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티베트의학 사부의전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지운이 2020. 6. 12. 08:04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1

 

*대원사(전남 보성) 티벳박물관에 게재되어 있는 탕카 몇 컷..

 

 

 

 

 

신체의 혈관의 구조를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세세하게 열거하여 나타낸 그림으로서, 티벳 의학의 발전사를 보여준다.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일을 하는 혈관은 심장에서 말초기관으로 가는 동맥, 세포와의 사이에서 물질교환을 하는 모세혈관, 그리고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정맥으로 구분된다. 혈압은 심장을 떠난 혈액이 동맥을 타고 흐를 때 동맥벽에 가하는 힘으로 좌심실이 혈액을 방출해 내는 순간에 최고치에 이른다.  이 그림은 하얀색 척추와 신경계통의 표현도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뼈와 골수 사이를 잇는 모세혈관을 나타낸 그림으로서 인체의 외부와 내부 혈관 구조와 기능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360개의 미세한 혈관 속으로 확산되는 형상은 검은 먹으로 그 갯수까지 열거하였고, 700개의 혈관은 주홍색으로 하나하나 숫자를 표기한 티벳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인체 해부도이다.

 

 

 

인간의 뼈를 해부한 정면도이다. 뼈의 구조를 도해한 다음, 그림 아래에 글로써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예컨대 인간의 뼈는 23개군 360개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 23개 군에는 두개골, 후두골, 코뼈, 이, 턱뼈 등 다섯 개의 군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몸체를 구성하는 아홉 개, 세 개의 팔, 다섯 개의 다리, 마지막으로 손가락과 발톱을 구성하는 뼈 등 한 개의 군이 있다. 또 360개의 뼈는 23개 군으로 된 뼈 사이에서 좀더 세분화되어 있으며, 인간의 모든 뼈는 12개의 주요 관절과, 210개의 작은 마디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그림과 글로서 설하고 있다.  실제로 티벳에서는 고대부터 수술을 시행했다고 하는데 놀라운 것은 단순한 수술뿐 만이 아닌 심장이나 뇌를 검사하기 위한 수술도 했다고 하며 그 증거는 티벳 의학교재로 쓰이던 해부도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수술은 9세기 이후에는 금지되었다. 이는 왕의 어머니가 수술 도중 사망하였기 때문이며 이는 현재까지도 티벳 전통의학에서 수술이 행해지지 않는 이유라고 한다.  이렇게 고대부터 의술이 발달하기까지는 티벳의 장례풍습인 조장을 실질적으로 주관하는 돔덴(Domden, 시체의 몸을 가르고 자르는 사람)의 역할이 막중했을 것이다. 수술이 금해진 이후에도 병으로 죽은 사람은 조장을 할 때 의술승이 부검을 하여 가족에게 사망원인을 알려준다. 이러한 전통은 티벳 의술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주변국가, 중국이나 인도, 페르시아 등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는데 이미 7세기 송첸감포왕 시기에 페르시아인, 중국인, 인도인의 의사를 왕실에 두고 왕족의 건강관리를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ᆢ ㆍ ᆢ

*대원사(전남 보성) 티벳박물관에ᆢ

http://www.tibetan-museum.org/

 

*블로그의 다른글 참조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인체의 구조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2 *대원사 티벳박물관 인체해부도에 더하여 다른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이해는 추후 학습을 통해 메꿔지길 기대하며ᆢ *인

hooclim.tistory.com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티베트의학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사부의전(四部醫典)의 인체해부도 3 : 脈絡과 穴位 *탕카 인체해부도를 모아 보았다. 각 그림에 대한 이해는 학습을 통해 확장되어 가길 기대하며ᆢ *인체의 맥락(전면) ㅡ인체 맥락의 정면 세부

hoocli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