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경근론의 침구

<靈樞·经筋>에 기초한 经筋의 이론

지운이 2021. 10. 11. 12:52

靈樞·经筋에 기초한 经筋의 이론

基于灵枢·经筋论经筋

2021-04-13

杨威 郭斯印 易志勇 黄旭东 韩清民

(https://www.fx361.cc/page/2021/0413/8108527.shtml)

 

*이 글은 '경근론'에 고유한 변증논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침뜸 치료의 변증논치에서 통상의 장부질환 일반에서 거론되는 경맥이론에 기초한 변증논치를 경근병에 그대로 적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경근병의 경우 통상의 변증논치와는 구별되는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매우 의미있는 주장이라 여겨진다. 비록 경근이 경맥, 장부와 완전히 구별된 체계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경맥이론의 체계 속에서 경근론 고유의 변증논치가 임상에서 그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필자들의 주장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경근론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위해 참조하시길 권합니다. 

 

 

靈樞·经筋에 기초한 经筋의 이론

 

초록: 12경맥은 사람들의 마음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12경근은 그다지 중시되지 않고 있다. 둘 다 12경맥에 속해 있어 서로 보완적이지만, 본질적인 차이도 있다. 灵枢·经筋을 기초로 经筋 개념을 논하고, 경근과 경락의 관계를 비교하고, 경근 질환, 경근 및 경근변증논치의 사상적 함의를 탐구하고, 임상과 결합하여 경근변증논치의 의의와 사용방법을 설명하며, 나아가 임상에서의 경근변증 사고의 확립을 주장하여 치료의 기초를 찾고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수천 년 전 고대 의가들은, 만성적으로 긴장된 관절 주변의 근육, 인대 및 주변 조직의 硬结条索结块 등의 병소부를 결절점이라 불렀고, 여기에 있는 일정한 주행규율을 따라 주행하는 근육과 그 주변 조직을 경근이라 칭하고, 灵枢·经筋으로 편찬했다. 荀子·正名에는 名也者所以期累实也라 했다. 이란, 다른 사물과 구별짓는 것으로 특정 사물에 대한 고도의 개괄이다. 고인들은 상호대립과 관련된 사물의 분류를 진행하여 추상화하고 압축하여, “经筋이란 经脉이 형성된 다음에 经脉이 갖는 특징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본다. 필자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와 임상에서 확인한 灵枢·经筋에 의거하여 경근의 기원, , 근 및 경근의 의미와 경근변증 사상 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나아가 임상례를 통해 경근변증논치의 의의와 그 활용방법에 정리하고자 한다.

 

 

1 경근의 기원

 

경근병은 갑골문에서 처음 유래한 것으로, “手病关节病등의 병명이 기록되어 있다. 周礼·天宫에는 以酸养骨以辛养筋以咸养脉등의 설명이 나온다[1]. 마왕퇴에서 출토된 西汉帛书 가운데 阴阳十一脉灸经足臂十一脉灸에서 처음으로 "경락"을 제안했지만 经脉络脉提法, 经筋의 원형은 없었다. 더 많은 학자들은 足臂十一脉灸经을 경근의 원저작으로 여긴다[2]. 脉书·十一阴阳本足臂를 본으로 한 순행은 음양을 으로 삼아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며, 더불어 是动病”   “所产病을 제안하였으니, 이는 경근병의 발병기전과 유사하다. “经筋이라는 용어는 '황제내경'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灵枢·经筋에서 경근의 분포, 순행의 기시 종지, 병인 전변의 규율, 진단과 치료 원리, 구체적인 치료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특히 循筋疼痛支挛转筋痹证에 대해 집중 정리하여 곧 경근이론의 기초가 된다.

 

 

2 경근의 본의

 

2.1 근의 본질.

경근이라는 용어는 灵枢·经筋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한자 어법에 따르면 편향된 구조로, “은 수식과 피수식 관계에 있다[3]. “易经에 처음 보이는데, ·系辞, “筋乃人身之经络骨节之外肌肉之内四肢百骸无处非筋无处非络联络周身通行血脉而为精神之外辅라 했다. 즉 근은 인체 조직에 널리 분포하여 오체의 하나를 이룬다는 것이다. 이라는 글자는 이 합쳐진 것으로, 이란 이다. 素问·五脏生成篇诸筋者皆属于节이라 했다. 예를 들어 素问·五脏生成篇에는, “诸筋者皆属于节이라 했고, 说文解字에는, “肉之力也. 筋之本附着于骨이라 했으며, 灵枢·经筋에서는 骨为干筋为刚이라 했다. 은 골격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활동적인 인성 조직이다. 素问·痿论篇宗筋者主束骨而利关节也라 했던 것이다元唯安[4], 근은 곧 일종의 생물역학적인 기능을 가진 섬유조직으로, 근육, 인대와 관절낭 등을 포괄한다고 이해한다. 刘斌[3]灵枢·经筋에 기초하여, 근은 5체 중 하나이며 에서 분리될 수 없다. 저자는 중의학의 임상 실습에서 근 손상은 일반적으로 뼈 조직 병변 또는 부상 이외의 연조직 질환을 의미하며, 즉 뼈 외에 4체에 모두 존재하며 의 범주에 속한다.

 

2.2 ""의 내포적 함의.

""은 두 가지 속성을 가지는데, 글자 그대로 공간적 속성을 가짐과 동시에 시간성을 내포한다는 점이 강조된다[5]. 먼저 공간성인데, 예를 들어 灵枢经脉》《经筋》 《经别经水등에서 인체의 삼음삼양의 공간적 순서 관계를 나타내고, 释名径也라 하였으니 곧 도로를 말한다. 说文解字에서는 织也라 했다. 즉 직물의 세로 실에 상하여 비유한 것으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물의 공간입체적 특징을 가리킨다. 다른 하나는 시간성인데, 에서 度之也라고 명확히 기재해 두고 있다. 즉 즉 法度规则界限天道의 뜻이다. 고대의 철학사상에서, “天道의 함의는 시간 规律이라고 본다. 도덕경天道无亲常与善人이라 하여, 上天亲疏를 구분하지 않고, 대자연은 시간변화에 规律이 없어, 늘 천도에 순응하는 사람을 생각한다. 灵枢·始终谨奉天道请言始终始终者经脉为经이라 했다. 여기서 始终은 생명의 연속성 주기를 나타내며 또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灵枢·根结九针之玄要在始终故能知始终一言而毕不知始终针道咸绝라 했다. 저자는 에는 두 가지의 이해가 있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어나 문맥의 조합과 결합되어야 하며, 본문의 经筋에서 나오는 의 의미는 인간 조직의 공간적 관계와 기타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경계로 이해된다.

 

2.3 경근의 본질.

<황제내경>에 나오는 经脉” “经筋은 모두 으로 기록되어 추상화되고, 실체의 혹은 으로 구별된다. “经筋이라 말하자면, 일종의 관해서는 일종의 의 특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黄帝内经灵枢注证发微各经皆有筋而筋又有病及各有治法故名篇이라 한 것이 그것이다. 경근의 본질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근육학설, 신경학설, 근막 및 기타 결합 조직, 신경근육학설,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순환 시스템, 특히 근육 및 신경근육학설이 주를 이룬다[6]. 薛立功经筋理论与临床疼痛诊疗学에서 경근의 본질은 해부학 상으로 골격근과 관절 인대를 주로 포함하는 근육 시스템을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경맥을 강으로 인체 근육, 인대 및 기타 주변 조직의 생리 및 병리 규율의 개괄로 보는 것이다.[7] 黄敬伟[8] 대표적인 다수 의가들은 경근은 12경근, 12경별 및 12피부를 포함한다고 이해하며, 12경근을 핵심으로 그 본질은 신경근육조직을 위주로 한 많은 조직으로, 경맥과 더불어 근과 맥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체계"의 유기적 복합체로 이해한다.

 

서양의학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발견했는데, 도수치료사 THOMAS[9]가 편집한 "Anatomy Train - Myofascial Meridian for Freehand and Movement Therapy"는 근막 네트워크 시스템을 집대성하고 있는데, 근근막 경선은 표준적인 서양 해부학의 拉力线, 신체를 에워싸고 있는 경로, 신체 주위의 근근막의 위치와 모양을 날실과 씨실과 같은 모양으로 파악하여 장력과 탄력을 전달하고 뼈를 둘러싸고 있는 근근막을 통해 인체의 움직임을 돕고 역동적인 안정성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중의학 경근학설과 매우 유사하다. 魏子耿[10]은 더 나아가 "근근막복합체", 즉 근섬유 근막, 신경 및 혈관으로 구성된 완전한 사지관절의 동력기구로써, ‘12경근조직의 해부 기구로 분석된다. 저자는 제한된 테스트 또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경근의 본질은 협의의 기구 속성 뿐 아니라 광의의 기능 함의를 가지며, 그 기능으로부터 그에 포함된 조직기구를 반추해 볼 수 있다.

 

 

3 경근의 체계 및 기능

 

경근체계는 灵枢·经筋에 기록된 12경근의 순행분포, 그 증후군 구별과 진료 원리를 이론적 기초로, 12경근과 12경맥은 모두 12낙맥에 속하고, 상호 동반하며, 그 생리, 기능 및 병리에서 상호 긴밀한 연관을 갖지만, 또 상호 독립적이다.[11-12]. 隋代 杨上善黄帝内经太素·经筋의 주석에서, “但十二经脉主于血气内营五脏六腑外营头身四肢. 十二经筋内行胸腹郭中不入五脏六腑라 했다. 明代 张介宾愚按十二经脉之外而复有所谓经筋者何也盖经脉营行表里故出入脏腑以次相传经筋联缀百骸各有定为. 虽经筋所盈之处则唯四肢溪谷之间为最以筋会于节也라 했다. 12경맥과 12경근은 각기 그 공을 나누고 있는데, 12경맥의 기혈이 12경근을 유양하고, 12경근은 사지백회를 연계하여 신체 전반의 관절운동을 주관하며 이를 통해 경맥을 호위하면서, 함께 인체의 정상체위와 운동기능을 유지한다[13-14]. 素问·痿论篇에서 宗筋主束骨而利关节也라 하고, 灵枢·大惑에는 筋与脉并为系라 했다. , 경근의 주요 생리 기능은 기계성 및 반응성으로 요약된다[15]. 杜旭[16]도 경근체계는 근육조직 운동의 물리적 기능 뿐만 아니라 감각 및 유추와 같은 추상적인 기능도 가진다고 본다.

 

灵枢·天年이 제시한 肌肉解利는 곧 경근의 생리적 형태가 이상 상태에 이른 것으로, 灵枢·卫气에 언급한 搏于筋则筋挛이다. 灵枢·刺骨真邪에 제기한 一经上实而下虚者此必有横络盛加于大经之上令之不通이라 했다. “横络” “聚结筋挛등은 근육의 병리 형태이다. 저자는 경근체계는 경맥계통과 독립적이며 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으로 인체 역학의 동태적인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손실이 있으면 신체의 동통으로 표현되고 통처에서 비정상적인 결절이나 条索이 만져진다.

 

 

4 경근변증논치의 사고

 

12경근의 병은 근의 병[17]으로, 경근병증의 전반적인 진단 및 치료의 사고는, 곧 灵枢·经筋经筋之病寒则反折筋急热则筋弛纵不放阴萎不用. 阳急则反折阴急则俛不伸으로 삼는다. 경근병은 한열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주된 증상은 筋急筋纵이다. 진단 방법은 灵枢·经水에 의거하여 그 寒温 성쇠를 조절하여 적절히 해주는 것이 핵심이다. 五诊合参을 강조하여 병정의 상태에 따라 순서를 달리하며 촉진에 중점을 둔다. 灵枢·卫气灵枢·背俞에서는 必先按而在久应于手应在中而解触诊心法을 분별하고 있다. 灵枢·经筋에는 经筋病 전반의 治疗原则으로, “治在燔针劫刺以知为数以通为腧를 제시하고, 灵枢·卫气失常에서도 筋病无阴无阳无左无右候病所在라 하여, 근병의 치료는 국부 통처에서 함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치료방법으로, 灵枢·天年灵枢·刺节真邪에서 모두 坚紧者破散之气下乃止解结大法으로 조기 치료할 것을 제시하였다. 灵枢·邪客灵枢·官能에서는, “捍皮开腠理揉节缓筋按积抑痹에 대한 안마 요령을 제시하고 있는데, 즉 먼저 주리를 연 다음 병소를 부드럽게 눌러준다고 한다. 灵枢·九针论에는, “形乐志苦病生于脉治之于灸刺. 形苦于乐病生于筋治之以熨引……,形数惊恐筋脉不通病生于不仁治之于按摩醪药指出五体患病当以不同方法治之必要时采用综合疗法"이라 하였다.

 

12경근은 12경맥의 기()와 혈()에 의존하니 경근의 질병은 경맥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경맥 취혈의 원리로 보하여 치료해야 한다. 또한 족소양근병에는 维筋相交의 이론을 제시하여, “阳缓而阴急阴缓而阳急跷脉筋病 이론에 의거하여 좌우교차 시치를 제시하고, 상하지 내측과 외측의 시치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저자는 경근변증은 국부변증을 중시하여 통처의 촉진에 중점을 두고 경근병의 국소부를 조사하며, 동시에 인체 12경근의 순행 규율을 잘 익혀 경근병소의 소속 경근과 변전하기 쉬운 경근의 진료 및 치료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주목한다.

 

病机沙篆, “经筋所过皆能为病治之者须审系何经方得应手取效라 했는데, 이것이 바로 경근병의 변증논치를 가리키는 것이다. 만성 긴장성 통증 질환에 대한 경근변증치료는 장부기혈변증에 비해 그 치료효과가 뛰어나다.[18]. 저자팀은 경근은 해부학적으로 장부와 혈관의 결합조직계와는 다르고, 경근병은 대부분 만성 긴장과 외인성 풍한습사와 관련이 있으며, 증상은 대부분 국소 통증이나 활동 제한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경근변증논치의 요점은 전신을 고려하면서 국부에서 변증하는 것이다. 그 치료는 침도, 침구, 수기법, 괄사, 첩부 등과 같은 외치요법이 주가 된다. 경근병은 전신 각처에서 볼 수 있지만, 주로 경견 요배의 근근막염, 건초염, 슬골관절염, 활액낭염, 말단건병, 족저근막염 등이 있으며, 난치성 족저근막염을 예로 하여 경근변증논치에 대해 논의해 볼 것이다.

 

 

5 병례

 

환자, 여성, 62, 2020716일에 내원. 주된 불만은 반년 이상 활동이 제한된 왼쪽 족저의 간헐적인 통증이었고, 최근 1주일 동안 악화되었다. 환자는 6개월 전부터 피로 후 왼발 발바닥 통증을 호소했고, 보행 후 증상이 악화되어 광주중의대학교 제3부속병원 针灸推拿科에서 3개월 동안 침과 마사지 등의 치료를 받았다. 그 당시에는 약간 완화되었다가 특히 걸을 때 통증이 재발했고, 각종 연고제 등을 발라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았다. 1주일 전 운동 후 통증과 붓기가 눈에 띄게 나타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여 인근 여러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고 족저근막염으로 진단 받아 증상에 따른 통증을 완화하였다. 추가 진단과 치료를 위해 진료를 받으러 왔다.

 

신체 검사: 왼쪽 발목 아래의 부기, 특히 발 뒤쪽의 명백한 발적과 부기, 얕은 아치, 온전한 표면 피부, 왼발 뒤쪽의 높은 피부 온도, 지압시 오목함, 발꿈치 뒤쪽의 압통(-), 발등쪽 압통, 발바닥 뒤쪽 압통이 뚜렷, 종아리 뒷면의 압통 뚜렷, 발바닥의 뒤쪽 내측주변에 "대두" 크기의 条索状결절, 족부 피부감각 약함. 왼쪽 발목 관절의 굴곡 및 신전 활동이 약간 제한되고 발가락이 움직일 수 있지만 서 있는 체중 부하가 제한되고 절뚝거림이 분명함. 왼쪽 발등이 오른발에 비해 그 둘레가 약 4.0cm 더 두껍고 발가락과 발목 관절의 굴근과 신근의 힘은 괜찮음. 혀는 창백하고 피막은 얇고 흰색이며 맥은 가늘다. 정신, 수면, 식이와 대소변은 괜찮음.

 

보조검사 : 왼발 뒤꿈치 측의 축방향 DR은 왼발꿈치뼈 아래쪽에 약간의 골극 형성을 보였으며, 혈액 루틴에는 이상이 없었고, 적혈구 침강 속도가 약간 증가했으며, 류머티즘의 3개 항목은 음성

 

진단: 왼발 족저근막염, 종골 과형성, 좌측 족태양, 양명 족부경근 痹证(气滞血瘀证). 환자는 경구 및 외용 약물과 같은 비침습적 치료를 거부했다. 족태양경근을 위주로 하고 족양명경근도 겸하여 족양명경근의 수기법안마로 보조하였다.

 

치료방법 : 왼쪽 발바닥의 통증점과 결절, 즉 경근 병소에 小针刀로 풀어주는 치료를 하였다. 종아리 아래 족태양 및 족양명 경근에 수기법 안마를 하여 특히 국소 통증 부위에 마사지로 풀어주었다. 밑창이 헐렁한 신발을 신고 더 많은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20207302차 진찰에서 환자가 발의 붓기가 사라지고 통증이 현저히 감소하고 혀가 가벼우며 피막이 얇고 하얗고 맥박이 고르지 못하며 기운이 좋고, 그리고 발바닥이 약간 아팠다. 소침도를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한 다음 족태양경근을 따라 종아리 아래 발 마사지를 하고 발목과 발가락 관절을 수동적으로 움직이며 특히 종아리, 발뒤꿈치 및 족저근막을 스트레칭하고 적절한 활동을 지시하고 족저근막을 마사지하였다.

 

2020813일 세 번째 방문에서 환자는 발바닥 통증이 기본적으로 사라졌고 걸을 때 발 바깥쪽이 약간 아프고 혀와 맥박이 전과 같았으며 발바닥과 바깥쪽을 눌렀을 때 눈에 띄는 통증은 없었다. 발 바깥쪽의 통증이 있는 부위에 소침도로 풀어주고 국부에 마사지한 후 발바닥과 종아리 근막을 스트레칭하고 종아리 뒤쪽, 발꿈치, 족저근막을 밀착시켜 마사지해 주었다.

 

참고: 이 경우 발바닥과 종아리 뒤쪽의 명백한 압통은 기체혈어의 증후군에 속한다. 족저근막의 만성 긴장이 근결이 국소 혈관과 신경을 압박하여 발생한 것이다. 치료는 근결을 이완하고 活血通络으로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다. 초기 환자에 대한 침자, 안마, 외용약물 등의 약효가 좋지 않아, 소침도 치료를 하였다. 본건은 경근이론을 기본으로 경근 병소부를 촉진하고, 소침도를 이용하여 횡으로 풀어내거나 종으로 근결을 해소하였다. 족양명경근과 족태양경근을 다라 마사지하고, 종아리 통처 혹은 족저의 나머지 통증 부위를 눌러 풀어주고 종아리와 족저 근막을 스트레칭하여 活血通络의 효과를 도모한다. 이 경우 환자는 몸이 허약한 중년 노년의 여성으로 전신을 조절하기 위해 温经通络方이 요구되나, 환자는 거부했다. 이후 전화 후속 관리가 이루어졌고 증상은 기본적으로 사라졌다.

 

6 결론

 

灵枢·经筋에는 12경근의 시작과 정지 및 주행, 그 증상, 진단과 치료규칙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는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의가들은 경근을 경맥에 부속된 근육계라고 믿어왔다. 针灸学교재 역시 마찬가지여서, 어떤 사람들은 경맥만 알고 경근에 대해서는 듣지 못하기 때문에 경맥이론에 의거해 자주 경근 질환을 치료하였고, 그 효과는 평균 정도이다. 필자는 경근과 경맥을 병렬적으로 두고 그 구조상 상호의존하며, 그 기능면에서 상호 쓰이며, 그 지위가 동등하게 중요하며, 둘 다 경락체게에 속한다고 본다.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경근이 신경 조직의 일부를 포함하는 근근막복합체이며, 주요 기능은 신체 긴장의 동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이해한다. 经筋痹痛은 대부분의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흔하며 근근막에서의 横络또는 筋结로 나타난다. 경근이론에 의거해 변증논치한다면, “治病求本에 이를 수 있고 기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근변증, 경근, 경맥, 경과 근의 함의, 경근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는, 임상의가 경근과 경맥에 동등한 중요한 위치를 부여할 때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임상에서 경근병과 경맥병을 구별한 다음에 경근변증 혹은 한열허실, 육경 및 장부 변증 등을 채택하면 변병과 변증 논치가 가능하며, 경근외치법에 의해 국부 병소를 해소하고 동통을 경감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장부육경변증에 의한 방약으로 전신을 조절하면 标本兼治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参考文献

[1] 冯广扬,易焕彪,黄敬伟.《黄帝内经》经筋学理论概述[J].中国中医基础医学杂志,1995,1(2):15-16.

[2] 薛立功.中国经筋学[M].北京:中医古籍出版社,2009:4-17.

[3] 刘斌.经筋定义及特性之启发[J].中华中医药杂志,2019,34(3):888-891.

[4] 元唯安,詹红生,杜国庆.论“筋主骨从”观念在慢性筋骨病损诊疗中的临床意义[J].上海中医药杂志,2019,53(9):12-15.

[5] 陈佳丽,林星星,张文静.从时空角度探讨经筋理论的架构[J].中医杂志,2017,58(7):552-555.

[6] 李满意,娄玉钤,陈传榜,等.经筋痹的源流[J].风湿病与关节炎,2013,2(8):55-60.

[7] 于洋,董寶强,李春日,等.足三阳经筋与肌筋膜链比较研究[J].辽宁中医药大学学报,2017,19(3):173-175.

[8] 黄敬伟,黄艺.中华经筋疗法的临床发掘应用研

究[J].中国针灸,1997,17(7):413-414.

[9] THOMAS MYERS.解剖列车:徒手与动作治疗的肌筋膜经线[M].3版.北京:军事医学科学出版社,2015:26-67.

[10] 魏子耿,李丽肖,刘永强,等.《灵枢·经筋》“十二经筋”组织解剖结构浅析[J].河北中医,2016,38(2):272-274,301.

[11] 郭蕾.试论经筋体系形成的思想基础[J].中医临床研究,2011,3(1):67-68.

[12] 肖红,郭长青.十二经筋与十二经脉关系探讨[J].中华中医药杂志,2013,28(10):2860-2863.

[13] 闫明,张贝贝,贾红玲.十二经筋临床应用浅析[J].中医学报,2015,30(8):1150-1152.

[14] 杨颖,宋玉磊,柏亚妹.经筋理论研究现状[J].中华中医药杂志,2019,34(3):1111-1113.

[15] 李世华.经筋疗法的源起与发展[J].中国民间疗法,1997,5(3):49.

[16] 杜旭,陈泽林.试论“筋象”与拔罐疗法的“度筋论治”[J].中国针灸,2019,39(5):541-544.

[17] 陈能,陈国材,许学猛,等.经筋理论指导治疗膝骨关节炎疗效的系统评价[J].风湿病与关节炎,2017,6(2):36-40,43.

[18] 苏鑫童,马晓晶,薛立功,等.论经筋痹痛[J].中国中医基础医学杂志,2015,21(4):381-382.

收稿日期:2020-10-15;修回日期:2020-11-12

(*芝雲 역ㆍ정리)

 

 

 

 

*책 소개ᆢ

코로나19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전개되었던 동의학 요법의 활약과 그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아래의 책을 소개합니다

https://blog.daum.net/hooclim/4934

 

책 소개 : 코로나19와 동의학 그리고 침뜸요법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