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신형 코로나는? 77

mRNA 백신 투여로 신생 수컷 쥐에 자폐증이..

임신한 어미 쥐에 mRNA 백신 투여후 신생 수컷 쥐에 자폐증 유사행동 유발 : WNT 및 BDNF 신호교란에 대한 시사점 Prenatal Exposure to COVID-19 mRNA Vaccine BNT162b2 Induces Autism-Like Behaviors in Male Neonatal Rats: Insights into WNT and BDNF Signaling Perturbations Mumin Alper Erdogan, Orkun Gurbuz, Mehmet Fatih Bozkurt & Oytun Erbas / Neurochemical Research 240110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064-023-04089-2) 이 논문은 코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간이 만들었다?

Endonuclease fingerprint indicates a synthetic origin of SARS-CoV-2 엔도뉴클레아제 지문은 SARS-CoV-2의 합성 기원을 나타낸다 Valentin Bruttel, Alex Washburne, Antonius VanDongen doi: https://doi.org/10.1101/2022.10.18.512756 (BioRxiv/ 20221018) *아래는 논문 초록입니다 미래의 전염병을 예방하려면 SARS-CoV-2가 동물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었는지, 아니면 실험실 사고로 간접적으로 전파되었는지 파악해 것이 중요하다. SARS-COV-2의 게놈은 독특한 제한 엔도뉴클레아제 인식 부위의 독특한 패턴을 포함하고 있어 합성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게놈 특징을..

충격 보도! : 이게 백신으로 인한 혈전이라고?

이것이 백신으로 인한 혈전? *이 글은 시체를 방부처리하는 업에 종사하는 이들의 충격적 고발이다. 아래에 나오는 사진과 같은 물질이 시신의 혈관에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는 것인데, 그들은 특히 백신 접종이 확대된 이후로 주로 보게 된다고 증언한다. 이것이 백신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단언할 순 없지만 충분히 의심할 만하다. Embalmers Have Been Finding Numerous Long, Fibrous Clots That Lack Post-Mortem Characteristics By Enrico Trigoso September 2, 2022 방부업자들은 사망 후 특성이라 할 수 없는 수많은 긴 섬유성 혈전을 발견했다. 전국의 여러 방부업자들이 처리하는 시신 내부에서 크고 때로는 매우 긴 "..

CDC도 인정, 자연면역이 백신보다 우월!?

미국 사회를 파괴 한 후, CDC는 자연 면역이 COVID 예방 접종보다 더 잘 작동한다고 인정한다 After destroying American society, the CDC admits natural immunity works better than COVID jabs NATURAL NEWS/ Sunday, September 04, 2022 by: Lance D Johnson (https://www.naturalnews.com/2022-09-04-cdc-admits-natural-immunity-works-better-covid-jabs.html) 공중위생의 메시지를 무기화하고 사회의 구조 자체를 파괴해 온 지 2년 반이나 지난 후, 미국 질병관리센터(CDC)는 자연면역이 COVID 백신 접종보다 우수..

백신사망자(DEATHVAX), 얼마나 많을까

백신사망자(DEATHVAX), 얼마나 많을까 DEATHVAX란 코로나19 백신으로 인한 사망자를 말한다. 그런데 DEATHVAX가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를 훨씬 많다는 추정 보고가 있어 살펴본다. (*ワクチン接種による死亡、COVID-19による死亡のリスクの約11倍 :https://ameblo.jp/emerucom/entry-12758424597.html) 아래의 추정치에 따르면, DEATHVAX™의 사망이 코비드에 의한 사망의 10배나 된다고 한다. 캐나다의 경우 DEATHVAX™에 의한 사망이 237,411명인 반면, COVID에 의한 사망은 20,028명에 불과하다. 미국에서는 DEATHVAX™에 의한 사망이 1,931,919명인 반면, COVID에 의한 사망은 645,194명이었다. 이 데이..

COVID-19에 대한 종합적 이해 : 어느 일본의사의 견해

신형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COVID-19)에 대한 일본의사의 견해 松本有史(松本医院長) *https://matsumotoclinic.com/about-covid-19/ 원에서는 CIVID-19에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두고, 신형 코로나 판데믹이란 무엇이었는가? 백신은 정말 필요한가? 애프터 코로나의 세계를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까? 등등에 대해, 이번에 스스로 깊이 숙고한 바, 이하에 환자들로부터 자주 받는 질문에 대해서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신형 코로나 유전자 백신의 위험성」에 관련한 문서를 몇번씩 읽고는, 이 사회(=일반 대중)가 “상식”이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 현실과 어긋나 있는 “환상”에 지나치지 않는가 하는 것을 이해해 주시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당원에서는 여기서 말..

FLCCC의 코로나19 예방 및 치료 프로토콜

FLCCC의 코로나19 예방 및 치료 프로토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혹은 이버멕틴을 활용한 코로나19 예방 및 치료 포로토콜 예입니다. Front Line Covid-19 CriticaL Care Alliance가 제시한 프로토콜입니다. 참고하세요. 실제 복용 시에는 의사와 상의하라고 합니다. 특히 임산부 수유부의 경우 복용을 금하라고 한다. *원본 파일은 아래에ᆢ I-MASK+ PREVENTION & EARLY OUTPATIENT TREATMENT PROTOCOL FOR COVID-19 – FLCCC[英語](Ver.18-2021年12月) I-MASK+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COVID-19)の予防および早期の外来患者治療に関するプロトコル – FLCCC[일본어판]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코로나19의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코로나19의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약리적 메카니즘과 임상연구의 메타분석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및 클로로퀸, 이하 HCQ(CQ)로 표기)은 원래 말라리아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었으며 나중에는 다양한 자가면역 류마티스 및 피부병 관리에 사용된 퀴닌 유도체이다. 그런데 이 약물이 항감염 및 항염증 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COVID-19에 대한 잠재적 치료법으로 관심을 끌어 왔다. 실제 다수 국가의 임상 현장에서 투여되어 그 효과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이를 약물 재개발(Repositioning of drug) 차원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활용하려는 선의의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그만큼 임상현장에서 많은 의사들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고 실제 ..

구충제 '이버멕틴'은 코로나19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구충제 '이버멕틴'은 코로나19 치료제가 될 수 있을까? 구충제 '이버멕틴'은 '하이드록시클로로퀸'과 더불어 코로나19 치료제로 재개발(Repositioning of drug) 가능성 문제로 많은 논란이 전개되어 온 문제의 약물이다. 오늘도 많은 국가에서 치료제로 사용되는가 하면, 의료의 방향에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FDA나 WHO를 비롯 상당 수 선진국에서는 이버멕틴의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방역의 권위는 이를 부정하고 있지만, 적지 않은 국가와 지구인들에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 또한 현실이다. 효과가 있다면 값도 싸고 구하기도 쉬우니 이 보다 좋은게 어디 있을까. 그런데 이런 류의 약물 재개발(Repositioning of drug) 방식은 특허권이 보장되지 않아 ..

'이버멕틴'의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개발 시도와 그 의의(일본)

구충제 이버멕틴의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개발 시도(일본) 일본의 한 회사(興和株式会社)가, 구충제인 이버멕틴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며, 임상시험에서 그 유효성이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31일 이 회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감염증 치료에 대한 임상시험(개발코드 : K-237)에서 사용하는 시험약 '이버멕틴'에 대한 北里大学과의 공동연구(비임상시험)에서 기존 변이주(알파, 베타, 감마, 델타변이)와 마찬가지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도 동등한 항 바이러스 효과가 있다고 것을 확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 제약사는 2021년 7월, 이버멕틴을 개발하여, 노벨 생리학상을 수상자했던 大村智 명예교수(北里大学)로부터 이버멕틴의 임상시험 실시에 대한 의뢰를 받아, 그 유효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