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티베트의학 사부의전 10

四部醫典의 생리, 병리, 진단 및 치료의 탕카나무

四部醫典의 생리, 병리, 진단 및 치료의 탕카나무 티베트의학의 기초가 되는 탕카 나무에 대해 정리해 둡니다.  탕카 나무1 / 생리 및 병리의 나무 먼저 인체의 생리 및 병리가 2개의 굵은 줄기(생리의 줄기, 병리의 줄기)로 나뉜다. 인체 생리의 줄기(왼쪽)는 다시  3개의 가지로 나뉘는데, 3가지 인소(隆、赤巴、培根), 7가지 물질(乳糜、血、肉、脂、骨、髓、精), 3가지 배설물(糞、尿、汗)을 나타낸다고 한다. 3가지 주요 인소는 각각 5가지 유형으로 나뉘며(15개의 잎), 각 유형은 잎으로 표현되고, 7가지 물질과 3가지 배설물도 각각 잎으로 표현되어 총 25개의 잎이 된다. 인체 병리의 줄기는 질병 및 근원(잎 4개), 질병 원인(5), 질병 경로(7), 질병 부위(4), 질병의 구체적 위치(16), ..

고대 인도의학의 생명관 : 5대 원소와 정화

고대 인도의학의 생명관 : 5대 원소와 정화 서론적 이해 다른 글에서 티베트의학의 기초철학의 하나로 '5대 원소론'을 소개한 바 있다(티베트의학의 기초철학 : 5대원소) 고대 인도의학의 생명관이라 할 수 있는 '5대 원소론' 역시 티베트의학의 그것과 거의 유사하다. 어쩌면 이것이 원형일지도 모른다. 아니 반대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불교에서는 이들 5대 원소 가운데 空을 제외한 地、水、火、風을 4대 원소라 한다. 한편 불교에서는 空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4대 원소인 地、水、火、風이 활동하는 장소로서의 空을 상정하면 역시 5대 원소론와 유사해진다. 동아시아지역에서 우주 및 인체 생명관은 수화목금토의 오행론과 음양론을 기초로 한다. 오행개념 가운데 토, 수, 화, 목은 각기 地、水、火、風에 대응..

티베트의학의 기초철학 : 5대 원소

티베트의학의 기초철학 : 5대 원소 티베트의 사상 문화는 1만 7천 년 전부터 이어지는 본교가 바탕이 되었다고 한다. 티베트에서는 모든 현상이 5대 원소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5대 원소의 사상은 의학, 천문학, 역법은 물론 마음을 탐구하는 학문의 기반이 되어 왔으며, 티베트 문화의 모든 면에 침투해 있을 만큼 중요하다. 5대 원소란 地・水・火・風・空의 다섯가지를 말한다. 이들 요소는 우리에게 익숙한 자연계의 요소와 유사한 성질을 반영하는 한편,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예컨대 地는 단단함, 水는 유연함, 火는 열, 風은 운동, 그리고 空은 이들 4개의 원소가 활동하기 위한 공간의 확대이다. 또한 5대 원소는 감정, 기질, 방위, 색깔, 맛, 신체 타입, 질병, 사고 스타일, 성격 등과도 관련이 있..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탕카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이해는 학습을 통해 확장되어 가길 기대하며ᆢ *인체의 맥락(전면) ㅡ인체 맥락의 정면 세부ᆢ 가운데 ㅡ인체 측량단위:촌강(엄지손가락 관절)ᆢ 좌상 ㅡ두경부의 맥락 및 방혈부위ᆢ 좌상 ㅡ77개 방혈부위 계통 가운데, 설근의 방혈부위ᆢ 좌상 ㅡ90개 방혈부위 계통 전도(좌/우 인체) ㅡ경근 및 정관(좌하), 설근 방혈부위(우하) *인체의 脈絡(후면) 脈絡을 개관하여. 전면에 있는 黒脈、중간에 있는 命脈、후면에 있는 白脈 등,3종류가 있다고 한다. 이 점은 중의학이나 인도의학에는 없는 독자적인 것이다. *인체의 脈網 생명의 에너지가 소용돌이 치듯 응축하는 장소, 5개의 차크라가 묘사되어 있다. *인체 전면의 ..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인체의 구조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대원사 티벳박물관 인체해부도에 더하여 다른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이해는 추후 학습을 통해 메꿔지길 기대하며ᆢ (탕카 6) 정면의 맥락( 脈絡). 인체의 머리, 목, 몸통, 사지의 맥락과 인체 앞면의 방혈(放血)부위, 중요한 白脈의 분포 등을 설명하고 있다.방혈은 주로 고혈압 및 고혈압으로 인한 질환, 혈액순환 장애 및 이상, 혈압 이상으로 오는 전신감염 및 각종 관련 질환에 이용된다. 심폐순환의 상태를 이미 8세기 초 티베트의학(西藏醫學)에서 다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탕카 7) 인체 후면의 맥락과 방혈 부위.   (탕카 7)  인체 기관의 형상 비유와 물질의 계량제1항부터 인체 기관의 형상 및 비유, 고관절의 유사벽에서..

티베트의학의 이해/ 「티베트의학 입문」2

「티베트의학 입문」2 *일본 에서 이루어졌던, 티베트의학의 권위자 다와 박사의 두차례 강연, 「티베트의학 입문」(2003年2月)과 「생활 속에서 생겨난 티베드의학(2003年7月) 자료이다. 이 가운데「티베트의학 입문」을 1, 2로 나누어 올려둔다. 그 두번째ᆢ *닥터 다와(Dawa)/ 1958년 티베트 라싸에서 태어남. 1971년 티베트의 멘찌 칸(Men-Tse-Khang 티베트 의학역법연구소)에서 티베트 의학, 침구학, 약학을 수학. 중국 중앙후생국 식물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그 후, 인도로 망명해, 1988년부터 다람살라에 있는 멘지·칸의 마이트레이어 의학부 고문. 티베트의학 강의 등에 초청되어 독일,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미국, 캐나..

티베트의학의 이해/ 「티베트의학 입문」1

「티베트의학 입문」/ 닥터 다와 *일본 에서 이루어졌던, 티베트의학의 권위자 다와 박사의 두차례 강연, 「티베트의학 입문」(2003年2月)과 「생활 속에서 생겨난 티베드의학(2003年7月) 자료이다. 이 가운데「티베트의학 입문」을 1, 2로 나누어 올려둔다. 그 첫번째ᆢ *닥터 다와(Dawa)/ 1958년 티베트 라싸에서 태어남. 1971년 티베트의 멘찌 칸(Men-Tse-Khang 티베트 의학역법연구소)에서 티베트 의학, 침구학, 약학을 수학. 중국 중앙후생국 식물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그 후, 인도로 망명해, 1988년부터 다람살라에 있는 멘지·칸의 마이트레이어 의학부 고문. 티베트의학 강의 등에 초청되어 독일,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대원사(전남 보성) 티벳박물관에 게재되어 있는 탕카 몇 컷.. ᆢ ㆍ ᆢ *대원사(전남 보성) 티벳박물관에ᆢ http://www.tibetan-museum.org/ *블로그의 다른글 참조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인체의 구조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대원사 티벳박물관 인체해부도에 더하여 다른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이해는 추후 학습을 통해 메꿔지길 기대하며ᆢ *인 hooclim.tistory.com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

티벳의학 四部醫典 서지

*사부의전은 4부로 구성된다. 1부는 인체의 생리, 병리, 질병의 진단과 치료의 기본원칙에 관련된 설명이고, 2부는 인체의 해부구조, 질병의 원인, 보건위생지식, 약물의 성능, 질병진단의 구체적 방법과 치료원칙이 소개되어 있다. 3부는 각 과의 의료지식과 구체적 치료법, 약물요법, 외치법, 식사요법 그리고 각종 금기사항이 소개되어 있다. 4부는 질병 진단 방법과 소변 검사법, 맥진법 그리고 각종 방제와 그 합성 및 배합 치료효과 등을 기록하고 있다.      四部醫典 서지일본어판 四部医典医学タンカ詳解(全6巻)   제1권 달라이 라마 5세, 약사여래상과 인체 수목의 뿌리  달라이 라마 5세와 약사여래, 그의 제자, 명의 등을 소개. 또한, 인체의 나무뿌리에서 생리와 병리의 두 줄기가 자라난다고 보는 티베트..

티베트의학ᆢ 四部醫典에 대해ᆢ

사부의전(四部醫典)을 통해 본 티베트인의 질병 치유와 유기체적 세계 인식 ㅡ박사과정 박혜영 1. 티베트인의 의학의 지혜에 대한 관심 2. 의사의 진맥 방법과 역할에 대한 이해 3. 배태발육도를 통해본 인간에 대한 인식 4. 자연에서 구하는 약재와 약물의 활용 5. 티베트 의학과 유기체적 생명의 세계 1. 티베트인의 의학의 지혜에 대한 관심 학문과 철학과 예술을 넘어서는 의학의 지혜란 무엇인가? 흔히 밀교에서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가 진화하는 방법을 다섯 단계로 구분한다. 학문과 수행을 언어 수사학의 지혜(타릭빠:DRA RICPA), 논리학의 지혜(뗀칙릭빠:TENTSIK RICPA), 예술의 지혜(소와릭빠:SOWA RICPA), 의학의 지혜(소릭빠: SORICPA), 명상수행의 지혜(낭릭빠: NANG R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