으로 림프구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는 체성신경,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을 통해 생체 내에 분포되어 있는 림프조직에까지 분포하여 림프구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림프구는 내분비계의 호르몬이나 신경계의 신경펩티드에 대한 수용체를 지니고 있어 이를 통해 신경내분비계의 조절에 상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