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스크랩 동의학 30

[펌] 內外・陰陽의 관점에서 본 韓醫學의 歷史

內外・陰陽의 관점에서 본 韓醫學의 歷史* 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學敎室1 丁彰炫1 **140) * 이 연구는 2008년도 경희대학교 연구비지원에 의한 결과임 (KHU-20080589) ** 교신저자 : 丁彰炫, 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學敎室. E-mail : jeongch@khu.ac.kr Tel : 02-961-0337. 접수일(2008년 10월 24일), 수정일(2008년 11월 1일), 게재확정일(2008년 11월 12일) The history of oriental medicine at certain point of internal-external and Eumyang Jeong Chang-hyun1 ** 1 Dept. of Oriental Medical Classic, College of Or..

[펌] 管子의 陰陽五行論

?管子?의 陰陽五行論 89)李 明 載* ❙국문초록❙ 본고는 ?管子?에 보이는 陰陽五行論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陰陽과 五行은 처음에는 각각 자연현상을 나 타냈으나, 春秋戰國時代를 거치면서 抽象化되고 통치 이념화의 과정을 거친다. 陰陽五行의 통치 이념화는 ?管 子?의 時令思想에서 시작되었다. ?管子?에서는 富國强兵과 民生安定를 목적으로 君主가 행하는 대부분의 정치 행위와 사회제도를 陰陽五行과 연계시켰다. ?管子?에 나타난 陰陽五行論을 살펴보면 첫째, ?管子?의 時令思想 은 민생안정을 목적으로 陰陽五行論을 농업생산증대에 연계시킨 爲民思想이라고 할 수 있으며 陽德陰刑 사상 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管子?에서의 天은 자연적 天보다는 의지적 天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天人 關係로 보면 災異說을 포함..

「玉龍賦」연구2 [펌]

옥룡부에 대한 연구(2) 방정균 1⋅ 장현준 2⋅ 이준무 2 상지대학교 1 원전의사학교실, 2 경혈학교실 (대한경락경혈학회지 Vol.24, No.2, 2007) Ⅰ. 序 論 「玉龍賦」는 宋代 楊氏가 저술한 「玉龍歌」의 내용 가운데 精華만을 뽑아 賦의 형 식으로 서술한 것으로 『鍼灸聚英』에 실려 있던 것을 『鍼灸大成』에서 인용하고 있다. 『鍼灸聚英』은 1529년에 완성되었고 모두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16세기 이전의 침구문헌의 이론과 치료경험을 수집하였고, 동시에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였다. 특히, 제 4권은 鍼灸歌賦 60여수를 인용하였는데, “世俗喜歌賦以其便于記誦”이라는 인식하에 歌賦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니, 「玉龍賦」는 그 가운데 하나이다 1). 「玉龍賦」는 「玉龍歌」의 精華만을 뽑아 賦의 형..

足中脘穴[펌]

“中脘穴을 代置할 혈자리가 바로 足中脘穴이다” 朴奉秀의 足中脘穴論 (한의신문, 2014 3 6)에서 펌 朴奉秀 先生(1910∼?)은 1973년 9월 서울에서 열린 제3차 국제침구학술대회에서 ‘中脘代置穴의 臨床的硏究’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한다. 朴奉秀 先生은 芝隱鍼術로 유명했던 한의사이다. 그는 한의사였던 祖父의 영향으로 한의학을 연구했던 한의사로 경기도 광주시의 한의사 李彰善을 선생으로 모셨다. 그는 학술적 견해를 인정받아 1966년에는 한의사협회에서 표창장을 받았다. ‘中脘代置穴의 臨床的硏究’라는 제목의 논문은 제3차 국제침구학술대회의 논문초록집에 실려 있어서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中脘穴이 예기치 않는 부작용을 많이 일으키기에 이에 대치할만한 혈자리를 착안할 필요가 있어서 그의 祖..

무극보양뜸 정리(펌)

灸堂(구당) 선생님의 無極保養灸과 灸(뜸)의 효능. /대구 평생교육원 침뜸연구반 정리 뜸은 침과 더불어 수천 년을 이어온 우리 민족의 傳統醫學(전통의학)이다. 현대의학이 신체의 일부를 자르고 細菌(세균)을 죽이는 치료방법을 주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鍼灸 의학은 사람이 자연의 치유력을 회복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灸堂선생님께서 평생 임상으로 개발한 無極保養灸를 소개와 공부하고자한다. 뜸을 뜨면 우선 疲勞(피로)를 모르고 질병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다. 百會(백회) 肺兪(폐유) 膏肓(고황) 中脘(중완) 曲池(곡지) 足三里(족삼리) 氣海(기해) 關元(관원) 女子는 水道(수도)中極(중극). (男子=12혈, 女子=13혈) 뜸의 효능 1) 뜸은 세포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여 몸을 가볍게 한다. 세포는 우리 몸을 ..

황제내경의 이론체계(펌)

[펌] 황제내경의 이론체계 출처 한 나무에 꽃이 피면...|myogasan 역대 醫家들이 각종 분류방법을 통해《內經》을 연구한 주요 목적은《內經》에 존재하는 이론체계를 탐구하기 위함이다. 각 醫家들의 인식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조잡하고, 때로는 상세하며, 때로는 복잡하고, 때로는 간략하기도 한데, 가장 복잡한 것은 楊上善이 18가지로 분류한 것이고, 가장 간략한 것은 沈又彭이 4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그 가운데 각 醫家들의 견해가 비교적 일치하는 것은 臟象(經絡을 포괄함). 病機. 診法(四診을 포괄함). 治療原則의 네 가지 학설이다. 이에 네 가지 학설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一. 臟象學說 臟象學說은 인체의 조직과 형태에 대하여 세밀하게 관찰하여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인체 각부의..

무위당 이원세 선생 (펌)

무위당 선생은 1903년생으로 경북 청도에서 태어나셨다. 17세 때까지 서당에 다니며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마쳤다. 집안이 빈한하여 장남으로서 집안을 일으킬 책임을 지고 교육을 받은 것이다. 그후 20세까지는 의학을 위주로 배우면서 생활의 방편을 모색했는데 수업료를 낼 수 없어 이리저리 스승을 찾아다니고 있었다. 무위당선생이 의탁한 집에 어느날 당대의 대학자 석곡 이규준 선생이 방문했다. 무위당 선생은 심부름을 드나들며 먼 발치에서나마 석곡 선생의 학문이 깊음을 알고 한눈에 반해 버렸다. 그래서 틈을 보아 “어디로 가면 선생님을 뵈올 수 있습니까”하고 석곡 선생에게 여쭈었다. 석곡선생 또한 무위당선생의 천품을 알아보고 “모월모일 어디로 오너라”하고 떠났다. 무위당 선생은 곧장 당시 대구의 유력자였던 석재..

석곡 이규준선생의 부양론(펌글)

석곡 이규준선생의 부양론 1. 정의 부양론(扶陽論)이란 본디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 1855-1923) 선생의 대표적 의학논문의 제목인데 이후에 석곡(石谷)의 의학사상을 말할 때 부양론(扶陽論)으로 통칭하여 부르게 되었다. 석곡은 조선말 학자로서 유학에 저서가 많으며 의학 저술로는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대요를 간추린 소문대요(素問大要)와 동의보감(東醫寶鑑)을 간추린 의감중마(醫鑑重磨)가 있다. 부양론은 소문대요의 끝에 첨부된 5개의 논문 가운데 하나로서 기존 음양론의 오류를 바로잡은 것이다. 그 외에 기혈론(氣血論)에서는 병리를 하나로 꿰뚫었고, 신유양장변(腎有兩藏辨)에서는 신에 화가 없는 것을 논했고, 맥해(脈解)에서는 기존 6맥진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5맥의 정당성을 밝혔다. 주요 내용들을 아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