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8

‘면역과 침뜸’ 이야기 1 : 면역이란?

‘면역과 침뜸’ 이야기 1 : 면역이란? *침뜸요법이 우리 몸이 가지고 있는 면역기능을 활성화하여 병증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은 이미 앞의 다른 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침뜸자극과 면역반응 참조). 여기서는 '침 끝에서 무엇을 느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제기하면서.. 그것을 풀어가는 실마리의 하나로 면역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몇차례에 걸쳐 정리하고자 한다. 이해하기 쉽지 않을 수도 있지만, '침구 과학화'의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것이라 여겨지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인체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이물질에 반응하여 스스로를 방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른바 ‘면역체계’(Immune system)라 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인간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구축되고..

장점막조직 및 장내미생물과 면역, 그리고 침뜸 함의

장점막조직 및 장내미생물과 면역, 그리고 침뜸 함의  우리 몸에는 호흡기, 생식기, 소화기 등 주요기관이 점막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조직들은 인체 내부의 장기들이지만, 외부환경과 직접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원체에 늘상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조직이다. 호흡을 통해 유입되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거나, 또 음식물 섭취를 통해 외부항원이 유입되는 경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점막조직은 이들 외부침입자를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면역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면역시스템은 외부항원을 방어하는 역할도 하지만, 무해한 항원에 대한 불필요한 면역반응을 억제하기도 한다(이를 ‘면역관용’이라 한다). 이들 점막조직 가운데 특히 장 점막조직에 가장 많은 미생물이 존재한다(전체의 약 95..

자율신경과 면역반응

자율신경과 면역반응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자율신경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교감신경은 면역을 억제하고 부교감신경은 면역을 올려주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 교감신경은 주간에 주로 활성화되며 자극시 그 신경말단에서 아드레날린(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호르몬)이 방출되어 면역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야간(수면/휴식)에 주로 활성화되어 그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방출하여 면역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좀더 엄밀히 말하자면, 교감신경이 면역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은 맞지만, 부교감신경이 면역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아니고, 교감신경 억제에 따른 면역억제를 약화시켜 면역이 상승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한다.  교감신경에 의한 면역억제(..

침뜸과 통증치료에 대해서..

침뜸과 통증치료 침뜸 시술로 통증이 완화된 경험은 임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상처로 인한 통증은 물론 각종 관절부의 동통(어깨나 목부위 통증, 손목/발목의 통증, 무릎의 통증, 허리의 통증 등), 흉부의 통증, 위나 복부의 통증, 심지어는 두통에 이르기까지, 침뜸을 통한 통증 완화의 예는 허다히 많다. 뿐만 아니다. 암환자의 통증 완화에도 매우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통증 완화를 경험하는 병증은 인체에서 유발되는 거의 모든 통증에 해당되는데, 가만 보면 그 병변의 발생 요인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침뜸은 거의 모든 통증에 효과를 보이는 등, 보편적 치료효과를 보이는 특성이 있다. * * * 그렇다면 침뜸이 어떻게 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작용을 하는 것일까? 그에 앞서 통증이 어떻게 유..

침뜸은 왜 면역력을 높여주는가?(松本仁幸)

*이 글은 일본의 松本仁幸이라는 병원장이 쓴 칼럼인데, 침뜸 시술이 면역력 제고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잘 정리해 주고 있어 옮겨 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번역상의 잘못은 전적으로 역자의 몫입니다. * * * 침뜸은 왜 면역력을 높여주는가? (松本仁幸/의학박사, 일본 松本医院長 칼럼, 2014. 4. 10) 침뜸이 어떻게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을까? 고찰해 봅시다 여러분, 무엇 때문에 중국인들은 침이나 뜸을 하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까? 말할 필요도 없이 통증이 멈추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 통증이란 게 없다면 의학이라는 것도 필요치 않을 것입니다. 전에 제가 서술했듯이 중국 위(魏)나라 황제였던 조조(曹操)의 두통을 치료한 사람은 누구였을까요? 바로 외과의 원조이자 ‘오금희(五..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1) 신경-내분비계와 면역계  우리 몸은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병원균에 대한 자율적 면역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역시 항상성 유지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앞서 살펴본 신경-내분비계의 협력작용과 더불어 면역계 역시 이 신경계를 매개로 작동한다. 뇌 및 척수의 중추신경계로부터 뻗어 나오는 신경섬유를 통해 내분비계의 호르몬 분비가 조절되는데, 이 호르몬이 직접적으로 림프구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는 체성신경,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을 통해 생체 내에 분포되어 있는 림프조직에까지 분포하여 림프구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림프구는 내분비계의 호르몬이나 신경계의 신경펩티드에 대한 수용체를 지니고 있어 이를 통해 신경내분비계의 조절에 상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