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자율신경과 침뜸의 면역조절 작용
1) 자율신경과 면역조절
자율신경은 혈관을 매개로 림프조직의 미소순환을 조절하는 한편, 신경섬유의 일부는 림프구에까지 연장, T림프구 및 B림프구에 작용하기 때문에 면역계의 활동 역시 자율신경을 매개로 활성화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신경계에서 유래하는 엔돌핀, 물질P, 사이토카인 등이 NK세포의 증가, 킬러세포의 활성화, 호중구나 마크로파지 등의 활성화는 물론 T세포, B세포 등의 활동성 증가에 작용하며 또한 이들 물질은 침뜸자극으로 그 생성이 촉진된다고 한다.
그림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과 림프구 및 과립구
백혈구의 활동 역시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적절한 방어활동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교감신경의 작용(활성)은 과립구 증가와 상응한다. 과립구 자체가 아드레날린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운동시, 흥분시, 스트레스 과다 등) 과립구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곧 신체의 면역력 저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스트레스로 인해 과립구가 과잉하게 되면 과립구 파괴시 활성산소가 다량 방출되어 주변세포를 죽여 조직파괴 현상(염증)을 유발하는 기전이 나타나기 때문이다.*22)
*22) 예컨대 위궤양, 십이장궤양 등이 이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요컨대 스트레스 등에 따른 교감신경 흥분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부교감신경의 활성은 림프구를 증가시키게 된다. 림프구는 아세틸콜린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휴식시, 안정, 수면시 등) 림프구가 증가한다. 통상 신체는 교감신경 활성에 따른 면역력 저하상태가 일반적이므로 이를 정상화하는데는 부교감신경의 작동에 의한 림프구 증가를 통한 면역력 제고가 요구되나, 과도한 림프구 증가 역시 병적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림프구가 과잉하면 항원에 대한 민감한 반응으로 인해 알러지질환과 같은 과민성체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침뜸자극과 면역 조절작용
중요한 것은 과립구 및 림프구의 효율적인 조절, 곧 자율신경 운동(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효율적 조절이다. 이는 침뜸 시술에서도 중요시해야 할 관점일 것이다. 침뜸자극은 통상 과립구 우위상태에서는 과립구 감소를, 반대로 림프구 우위상태에서는 림프구 감소를 가져오는 등 생체의 면역편향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23)
*23) 山口宣夫 外, 鍼灸治療効果の研究, 全日本鍼灸學會誌,, 2002, no.1
이와 관련 노화현상에서 우리가 주목할 부분이 바로 노화에 따른 면역력 저하 문제이다. 젊었을 때는 흉선도 발달되어 있고 림프절이나 비장 모두 충실하나 나이가 들면 흉선 림프절 비장 모두 위축되기 때문이다.
림프구와 과립구는 일생을 거치며 그림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고 한다. 과립구는 출생시 가장 높다가 유아시절에 가장 낮아졌다가 이후 죽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반면, 림프구는 출생시 가장 낮다가 어린 시절까지 높아진 다음 죽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성년이 된 다음부터는 과립구는 증가하고 림프구는 줄어들어 일반적으로 림프구의 감소, 즉 교감신경의 활성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년이 된 이후, 특히 노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부교감신경의 활성화, 즉 림프구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노년기 면역력 제고의 기본방향을 말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림 림프구 및 과립구의 일생
침뜸자극이 이러한 면역력 제고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면역력 저하가 불가피한 노인층에 대한 침뜸치료의 필요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각종 침뜸봉사의 현장에서 노인층의 지속적인 호응이 이를 잘 말해 준다고 하겠다. 이 점은 노령화에 따른 노인의료 수요 증가에 대한 침뜸치료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며 침뜸치료를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침뜸자극에 의한 면역계의 작용은 자율신경을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점은 이미 지적한 바와 같다. 면역계는 생체의 반응계인 신경계 및 내분비계와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신경펩티드, 호르몬, 사이토카인 등의 생리활성물질에 의해 상호연관 속에서 생체의 포괄적 반응계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자율신경은 면역조직에 분포하여 면역조직의 혈관을 지배함으로써 조직내 혈류를 조절하는 간접작용을 하는 한편 면역담당세포에 직접 작용하기도 한다. 앞에서 살펴본 신경반사 과정에서 분비되는 엔돌핀과 같은 신경펩티드도 통증억제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수용체를 매개로 림프구 활동을 증강하고 사이토카인 생성에도 작용하여 면역기능에도 작용함을 알 수 있다.*24)
*24) 松本 美富士, 生体の防御機構と鍼灸医学, 全日本鍼灸學會誌, 1992-3
참고 자율신경과 주요 경혈
........................
*이전글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1) 신경-내분비계와 면역계 우리 몸은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병원균에 대한 자율적 면역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역시 항상성 유지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앞서 살
hooclim.tistory.com
*다음글 6. 침뜸 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8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이처럼 신경계와 내분비계 및 면역계라는 3계통이 상호연관된 생체의 포괄적 반응계를 형성하여 인체의 항상성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 내분비세포,
hooclim.tistory.com
'동의학 이야기 > 침뜸의 과학적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9 (0) | 2017.04.19 |
---|---|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8 (0) | 2017.04.19 |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0) | 2017.04.14 |
3. 침뜸자극과 내분비계의 작용/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5 (0) | 2017.04.12 |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1)/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 3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