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술 기법과 기술 38

화침의 대상포진 치료 : 毫火针赞刺法

대상포진 후 흉터와 당김증상의 화침(火针) 치료 毫火针赞刺法为主治疗带状疱疹后瘢痕牵拉疼痛案 ● 张 敏 黄石玺▲ 中医药通报 2015年 6月 第 14卷 第 3期(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ournal) 1 병세 및 치료 사정 환자 조모(79·남)씨는 2014년 4월 25일 대상포진으로 남은 반흔과 통증·견인감 4년에 진료를 받으러 옴. 4년 전 왼쪽 상지 안쪽에 뚜렷하진 않지만 대상포진의 홍반, 구포진 및 통증으로 한 병원을 방문하여 "대상포진"으로 진단하고 정맥급약 치료 후(구체적인 것은 불명),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 왼쪽 상지가 오히려 붓고 피손면적이 확대되어 앞가슴, 왼쪽 옆구리 및 견갑부에 궤양 삼출 등의 증상이 수반되었다. 이후 여러 병원에 입원하여 종합적인 치료를 받았다...

난치성 안면마비의 화침(火针) 치료

张闻东의 난치성 안면마비의 화침치료에 대한 종합정리 张闻东运用火针治疗难治性面瘫经验总结 (http://www.zyytbzz.cn/zyytb/article/html/20200652) 摘要 장문동(张闻东) 교수는 난치성 안면마비의 병기를 气血亏虚,痰瘀阻络, 즉 正气亏虚,余邪未尽으로 보고, 그 병성은 虚实夹杂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치료는 정기를 바로 세우고 사기를 물리치는데, 温通을 법으로 하여 즉 扶助正气로 사기를 밖으로 몰아내고,温壮阳气로 通络活血을 도모한다. 화침치료는 '温通'에 중점을 두는데, 침을 불로 달궈 쓰므로 침과 뜸의 이중적인 이점을 집약해 준다. 침체를 가열하여 열을 끌어다 인체에 주입해 주면 온으로 양기를 돋우어 통경활락의 효과가 있으며, 인체 경혈에 뜨거운 침을 자입하여 경맥의 외문을 열..

화침(火针)의 발전 과정과 여드름 치료 연구

화침(火针)의 발전 괴정과 여드름 치료 연구 火针发展源流及治疗痤疮的研究进展(http://www.jylw.com/39/wz910239.htm) 1 화침의 기원 화침요법은 고대 구침 중의 “大针”으로, 화침요법의 역사는 선진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맹아, 발전, 성숙, 쇠퇴, 현대의 개량 및 발달단계를 거쳐 왔다. 1.1 화침의 명칭 화침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内经》에서는 “悴剌”、“燔针”라 지칭했고,《伤寒论》에서는 “烧针”,《千金要方》은 “火针”,《资生经》은 “白针”,촉나라 민간에서는 “煨针”이라 했고, 明대 이후 《针灸大成》、《针灸聚英》、《针灸集成》등에서는 모두 “火针”이라 불렀다. 1.2 화침의 치료범위 화침치료의 범위는 역사의 흐름에 따라 부단히 확대되어 왔다. 화침에 대한..

화침(火針)요법의 기원과 그 발전

화침요법의 기원과 그 발전 (火针疗法的发展源流) 黄昌锦1 黄应杰2 陈楚云2 1.广州市红十字会医院中医科,广东广州 510220; 2.广州市中医医院 《中国针灸》, 2013年第5期455-458,共4页 화침요법(火针疗法)의 발전원류, 즉 화침요법의 태동과 그 발전단계를 선진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역대 침구 관련 문헌으로부터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그 발전단계는 이미 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성숙단계는 금원대로 침구, 조작 및 적응증, 금기증 등을 명확히하였다. 그와 함께 화침요법의 현대적 발전상을 설명한다. 화침요법은 선진시대에 시작하여 당송시대를 거치면서 체계화되었고, 금원에서 명청시대를 거치며 더욱 발전하였으며, 근현대에 와서는 화침요법의 발달이 새로운 전성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필자는 화침요법의 발전 과정을..

침구경험방(허임)의 중완침[펌]

鍼中脘穴手法 연구 “方書에서 中脘穴은 鍼을 八分 깊이로 찌르라고 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바깥피부[外皮]와 안의 복막[內胞]은 각각 얕고 깊음이 있으니 마음을 다잡고 조심하여야 한다. 피부에 침을 넣을 때 처음 견고한 곳에서는 서서히 침을 넣다가 피부를 지나고 나면 침 끝이 빈 공간에 빠진 듯하다. 內胞에 이르면 갑자기 단단하게 느껴지는데 환자 역시 약간 움찔한다. 그런 뒤에 침을 멈추고 열 번 숨을 내쉴 동안 머물렀다가 천천히 침을 빼낸다.”((許任)에서..) 許任의 중완혈 자침기법(鍼中脘穴手法)에 대한 연구논문을 소개합니다.    鍼中脘穴手法 연구  오준호⋅안상우(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경락경혈학회지 Vol.27, No.2, pp.35∼47, 2010  Ⅰ. 서 론  은 조선의 鍼灸醫家인 許任..

침구 안전대책 및 위생관리(일본)

침구 안전대책 가이드라인 2019(가칭)   *본 자료는 전일본침구학회>에서 제시한 "침구안전대책 가이드라인"이다. 안전이 최우선인 만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우리의 침구사정과 다른 면도 있지만, 안전 문제와 관련하여 매우 자세하게 다루고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전문을 올립니다.    - 公益社사단 법인 전일본침구학회 학술연구부 안전위원회(위원장菅原正秋)  목차머리말I. 안전대책에 관한 용어의 정의와 분류  관련 용어의 정의  부작용의 분류II. 안전대책의 일반적인 요구사항과 주의사항  법령의 준수  리스크 관리  의료기록의 기록 · 개인정보 보호  금기 시술  금기의 경우  주의해야 할 경우  금기 부위  주의해야 할 부위  출장 시술 - 시술소 이외의 시술, 야외시술 · 재해 현장에서의 시..

신경을 노린 자침법과 그 의미

신경을 노린 자침법(일본의 傍神経刺를 중심으로) 신경을 자극하여 치료를 도모하는 신경자극 침구요법은, 특히 일본에서 오랜 역사를 갖는다. 가장 오래된 인물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활동했던 의사 출신의 침구인인 大久保適斎를 들 수 있다. 외과의사였던 그는 신경증에 대한 침치료를 경험한 후 현대의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침술을 연구하고 임상을 거쳐, 1892년 『鍼治新書』(治療篇・手術篇)라는 책을 내놓았다. 여기에서 그는 2寸이나 3寸의 침(5番鍼)을 사용하여 신경을 표적으로 자침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물론 전통적인 경락이론과는 달리 신경을 표적으로 하였지만, 일부 자침점은 유사하였다. ‘側頚部에서 頚動脈部에 자침하여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질환을 치료’하거나, ‘위경련이나 소화기계의 질환에 대해서는..

화타협척혈을 활용한 자침의 기술

화타협척혈 활용에서 자침의 기술  협척혈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다른 글에서 자세히 언급한 바 있다(앞의 화타협척혈의 과학적 음미 참조). 우리의 시각대로 모든 경맥이 척수신경 줄기를 매개로 그 라인을 형성하며 또 그를 매개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 있다고 본다면, 협척혈은 그들 경맥을 연계짓는 길목에 있는 만큼 침구 임상에서 그 활용도도 매우 높다. 경부, 흉부, 요부 및 둔부의 제반 국소부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뿐 아니라, 팔다리의 질환, 장부의 질환은 물론, 정신질환, 자율신경 조정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가능성이 폭 넓다.  여기서는 척주 중앙에서 좌우로 각각 0.5촌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협척혈 활용의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야기해 보려 한다.  임상에서 협척혈은 무엇보다 리스크관리가 용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