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
1) 통각과 신경반사운동
(1) 신경반사와 통각
침뜸의 인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와 관련, 가장 먼저 주목할 점은 침뜸자극과 신경계의 연관 문제일 것이다. 침뜸자극은 신체 곳곳에 분포하는 신경조직을 자극하게 되는데, 이 자극이 신경을 거쳐 신체의 각종 효과기의 작용이나 운동을 일으켜 생체활동을 활성화하게 되고 그 결과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나아가 이렇게 항상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통증을 완화시키는가 하면, 병변을 제거하거나 방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신경을 매개로 한 자극과 반사, 즉 신경반사이다. 신경반사란 신체에 자극이 가해지면 말초신경에서 흥분반응이 나타나게 되고, 이 반응이 신경섬유(구심성)를 거쳐 척수로 전달되고 다시 척수의 신경상행로를 거쳐 뇌에 이르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반사중추를 통해 반사작용이 효과기로 전달되어 자극에 대응한 신체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 신경반사의 메카니즘은 크게 나눠 보면, 자극을 수용하는 과정, 자극에 대한 중추의 반사, 그리고 이 반사가 효과기로 전달되는 과정 및 그에 상응한 반응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자극과 그 수용과정을 보자. 자극은 신체 외적인 자극과 내적인 자극이 있다. 외적 자극은 인체의 오감에 상응하는 것으로 후각, 시각, 미각, 청각, 촉각 등을 말한다. 내적인 자극으로는 내장이나 근, 건, 골, 관절 등의 이상에서 오는 자극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가운데 먼저 주목해 보려는 것은 이들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통증이다.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을 생각해 봄으로써 간접적으로 신경계와 연관된 침뜸의 효과기전에 대해 생각해 보려는 것이다.
통증*2)을 수반하는 자극에 대한 신경계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이 가해지면 말초신경 말단의 (자극)수용기*3)가 흥분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이때 발통물질이 생성되어 통각을 느끼게 된다.*4) 또한 통각은 자극과 반사에 따른 교감신경 흥분으로 한층 커지게 된다. 뇌척수의 반사에 의해 교감신경이 흥분되면 동통부위를 중심으로 반사성 혈관긴축 및 조직허혈이 유발되고 또한 이로 인해 산소부족에 따른 조직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그로 인해 발통물질이 추가적으로 유리되고 동통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를 “통증의 악순환” 기제라고 한다.
*2) 통증은 발생원에 따라 침해성 동통(체성통), 신경성 동통(신경의 장해로 인한) 그리고 심인성 동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침해성 동통은 외부자극(침해자극)에 의한 조직손상으로부터 오는 통증을, 신경인성 동통은 말초 및 중추신경계의 손상이나 가능장해로 발생하는 통증을 그리고 심인성 동통은 질환이 없으면서 통증이 존재하거나 질환이 있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통증을 말한다.
*3) 통각에 반응하는 수용기(통각수용기)는 기계적수용기와 폴리모탈수용기로 구분된다. 기계적수용기는 예리하고 빠른 통증으로 나타나며(1차통), 폴리모탈수용기는 느리고 둔한 통증(2차통)으로 나타나며, 전자는 피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후자는 피부, 근관절, 내장 등 신체 전반에 분포한다. 피부에 존재하는 기계적 수용기는 다양하다. 대체로 마이스너소체와 모포수용기는 촉각(수용기)을, 메르켈반과 루피니종말은 압각(수용기)을 그리고 패치니소체는 진동(수용기)에 대한 수용기로 분류된다.
*4) 주요한 발통물질로는 브라디키닌, 세로토닌, K+, H+와 프로스타그란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가운데 프로스타그란딘은 그 자체로 통각작용을 하는 것은 아니고 브라디키닌 등의 통각작용을 증폭시키는 작용을 한다.
(2) 체성-운동반사와 자율신경반사
통각을 수반하는 침해자극은 구심성 신경섬유를 통해 척수 후근으로 들어가고(여기까지가 1차 구심성뉴런이다), 여기서 시냅스를 매개로 2차 구심성 뉴런으로 이어지고 교차하여 시상으로 상행한다. 그리고 시상에서 뉴런을 바꿔 타고 대뇌피질 감각구에 투사된다.*5)
여기서 흥분자극의 정보는 연수의 망양체, 시상, 시상하부, 대뇌변연계 등으로 보내지고 척수에서 대뇌에 이르는 자극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신경반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체성원심성신경, 자율신경 등을 통해 효과기에 반응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뇌척수를 매개로 한 자극-반사의 경로를 반사궁이라 하며, 반사과정은 크게 체성-운동반사와 자율신경반사로 분류할 수 있다.
*5) 구심성 신경의 상행경로는 자극의 유발위치나 자극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뉴런을 타고 상행하며 이들 뉴런간의 복잡한 연관도 존재한다고 하나, 여기서는 생략.
체성-운동반사는 근, 건, 관절 등의 움직임에 대한 반사이다. 자극이 가해지면 근육내 근방추의 흥분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반사중추를 거쳐 효과기(근육)에 작용을 불러오는 반사를 체성-운동반사(체성-체성반사)를 말한다. 과도하게 굴곡될 때는 신전시키고(굴곡반사), 과도하게 신전될 때는 굴곡시키고(신장반사), 또 침해성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지키기 위해 그 자극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한다(도피반사*6)).
*6) 신장반사는 단시냅스반사이고 굴곡 및 도피 반사는 다시냅스반사라고 한다.
자율신경반사란 외부적 자극 및 내장기관의 자극에 대한 대응반사를 말하는 것이다. 자율신경 반사는 자극을 받아들이는 수용기와 그 효과기가 무엇인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율신경은 장기와 혈관은 물론 피부의 샘, 내분비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분포하는 만큼 다양한 연관을 갖기 때문이다. 예컨대 내장-내장반사(내장에서의 자극과 내장으로의 반응), 내장-체표반사(내장에서의 병변이 체표의 관련통 또는 체표근의 수축으로 반응), 피부의 각종 조직(땀샘, 피지샘, 입모근, 말초혈관계 등)으로 반응하는 자율계반사, 체성-내장반사(체벽/척수 인접부의 자극에 척수 해당 신경의 지배를 받는 내장에 반사) 등 다양한 반사현상을 볼 수 있다.
내장-내장반사는 구심성섬유와 원심성섬유가 모두 자율신경에 속하는 반사로서, 심장, 소화기, 방광 등 여러 장부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반사이다. 경동맥동 등에서의 압력 변화에 의해 심박수가 변화하는 현상이나 배뇨, 배변 등과 관련된 반사가 여기에 해당한다.
내장-체표반사는 내장의 병변이 체표부로 나타나는 것으로, 병변은 내장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은 체표부에 관련통이나 체표근의 수축 등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즉 내장으로부터의 임펄스가 내장구심성신경을 거친 다음, 체성운동신경을 원심로로 골격근에 관련통이나 근 수축을 일으키는 반사이다. 충수염 등으로 인해 복벽에 자극이 가해지면 복근의 수축을 불러오는 근성방어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7)
*7) 이러한 현상은 요통의 원인 중의 하나가 되기도 하므로, 요통 접근에서 반드시 살펴야 할 요소이기도 하다.
자율계반사는 내장-체표반사에서 피부의 땀샘, 피지샘, 입모근 및 말초혈관계 등을 지배하는 자율신경계의 반사로 교감신경성 피부분절 영역에 나타나는 반사를 말한다. 예컨대 땀샘의 땀 분비, 입모근의 긴장 현상,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 피부혈관의 혈류 악화로 인한 피부냉증 등이 이에 해당한다.*8)
*8) 이러한 체표반응 역시 내장 병변이 체표로 드러나는 하나의 형태로 이해된다. 따라서 동의학적 진단의 중요한 측면이기도 할 것이다.
체성-내장반사는 체벽 자극이 척수로 전해져 해당 척수신경이 지배하는 내장에 반사작용이 나타나는 반사를 말한다. 이로 인해 내장에 나타는 반응은, 운동성(유동, 수축 등), 지각성(과민, 둔감 등), 분비성(항진, 억제 등), 대사성 및 혈관 운동성(소동맥의 확장, 수축 등) 등으로 나타난다. 이 반사는 체표에 자극을 가해 내장 기능에 작용을 가한다는 점에서 복모혈 및 배수혈 그리고 오수혈 등을 활용한 침뜸접근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는 시사점이 있는 만큼 향후 보다 세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계속)
ᆢᆢ
*이전글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2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1) 인체의 항상성 유지와 불균형 인체의 생명/생리활동은 항상성 유지를 기본으로 한다. 항상성이란 인체 내외의 여러 환경으로부터 인체의 생리적 상태를 안정적으로
hooclim.tistory.com
*다음글 2. 침뜸 자극과 신경반사 운동(2)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2)/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 4
2. 침뜸자극과 신경반사운동(계속) 2) 신경반사와 침뜸의 효과 (1) 신경반사와 통증억제 - 내인성 통증억제기구의 활성화 이러한 신경계의 반사운동에서 침뜸치료의 효과와 관련하여 1차적으로
hooclim.tistory.com
'동의학 이야기 > 침뜸의 과학적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자율신경과 침뜸의 면역조절 작용/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7 (0) | 2017.04.18 |
---|---|
4. 침뜸 자극과 면역반응/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6 (0) | 2017.04.14 |
3. 침뜸자극과 내분비계의 작용/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5 (0) | 2017.04.12 |
1. 인체의 항상성과 침뜸/ 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2 (0) | 2017.04.11 |
ㅡ침뜸 자극의 작용기전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1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