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스크랩 동의학 30

安貞珝의 한대(一本)鍼法과 鍼響(펌글)

김남일,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보원국 한의원 원장이었던 안정후는 황해도 봉산출신으로 본래 고향에서 한의사로 활동하다가 해방 후 월남하여 서울에서 개원하여 활동하였다. 그는 주로 신경계통의 환자를 많이 치료하여 이름을 떨쳤다.그가 애용했던 처방으로 吐瀉亂, 肺炎에 효과가 있었던 平安萬應丸이다. 이 처방은 「方藥合編」에 나오는 처방이다. 그가 自作한 처방으로 一切의 炎症患者에 특효방인 保生錠이 있는데, 蟾, 白靈砂, 乳香, 沒藥, 石雄黃, 朱砂, 龍腦, 古石礬을 等分하여 丸劑한 것이다.안정후가 1971년 지은 「(自律神經不調症의 調節과) 鍼響의 硏究」〈사진〉라는 책은 그의 鍼法을 정리한 것으로 수많은 治療醫案들이 기록되어 있다. ‘鍼響’이란 용어는 그가 창작한 단어로서 사전적..

趙憲泳의 東西醫學比較論( 펌글)

趙憲泳의 東西醫學比較論 (醫史學으로 읽는 近現代 韓醫學 59/ 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29502) “서로 비판만 하지 말고 장점을 배우기 위해 노력하자” 趙憲泳(1900~1988)은 해방 후에 제헌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한의학의 제도권 진입을 위해 노력하기도 하였고, 1950년 6·25전쟁 기간에 납북되었다. 그는 북한에서 평양의과대학 동의학부에서 교수를 역임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저술로는 『通俗漢醫學原論』, 『民衆醫術 理療法』, 『肺病治療法』, 『神經衰弱症治療法』, 『胃腸病治療法』, 『婦人病治療法』, 『小兒病治療法』 등 다양하다. 특히 1934년 간행된 『通俗漢醫學原論』은 그의 학술사상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이 책에서 한의..

한국 근대 의학사ᆢ

한국 근대 의학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박윤재*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의사학 제19권ㅡ1호(통권 제36호) 2010년 6월) 1. 머리말 2. 그동안의 성과들 3. 몇 가지 전망 1) 경계흐리기 2) 영역의 확대 3) 이론화의 시도 4. 맺음말 1. 머리말 대한의사학회의 학회지 의사학(醫史學)이 창간된 지 20년이 되어가고 있다. 1992년 창간된 의사학은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의학사 연구의 주요한 발표 공간으로 자리 잡으면서 그동안 217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아직 전문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지만, 의사학에 게재된 논문들은 지역으로는 동서를, 시기로는 고금을 망라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개항 이후부터 1945년 해방까지 시기, 즉 한국 근대와 관련된 연구는 97편, 전체 논문 수의 45%를..

춘곡 양봉근(春谷楊奉根)의 생애

보건운동가로서 춘곡 양봉근(春谷楊奉根 1897-1982)의 생애 신영전*‧윤효정** * 한양의대 예방의학교실(교신저자) **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1 서론 춘곡 양봉근(春谷楊奉根 1897-1982)은 개항 일제시대 해방과 분단으로 이어지는 한국 근현대사의 격동기에 의사(醫師)로서민족해방운동가1)이자 보건운동가로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간 사람이었다일제시대 양봉근은 3ㆍ1운동과 신간회운동 등 민족해방운동에 참여하는 한편 민족해방운동의 일익(一翼)으로 보건운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대 중후반경 만주로 활동지를 옮긴 양봉근은 해방직후에는 임시정부 동북지부에서 정치부장으로 재만 조선인들의 귀국을 돕는 활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후 그는 중국에 남아 연변지역 조선족들을 위한 병원이자 교육기관인 연변병원 및 연변..

식민지시대 조선 동의학

醫書의 刊行을 중심으로 살펴본 日帝時代 한의학의 학술적 경향* 金南一** * 이 논문은 2005년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과제번호 A20016) ** 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學 醫史學敎室 醫史學 제15권 제1호(통권 제28호) 77-105, 2006년 6월 1. 서론 일제시대는 한의학을 살리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진 시기이다. 궁중에서 활동했던 어의들의 사회활동, 민간에 숨어 있던 醫家들의 의서출판, 학술잡지의 간행, 한의사 모임의 활성화 등으로 한의학의 학술은 많은 발전을 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학술적 발전을 이 시기에 간행된 의서들과 학술잡지를 통해서 엿볼 수 있다. 한의계 내부의 노력에 의해 한의학은 새로운 혁신기를 맞이하게 된다. 韓國의 한의학은 수없는 학술적 논쟁 속에서 지금까지 ..

조선 의원의 일본 사행과 의학필담집

조선 의원의 일본 사행과 의학필담집의 출판 양상*# /허경진** 1. 머리말 2. 의학 관련 필담창수집의 연구 현황과 출판 연구의 필요성 3. 의학 관련 필담창수집 서지사항 4. 의학 관련 필담창수집의 출판 양상 5. 의학 관련 필담집의 범주 6. 전문적인 의학필담의 편집과 특성 7. 맺음말 * 이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 구임(KRF-2008-322-A00073). # 이 논문은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에서 2009년 9월 29일에 개최한 2009년도 심포지엄 「의학필담과 동아시아 의학교류」에서 발표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토론을 맡아주신 차웅석 교수(경희대)님에게 감사드린다. ** 연세대학교 국문과 주 소 :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1..

침술(鍼術)의 성립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 정우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 경희대학교 철학과 1. 들어가며 2. 침술의 등장시점 3. 뜸 4. 폄(砭) 5. 치미병(治未病)과 보정(保精, 정의 보존)의 이념 6. 논의의 정리 1. 들어가며 한의학은 흐르고 있다고, 나는 믿고 싶다. 이 케케묵은 인류의 유산이 앞으로도 계속 살아남아 주류의학에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긴장감을 불어넣고, 어느날 갑자기 사람들이 현재의 한계 속에서 좌절할 때, 희망을 찾을 수 있는 원시림으로 기능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희망이 학자의 몫인가? 희망은 실존적 문제다. 한의학의 미래는 골방에서 학문에 몰두하는 학자만의 소임은 아니다. 그러나 한의학의 원형과 발전과정을 탐색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작업은 온전히 학자의 몫일 것이다..

역사적 근거중심의학

전통한의학 연구방법론의 현대화에 대한 小考* - 역사적 근거중심의학에 대한 제언 - 광혜원 한방병원1ㆍ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2ㆍ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임상종양학교실3 엄석기1 **⋅김세현2⋅최원철3 A Proposal for Use in Research Methodology of Traditional Medicine in East Asia - Historical Evidence-Based Medicine - Eom Seok-ki1 **ㆍKim Se-hyun2ㆍChoi Won-cheol3 1Kwanghyewon Medical Foundation 2Dept. of East-West Medicin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ine, Kyunghee Univers..

靈樞·官鍼에 對한 硏究2

Ⅳ. 意 譯 무릇 刺鍼에 있어 가장 중요한 要點은 官鍼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奧妙하다. 아홉 가지 鍼具를 活用하는 데에는 각기 나름의 效用이 있어 鍼의 길이와 크기에 따라 各其 적응증이 다 다르니, 그것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病이 除去되지 않게 된다. 疾病은 輕淺한데 鍼을 지나치게 깊게 놓으면 안으로 正常的인 肌肉까지 損傷을 주어 皮膚에 癰腫이 생기게 되고, 疾病이 深重한데 鍼을 얕게 놓으면 病氣가 빠져 나가지 못하고 도리어 큰 膿瘍이 생기게 되며, 病은 적은데 지나치게 큰 鍼을 놓으면 正氣가 몹시 손상을 당하여 疾病을 치료하는데 오히려 害만 되고, 病은 큰데 지나치게 적은 鍼을 놓으면 邪氣가 빠져나가지 못하여 또한 치료를 失敗하게 된다. 適切한 鍼法을 잃어 疾病에 비해 지나치게 큰 鍼을 쓴 경우에는..

靈樞·官鍼에 對한 硏究1

靈樞·官鍼에 對한 硏究 東新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 高晟豪·李南九* * 교신저자: 李南九, 東新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 061) 330-3525, ngoo3525@hanmail.net The Gwan-acupuncture is generally used in clinical treatment Dept.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and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Go Seong-ho·Lee Nam-goo On this volume it is said that the general nine-acupuncture is correctly used for it. Since the struc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