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 14

‘면역과 침뜸’ 이야기 1 : 면역이란?

‘면역과 침뜸’ 이야기 1 : 면역이란? *침뜸요법이 우리 몸이 가지고 있는 면역기능을 활성화하여 병증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은 이미 앞의 다른 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침뜸자극과 면역반응 참조). 여기서는 '침 끝에서 무엇을 느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제기하면서.. 그것을 풀어가는 실마리의 하나로 면역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몇차례에 걸쳐 정리하고자 한다. 이해하기 쉽지 않을 수도 있지만, '침구 과학화'의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것이라 여겨지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인체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이물질에 반응하여 스스로를 방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른바 ‘면역체계’(Immune system)라 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인간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구축되고..

자율신경과 면역반응

자율신경과 면역반응 인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자율신경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교감신경은 면역을 억제하고 부교감신경은 면역을 올려주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 교감신경은 주간에 주로 활성화되며 자극시 그 신경말단에서 아드레날린(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호르몬)이 방출되어 면역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야간(수면/휴식)에 주로 활성화되어 그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방출하여 면역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좀더 엄밀히 말하자면, 교감신경이 면역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은 맞지만, 부교감신경이 면역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아니고, 교감신경 억제에 따른 면역억제를 약화시켜 면역이 상승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한다.  교감신경에 의한 면역억제(..

침뜸과 통증치료에 대해서..

침뜸과 통증치료 침뜸 시술로 통증이 완화된 경험은 임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상처로 인한 통증은 물론 각종 관절부의 동통(어깨나 목부위 통증, 손목/발목의 통증, 무릎의 통증, 허리의 통증 등), 흉부의 통증, 위나 복부의 통증, 심지어는 두통에 이르기까지, 침뜸을 통한 통증 완화의 예는 허다히 많다. 뿐만 아니다. 암환자의 통증 완화에도 매우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통증 완화를 경험하는 병증은 인체에서 유발되는 거의 모든 통증에 해당되는데, 가만 보면 그 병변의 발생 요인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침뜸은 거의 모든 통증에 효과를 보이는 등, 보편적 치료효과를 보이는 특성이 있다. * * * 그렇다면 침뜸이 어떻게 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작용을 하는 것일까? 그에 앞서 통증이 어떻게 유..

침구사제도를 시행하라! -광화문1번가에..

침구사제도의 시행을 제언합니다. -. 고래로부터 전승되어 내려온 전통요법인 침뜸은 병을 고치는 치료법이기도 하지만, 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생활의료이기도 하다. 국민 다수가 침뜸을 질병의 치유법이자 생활의료로써 폭넓게 활용하여 그 삶의 질을 개선해 나가는데 침구사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침구사제도의 시행을 통해 침뜸서비스를 폭넓게 확대하게 되면, 국민건강의 보편적 증진과 사회적 의료비의 절감, 예방의료체계의 강화, 건강형평성 제고 및 안정적 의료시스템의 구축 등 엄청난 혁신적인 효과가 기대될 뿐 아니라, 청년일자리 창출과 침뜸의 세계화 등 추가적인 효과도 예상되기 때문이다. -. 침뜸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미 수도 없이 나와 있으며, WHO나 미NIH(국립보건원)가 침뜸의 효과..

침뜸은 왜 면역력을 높여주는가?(松本仁幸)

*이 글은 일본의 松本仁幸이라는 병원장이 쓴 칼럼인데, 침뜸 시술이 면역력 제고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잘 정리해 주고 있어 옮겨 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번역상의 잘못은 전적으로 역자의 몫입니다. * * * 침뜸은 왜 면역력을 높여주는가? (松本仁幸/의학박사, 일본 松本医院長 칼럼, 2014. 4. 10) 침뜸이 어떻게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을까? 고찰해 봅시다 여러분, 무엇 때문에 중국인들은 침이나 뜸을 하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까? 말할 필요도 없이 통증이 멈추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 통증이란 게 없다면 의학이라는 것도 필요치 않을 것입니다. 전에 제가 서술했듯이 중국 위(魏)나라 황제였던 조조(曹操)의 두통을 치료한 사람은 누구였을까요? 바로 외과의 원조이자 ‘오금희(五..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9

7.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 종합(요약)  이상의 검토를 통해, 인체의 항성성을 유지하는 조절기구라 할 수 있는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네트워크에서 침뜸자극이 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침뜸에 의한 인위적 자극은 기본적으로 신경계의 반사운동 메카니즘 속에서 인체의 항상성 유지 작용에 관여한다. 체성반사 및 자율신경반사를 매개로 근골격계나 장기와 같은 효과기의 반사운동을 통해 생리 조절작용을 한다  (2) 신경반사는 국소부의 축삭반사, 분절성반사, 전신성 비분절성반사 등으로 나타나는데, 침뜸자극은 이들 반사경로와 연계한 반응을 통해 인체의 생리 조절에 작용한다  (3) 침뜸자극은 신경반사과정에서 자율신경의 효과적 조절을 유도한다.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길항적 작용이 균형을 이룰 수 있..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8

6. 침뜸자극과 인체의 항상성  이처럼 신경계와 내분비계 및 면역계라는 3계통이 상호연관된 생체의 포괄적 반응계를 형성하여 인체의 항상성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 내분비세포, 면역담당세포가 호르몬, 신경펩티드, 사이토카인 등을 생성 분비하여 상호 연계하여 정보전달하며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침뜸자극은 이 생체의 포괄적 반응계를 활성화하여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서두에서 ‘침뜸치료는 생체에 인위적으로 미세한 조직손상이나 열자극을 가하여 생체의 기능이나 병태를 변화시키는 치료방법’이라고 했던 출발점이 갖는 내포적 의미를 명확히 재확인할 수 있다. 즉 침뜸자극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생체의 항상성유지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