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역(厥逆) 이야기 유래와 기본 관점 전체에 걸쳐 ' 厥逆'이라는 글자가 26회 나온다고 한다. 그 의미와 범위는 폭넓은데, 두 가지 표현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갑자기 실신하고 의식을 잃는 것이다. 예를 들어, 素问·大奇论>은 "맥박이 헐떡거리는 것과 같으니 이를 暴厥이라 한다. 이런 자는 남과 대화할 줄 모른다. '뿐만 아니라' '大厥' '煎厥' '尸厥' 등도 있다. 다른 하나는 손발이 찬 것이 주 증상인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素问·厥论>에, "寒厥은 찬(寒) 것인데 다섯 손가락에서 무릎까지 올라온다." '열궐'은 기역으로 궐이 된 것으로 12경 형증(形证)과 연관된다. 등.. 과 은 궐을 의 수족역냉이 궐이 된다는 관점을 계승하여, 구체적으로 상한 후기에 병세와 결합하여 발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