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티베트의학 사부의전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지운이 2020. 6. 15. 17:05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탕카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이해는 학습을 통해 확장되어 가길 기대하며ᆢ

 

 

 

*인체의 맥락(전면)

ㅡ인체 맥락의 정면 세부ᆢ 가운데
ㅡ인체 측량단위:촌강(엄지손가락 관절)ᆢ 좌상
ㅡ두경부의 맥락 및 방혈부위ᆢ 좌상
ㅡ77개 방혈부위 계통 가운데, 설근의 방혈부위ᆢ 좌상
ㅡ90개 방혈부위 계통 전도(좌/우 인체)
ㅡ경근 및 정관(좌하), 설근 방혈부위(우하)

 

 

*인체의 脈絡(후면)

 脈絡을 개관하여. 전면에 있는 黒脈、중간에 있는 命脈、후면에 있는 白脈 등,3종류가 있다고 한다. 이 점은 중의학이나 인도의학에는 없는 독자적인 것이다. 

 

 

 

*인체의 脈網

생명의 에너지가 소용돌이 치듯 응축하는 장소, 5개의 차크라가 묘사되어 있다. 

 

 

 

*인체 전면의 脈絡 및 머리 형태

 맥이 작용하는 라인이 그려져 있다. 

 右下는 「心의 智恵脈」、左下는 「臓腑의黒脈」

 머리의 형태는 風性、熱性、寒性의 형과 그것들이 혼합된 형을 가리킨다고 한다. 

 

 

*火灸、穿刺 및 瀉血의 穴位(전면)

 질병을 치유하고 몸을 조정하는 작용을 하는 혈자리를 도시하고 있다. 

 赤은 火灸、黄은 穿刺、青은 瀉血의 혈위이다. 

 

 

 

*火灸、穿刺 및 瀉血의 穴位(후면)

 질병을 치유하고 몸을 조정하는 작용을 하는 혈자리를 도시하고 있다. 

 赤은 火灸、黄은 穿刺、青은 瀉血의 혈위이다. 

 

 

 

*火灸 및 穿刺의 부위

 붉은 동그라미 안에 검은 점이 뜸 뜨는 부위, 노란 동그라미 안에 붉은 점이 천자 부위라고 한다

 

 

 

*보조적인 火灸 부위

 얼굴에서 흉부, 복부에 걸친 보조적인 火灸 부위가 그려져 있다. 

 

 

 

*瀉血 穴位 및 火灸

 사혈의 방법이 도구와 함께 그려져 있다. 

 하단 3단에는 뜸 뜰 때, 뜸쑥 채취 방법, 적응증, 금기 등을 묘사하고 있다고 한다. 

 

 

 

*의료기기

 티벳의학의 치료법은 기본적으로 식사 및 생활습관의 개선, 약초, 마사지 등을 이용하지만. 위 그림과 같은 다양한 기기를 사용한 치료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구들이 매우 다양하여 외과적 치료법도 크게 발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ᆢ ㆍ ᆢ

*블로그의 다른글 참조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대원사(전남 보성) 티벳박물관에 게재되어 있는 탕카 몇 컷.. ᆢ ㆍ ᆢ *대원사(전남 보성) 티벳박물관에ᆢ www.tibetan-museum.org/coding/main.asp

hooclim.tistory.com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인체의 구조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대원사 티벳박물관 인체해부도에 더하여 다른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이해는 추후 학습을 통해 메꿔지길 기대하며ᆢ *인

hoocli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