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7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7 조선시대의 민중의(民衆醫)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월호) ‘몽수전’에서 다산은 이헌길이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기억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으레 하는 말일 수 있지만 뒷날 그의 행적을 보면 빈말은 아닌 듯하다. 그러나 생김새는 미남..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22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6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6 조선시대의 민중의(民衆醫)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월호) 시체탕 이야기는 그야말로 신비스러움으로 착색된 이야기다. ‘전설의 고향’에는 나올지 몰라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청구야담’에는 한 가지 얘기가 더 있다. 유상이..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20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5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5 조선시대의 민중의(民衆醫)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1월) 이동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것은 그가 썼다는 약재다. 그는 침과 뜸을 기본으로 썼지만, 약만은 독특했다. 그의 처방이란 손톱, 머리카락, 오줌, 똥, 때 같은 것이었다. 풀이나 나무, 벌레..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7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4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4 조선시대의 민중의(民衆醫)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년 월호) 백광현이 내의원 의원이 된 것은 현종 때다. ‘현종개수실록’ 11년 8월16일에 현종의 병이 회복된 것을 기념하여 내의원 의관들에게 가자(加資)를 하는데, 백광현이 거기에 처음 보..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6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3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3 조선시대의 민중의(民衆醫)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1월) 어떤가. 감동스럽지 않은가? 이 한미한 의원의 말에 의업의 정도(正道)가 있지 않은가? 필자는 요로결석으로 한동안 고생을 하였다. 서울의 유명한 대학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았는데, ..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5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2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2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1월) 아무리 좋은 처방과 약이 있으면 무얼 하는가? 의원이 있어야 약을 쓴다. 그런데도 의원에 관한 이야기는 드물다. 양반 중심의 조선사회는 의원을 천시하였다. 의원이 아무리 똑똑한들, 아무리 학문이 있어본들 양..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4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1 수만 백성 살린‘숨은 허준’ 많았다1 조선시대의 민중의(民衆醫) -김명관 부산대교수/ 신동아(03/1월) 의술은 하늘이 내린 재능이다. 하지만 천부의 재능을 제대로 활용하는 의사들은 많지 않다. 조선시대, 의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백성들 속에서 활약한 민중의(民衆醫)들은 그래서 소..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4
조선시대 질병과 치료, 그리고 의사⑥ 조선시대 질병과 치료, 그리고 의사⑥ 김 성 수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2) 상업의사의 등장 조선후기 의약의 상업화와 함께 상업적으로 활동하는 의사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조선 전기 관료제 운영에 속한 의사들과 유의들이 의료계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면, 조선 후기는 그..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4
조선시대 질병과 치료, 그리고 의사⑤ 조선시대 질병과 치료, 그리고 의사⑤ 김 성 수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3. 의사의 등장 1) 조선후기 의료의 상업화 사족들에 의해서 지방에서 운영되었던 약계 외에 상업적인 관계로써의 약계, 즉 약국과 같은 것이 조선후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처음은 효종대 사약계를 금지하는 조..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3
조선시대 질병과 치료, 그리고 의사④ 조선시대 질병과 치료, 그리고 의사④ 김 성 수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2) 국립 병원과 약계 양생법을 통해 질병을 미연에 방비하더라도 이미 질병에 걸렸을 때에는 결국 병원이나 의사를 찾아서 치료를 받는 것이 조선에서도 일반적이었다. 조선시대 병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국가.. 동의학 이야기/조선의 동의학 2020.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