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술 기법과 기술 33

침구 안전대책 및 위생관리(일본)

침구 안전대책 가이드라인 2019(가칭)   *본 자료는 전일본침구학회>에서 제시한 "침구안전대책 가이드라인"이다. 안전이 최우선인 만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우리의 침구사정과 다른 면도 있지만, 안전 문제와 관련하여 매우 자세하게 다루고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전문을 올립니다.    - 公益社사단 법인 전일본침구학회 학술연구부 안전위원회(위원장菅原正秋)  목차머리말I. 안전대책에 관한 용어의 정의와 분류  관련 용어의 정의  부작용의 분류II. 안전대책의 일반적인 요구사항과 주의사항  법령의 준수  리스크 관리  의료기록의 기록 · 개인정보 보호  금기 시술  금기의 경우  주의해야 할 경우  금기 부위  주의해야 할 부위  출장 시술 - 시술소 이외의 시술, 야외시술 · 재해 현장에서의 시..

신경을 노린 자침법과 그 의미

신경을 노린 자침법(일본의 傍神経刺를 중심으로) 신경을 자극하여 치료를 도모하는 신경자극 침구요법은, 특히 일본에서 오랜 역사를 갖는다. 가장 오래된 인물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활동했던 의사 출신의 침구인인 大久保適斎를 들 수 있다. 외과의사였던 그는 신경증에 대한 침치료를 경험한 후 현대의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침술을 연구하고 임상을 거쳐, 1892년 『鍼治新書』(治療篇・手術篇)라는 책을 내놓았다. 여기에서 그는 2寸이나 3寸의 침(5番鍼)을 사용하여 신경을 표적으로 자침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물론 전통적인 경락이론과는 달리 신경을 표적으로 하였지만, 일부 자침점은 유사하였다. ‘側頚部에서 頚動脈部에 자침하여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질환을 치료’하거나, ‘위경련이나 소화기계의 질환에 대해서는..

화타협척혈을 활용한 자침의 기술

화타협척혈 활용에서 자침의 기술  협척혈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다른 글에서 자세히 언급한 바 있다(앞의 화타협척혈의 과학적 음미 참조). 우리의 시각대로 모든 경맥이 척수신경 줄기를 매개로 그 라인을 형성하며 또 그를 매개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 있다고 본다면, 협척혈은 그들 경맥을 연계짓는 길목에 있는 만큼 침구 임상에서 그 활용도도 매우 높다. 경부, 흉부, 요부 및 둔부의 제반 국소부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뿐 아니라, 팔다리의 질환, 장부의 질환은 물론, 정신질환, 자율신경 조정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가능성이 폭 넓다.  여기서는 척주 중앙에서 좌우로 각각 0.5촌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협척혈 활용의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야기해 보려 한다.  임상에서 협척혈은 무엇보다 리스크관리가 용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