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경근론의 침구 2

<靈樞·经筋>에 기초한 经筋의 이론

《靈樞·经筋》에 기초한 经筋의 이론 基于《灵枢·经筋》论经筋 2021-04-13 杨威 郭斯印 易志勇 黄旭东 韩清民 (https://www.fx361.cc/page/2021/0413/8108527.shtml) *이 글은 '경근론'에 고유한 변증논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침뜸 치료의 변증논치에서 통상의 장부질환 일반에서 거론되는 경맥이론에 기초한 변증논치를 경근병에 그대로 적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경근병의 경우 통상의 변증논치와는 구별되는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매우 의미있는 주장이라 여겨진다. 비록 경근이 경맥, 장부와 완전히 구별된 체계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경맥이론의 체계 속에서 경근론 고유의 변증논치가 임상에서 그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필자들의 주장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경..

경근질환과 장부질환의 구분에 기초한 침뜸 변증논치에 대한 고찰

基于区分经筋病症与脏腑病症进行针灸辨证论治的思考 경근질환과 장부질환의 구분에 기초한 침뜸 변증논치에 대한 고찰 陈采益,徐 斌/ TPRpCLARNGKRGHLDUSGKQGHL (http://www.wfas.org.cn/news/detail.html?nid=2237&cid=15) 초록: 이 논문은 침뜸 임상의 변증체계는 반드시 침뜸이론의 핵심과 치료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8강변증에 의거한 경락변증을 함에 있어, 경근질환과 장부질환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경근질환은 질병의 위치에 중점을 두어, 아시혈 부분의 선혈을 위주로 적절한 대증자법을 진행하는 논치에 의한다. 장부질환은 경락변증의 기초 위에서 장부변증으로 보완하고 경락을 위주로 아시혈 부의 선혈로 보완하며, 상응한 특정혈에 중점을 두며, 더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