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 14

5. 자율신경과 침뜸의 면역조절 작용/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7

5. 자율신경과 침뜸의 면역조절 작용  1) 자율신경과 면역조절  자율신경은 혈관을 매개로 림프조직의 미소순환을 조절하는 한편, 신경섬유의 일부는 림프구에까지 연장, T림프구 및 B림프구에 작용하기 때문에 면역계의 활동 역시 자율신경을 매개로 활성화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신경계에서 유래하는 엔돌핀, 물질P, 사이토카인 등이 NK세포의 증가, 킬러세포의 활성화, 호중구나 마크로파지 등의 활성화는 물론 T세포, B세포 등의 활동성 증가에 작용하며 또한 이들 물질은 침뜸자극으로 그 생성이 촉진된다고 한다.     그림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과 림프구 및 과립구       백혈구의 활동 역시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적절한 방어활동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교감신경의 작용(활성)은 ..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1) 신경-내분비계와 면역계  우리 몸은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병원균에 대한 자율적 면역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역시 항상성 유지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앞서 살펴본 신경-내분비계의 협력작용과 더불어 면역계 역시 이 신경계를 매개로 작동한다. 뇌 및 척수의 중추신경계로부터 뻗어 나오는 신경섬유를 통해 내분비계의 호르몬 분비가 조절되는데, 이 호르몬이 직접적으로 림프구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는 체성신경,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을 통해 생체 내에 분포되어 있는 림프조직에까지 분포하여 림프구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림프구는 내분비계의 호르몬이나 신경계의 신경펩티드에 대한 수용체를 지니고 있어 이를 통해 신경내분비계의 조절에 상응한 ..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2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1) 인체의 항상성 유지와 불균형  인체의 생명/생리활동은 항상성 유지를 기본으로 한다. 항상성이란 인체 내외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인체의 생리적 상태를 안정적으로 또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특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체온이 올라가면 땀을 흘려 체온을 떨어뜨리고 반대로 체온이 떨어지면 몸을 움츠려 체온을 잃지 않으려는 행동을 하게 된다. 또 혈압이 높아지면 혈관을 확장하여 다시 정상혈압으로 되돌리는가 하면, 반대로 혈압이 낮아지면 혈관을 축소시키는 생리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외에도 혈중 산성도라든가 혈당, 체내 수분 및 이온 농도, 혈액의 산소포화도 등과 관련한 인체의 생리반응도 이러한 항상성 유지라는 차원에서 유사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인체 생리를 항상성 유지라는 관..

ㅡ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1

*침뜸이 갖는 치료효과에 대한 시론적 정리글입니다. 신경계-내분비계-면역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체의 항상성 유지라는 관점에서 침뜸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으나, 여전히 불충분한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추후 보다 정치한 접근을 기대하며 글이 제법 길어 나누어서 올려봅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에 대한 많은 지적 바랍니다. ㅡ 목 차 ㅡ 침뜸 시술의 치료효과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임휘철)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1) 인체의 항상성 유지와 불균형 2) 항상성 유지와 침뜸시술의 치료효과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 1) 통각과 신경반사운동  (1) 신경반사와 통각  (2) 체성-운동반사와 자율신경반사 2) 신경반사와 침뜸의 효과  (1) 신경반사와 통증억제 - 내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