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뜸의 과학적 이해

3. 침뜸자극과 내분비계의 작용/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5

지운이 2017. 4. 12. 17:05

 

3. 침뜸자극과 내분비계의 작용

 

신경반사를 매개로 인체의 반응은 일차적으로 각종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통해 통증을 직간접적으로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신경반사 과정에서 분비되는 엔톨핀이나 엔케팔린은 통증억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13) 말초신경 말단 등에서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이나 아세틸콜린의 작용은 이미 지적한 바와 같고, 그 외에도 많은 신경펩티드가 분비되어 내분비계 및 면역계와 연결되어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3) 저 유명한 중국 침뜸계의 침마취를 보라

 

우리 몸에는 곳곳에 내분비샘이 존재하며 이 곳에서 다양한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신체의 발달, 감정, 체온, 신진대사, 면역기능 등의 다양한 작용을 발휘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을 내분비계라고 하는데, 예컨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갑상선, 흉선, 부신 등이 대표적이다. 이 내분비계가 신경계와 상호 협력을 통해, 부족하면 분비가 촉진되고 과다하면 억제되는 호르몬 분비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인체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혈당을 예로 들면, 고혈당 시에는 부교감신경의 작용으로 인슐린 분비를 통해 글루코겐을 합성함으로써 혈당을 내리고, 저혈당 시에는 교감신경 작용으로 글루카곤 분비를 촉진하여 글루코겐을 분해함으로써 혈당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체온 조절과 관련해서도 신경계의 반응을 매개로 한 시상하부의 조절 작용으로 열을 생성하기도 하고 열을 발산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자율신경도 관여하는데, 교감신경은 피부 모세혈관, 입모근 등을 수축시키고 땀 분비를 억제하여 열발산을 억제하고, 부교감신경은 반대로 모세혈관, 입모근 등을 확장시키고 땀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열 발산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체내 수분 및 염분의 조절도 뇌하수체와 부신피질에서의 호르몬 분비에 의해 조절된다.

 

(*주요 부위별 호르몬과 주요작용 표 .. 생략)

 

이처럼 인체의 항상성 유지는 신경계의 작용을 매개로 한 내분비계의 호르몬 작용에 의해 수행됨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침뜸 자극은 신경계 자극을 통해 신경반사를 일으켜 통증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반사반응을 통해 효과기를 작동시키는 한편, 이 신경반사의 과정에서 내분비계의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기전을 거쳐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계속)

 

 

................................

*이전글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2)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2)/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 4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계속) 2) 신경반사와 침뜸의 효과 (1) 신경반사와 통증억제 - 내인성 통증억제기구의 활성화 이러한 신경계의 반사운동에서 침뜸치료의 효과와 관련하여 1차적으로

hooclim.tistory.com

 

*다음글 4. 침뜸자극과 면역반응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1) 신경-내분비계와 면역계 우리 몸은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병원균에 대한 자율적 면역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역시 항상성 유지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앞서 살

hoocli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