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경락, 경맥의 이해 12

五輸穴과 글로뮈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펌]

五輸穴과 글로뮈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이광규1․이창현2․김준호․이상룡*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1 : 병리학교실, 2 : 해부학교실 서 론 經絡學說의 기원은 현대의 침구 학술사 연구에서 당면한 난 제로 경락의 실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경락학 설에 대한 현존하는 최초의 문헌인 馬王堆 문서 발굴에 따른 經 絡의 起源 연구를 보면 와 모두가 에 나오 는 經絡學說의 根本이 되었고, 는 經筋에, 은 經脈 에 영향을 많이 끼쳤다고 볼 수 있다1).十二經脈은 四肢의 肘膝이하에 각각 井滎兪經合의 특정 兪 穴이 있으며, 이를 五輸穴이라고 한다. 이러한 五輸穴의 流注는 十二經脈의 流注와 모순되는데, 에서 五輸穴내로 氣 가 流注하는 방향과 ·에서 十二經脈의 氣가 流注하는 방향은 상반성을 지니고 ..

황제내경 이전의 침뜸 고전 : <十一脉灸经> 2책

황제내경 이전의 침뜸 고전 : 2책 1973년 중국 마황퇴 묘소에서 여러 권의 의서가 출토되었는데, 이 가운데 경맥을 언급한 두권의 책이 주목받았다. 쓰여진 시기가 황제내경의 저작 연대보다 200년 정도 앞서는 데다, 특히 경맥에 대해 가장 오래된 기록이었기 때문이다. 과 의 2책이 그것이다. 통상 이 둘을 묶어 (이하 라 함)이라 한다. 이 두 권의 책에 경맥이 최초로 언급되는데, 황제내경의 12경맥과는 달리 11개의 경맥만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언급된 11맥은 대체로 의 초기 형태 또는 경맥의 원시 형태로 보지만, 그 이름, 분포 및 방향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양자 간의 차이점을 탐구하는 것은 경락이론의 형성 및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들 두 책의 주요 ..

경락과 침구 : 어제와 오늘

경락과 침구 : 어제와 오늘 经络与针灸的前世今生 浪濯风尘(中医学研究生)/ 知乎(2019 07 15) https://zhuanlan.zhihu.com/p/70419263 머리말 많은 사람들이 항상 경락이란 신비하고 애매모호하다고 느낄 뿐 아니라, 경락의 해부학적 구조는 현대 의학과 현대 과학기술에 의거하여 확인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경락은 가상의 미지의 것으로 남겨져 있다. 이 기사는 경락과 침술의 과거와 현재를 여러 각도에서 논의하여 그 신비한 베일을 탐구하고자 한다. 1. 경락의 개념과 기원 경락은 경맥과 낙맥을 합해서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신의 모든 맥으로 구성된 계통을 말한다. 경맥은 큰 맥이고 낙맥은 작은 맥이다. 그래서 문제는 곧 맥이란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에서 脉은 “派와 같고”, ..

"맥", "경맥" 및 "경락" 개념의 진화

"맥", "경맥" 및 "경락" 개념의 진화 “脉”、“经脉”与“经络”概念的演变 — "경맥의학"과 "경락 연구"의 논쟁과 더불어 □ 刘澄中/ 大连医科大学(2009 03 19) (http://zgmjzyy.com/2009/03/19/27030.html) 中国民间中医医药研究开发协会 天津中医药大学 实验针灸学研究中心 의 郭义 및 王广军의 “经络研究告诉了我们什么”(경락 연구가 우리에게 말하는 것)에 대한 기사가 발표된 이후, 陈业兴 의사가 "몇 가지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2009년 2월 25일자 본판 기사). 그는, “곽의 등이 경맥의 개념을 경락으로 대체하고, 경맥의 현상을 경락의 현상으로 착각하고, 경맥의 순행선을 경혈의 연결선으로 잘못 이해하고, 경맥 이론의 연구를 경락구조의 연구로 잘못 ..

현대침구와 경락연구

현대 침술 및 경락 연구 2007-01-12 중국침구학회 정리자료 (http://ecam.org.cn/Zjky/common/id/32.html) 1. 침뜸 연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침뜸의 발전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단계는 1950년대로 침구 기초직식의 보급 확대, 침구 학습반의 구성, 침구 책자 및 침구의 일반적인 임상 등의 등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두 번째 단계는 1960년대로 침구 임상 및 침마취 임상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침구치료의 원리와 침마취의 원리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진행된 시기이다. 세 번째 단계는 1970년대로 임상 침술 마취와 침의 진통 기전에 대한 광범위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된 시기이다. 네 번째 단계는 1980년대로 침구 임상 및 그 기전..

경락의 생리학적 특성

경락의 생리학적 기초 및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의 전개 经络的生理学基础和物理特性相关研究进展 中医学 Vol. 11 No. 4 (July 2022) 左杨洁:陕西中医药大学医学技术学院,陕西 咸阳;史宇兵:陕西中医药大学整合医学研究院,陕西 咸阳 (https://doi.org/10.12677/TCM.2022.114091) *경락이론은 동의학 이론의 핵심 부분으로, 그 실체를 비롯 작용기전의 과학적 해명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온 분야입니다. 이 글은 특히 경락의 생리학적 기초 및 그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그 전개 상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락의 생리학적 기초와 관련해서는, 경락의 구체적인 해부학적 연구, 근막이론, 신경조직이론, 간질액전달이론, 경락을 따른 감각 전도에 관한 연구 등..

경락이론의 기원

경락이론의 기원에 대한 연구의 전개 经络学说起源的研究进展 崔清馨, 张立东*:内蒙古医科大学,内蒙古 呼和浩特 中医学, Vol. 11 No. 4 (July 2022) (https://www.hanspub.org/journal/PaperInformation.aspx?paperID=54167&btwaf=92802787) *본 글은 중국 동의학계에서 이루어져 온 경락이론의 기원에 대해 이루어져 온 연구들을 정리해 주고 있습니다. 몇가지 그 기원에 대한 사고의 실마리들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요약 : 경락이론과 음양이론, 오행이론, 장상학설, 기혈진액 이론 등은 중의학 기본 이론의 중요한 부분으로, 수천 년 동안 중의학 문화 이론의 발전과 그 임상의 변증논치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 이 ..

경락의 실체?

(2010년) 경락의 존재 및 그 실체에 관련된 문헌적 연구 2010年相关经络存在及经络实质文献的研究 舒珊(江西中医学院 南昌 330006) 江 西 中 医 学 院 学 报 2012年 2月 第24卷 第1期 요약 목적: 침술요법은 세계 160여 개국에서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경락에 대한 현대적 연구는 50년 이상 진행되어 왔으며, 여기서는 경락의 존재 여부와 그 실제를 둘러싸고 전개된 연구를 수집 정리하여,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江西中医学院의 도서관, VIP 데이터베이스, CNKI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경락의 실체(实质)와 관련된 문서를 검색하였다. 결과: 경락의 실체에 대한 인식과 연구방법은 다르지만 모두 경락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었다. 약 20가지의 학설 또는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어느..

임상에서 경락 및 경혈의 의의

臨床における経絡・経穴の意義を改めて問う 和辻 直1)、橋本 厳2)、粕谷 大智3)、藤本 新風4)、篠原 昭二5) 1)明治国際医療大学 鍼灸学部 鍼灸学科 2)東京医療福祉専門学校 鍼灸マッサージ教員養成科教員 3)東京大学医学部附属病院 リハビリテーション部 鍼灸部門 4)(一社)北辰会 5)九州看護福祉大学 看護福祉学部 鍼灸スポーツ学科 *第70回(公社)全日本鍼灸学会学術大会 福岡大会 심포지움(全日本鍼灸学会雑誌,2022年第72巻1号) (https://www.jstage.jst.go.jp/article/jjsam/72/1/72_14/_pdf) 요점 2019년에 국제질병분류 제11판에 전통 의학장이 새롭게 추가되어 침구 분야에서는 경락병증 등의 활용이 과제가 되고 있다. 이 배경을 통해 각 심포지시스트의 입장에서 침구 임상에서의 「경혈..

경락 및 경혈의 이해 방식

경락 및 경혈의 이해 방식(経絡と経穴の考え方) 伊藤 剛 (医道の日本, 2020.7) [1. 서론] 경락은 눈에 보이지 않고 과학적인 이해와 증명이 곤란하다는 이유로 그 존재를 부정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침술 치료를 장기간 수행해 오면서 경락의 존재를 인식하지 않을 수 없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현재 경혈의 연구에 비해 연구의 어려움 때문인지 경락 연구는 매우 적은 것이 현실이지만, 경락 · 경혈을 현재의 의학으로도 일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을 2019년 제 70회 日本東洋医学会 学術総会에 보고할 기회를 가졌다.1) 이하 그 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관점의 경락 · 경혈에 대한 필자의 생각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1)伊藤 剛. 臨床医学からの経絡・経穴の解明,(鍼灸シンポジウム1)経絡・経穴とは何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