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술 기법과 기술

뺨침요법 : 세상에서 가장 간단한 침술 3

지운이 2025. 3. 11. 00:45

뺨침()요법과 그 의의(중국의 신침술)

 

뺨침()의 출현

 

새로운 침법은 대부분 우연한 기회를 통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뺨침요법 역시 마찬가지였다. 1991년 7월, 중국인 王永洲라는 의사(프랑스로 이주)가, 한 치통 환자를 치료하던 중 호침으로 건강한 쪽 뺨의 협거혈에 자침했더니 환자의 치통이 사라지면서 며칠 동안 괴롭혔던 다리 통증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는 경험에서 출발한다. 이 우연한 발견은 그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그는 의도적으로 세 명의 다리 통증 환자를 치료하는데 이 협거혈을 사용하여 모두에게서 다양한 효과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인 침술이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는 의문을 안고 뺨의 혈자리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많은 임상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며 경험을 축적하고, 이론적으로도 연구를 심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뺨침요법의 이론적 근거도 구축된다. 그는 생체 홀로그램 이론(全息論)의 관점에서, 만여 차례의 임상 관찰을 거쳐, 마침내 뺨 부분(面部)의 혈위 분포 규칙과 인체 전신과의 상관성, 즉 사람의 뺨 부분에 인체 전체를 아우르는 홀로그램 축소판의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기반으로 뺨 부분에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인체를 대위하여 전신의 병증에 활용 가능한 뺨에 특별한 혈자리를 정의하게 된다. 

 

뺨침요법의 주요 혈자리와 해부 특성

 

뺨침요법에서 활용되는 주요 혈자리는 아래 그림과 같다. 당초에는 모두 18혈이었는데, 근자에는 이 가운데 팔의 비(臂)와 다리의 고(股)가 제외되고 16개 혈자리로 정리되고 있다. 아래 그림은 당초의 18개 혈자리를 기준으로 표기한 것이다. 대체로 머리에서 체간으로 이어지는 두 ~ 삼초(상초, 중초, 하초) 그리고 경 ~ 배, 요, 저의 혈이 있고 견 ~ 주, 완, 수로 이어지는 팔 그리고 관~ 슬, 과, 족으로 이어지는 다리의 경혈로 정리할 수 있다. 

 

<뺨침요법의 주요 혈위>

 

주요 혈자리의 해부학적 특징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뺨침요법의 주요 혈위의 해부 특성>

 

 

혈자리의 주치증과 자침법

 

아울러 각 혈자리가 갖는 주치증은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있다. 

 

<혈위와 주치>

 

 

취혈의 원칙

1 동일 위치 상응 원칙/ 동일 혈위명에 일치시킴. 좌견 병변이라면 좌측 뺨의 견혈을 취혈

2 좌우 상응 원칙/ 동일 혈위명에 무자법으로 취혈. 좌측 편두통에는 우측 뺨의 두혈을 취혈

3 전후 상응 원칙/ 인체 해부에 근거하여 전후 대응 취혈. 요통이면 하초혈 취혈

4 교차 상응 원칙/ 홀로그램적 유사성 원리에 의거하여 취혈. 좌측 고관절염일 경우 우측 견혈을 취혈

5 상하 상응 원칙/ 홀로그램적 양극 상관 원리에 의거 취혈. 두통시 저혈을 취혈

6 상관 상응 원칙/ 해부학적 구조의 연속성 따라 취혈. 하지정맥류라면 고관절, 무릎, 발목을 취혈

7 효과 상응 원칙/ 1침 1혈, 1혈 자침, 다혈 등 효과를 척도 취혈

8 협력 상응 원칙/ 다른 침요법과 함께 사용, 제한을 두지 않음

 

자침법

 

-스테인레스 호침 28-30호, 0.5~2.0촌. 직자 0.2~0.5촌, 사자 0.5~1.0촌, 투자 0.5~1.5mm

  / 각 방법은 병증, 병변 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조정. 기본적으로는 직자

 *많이 사용되는 침은 0.16mm×20mm0.18mm×30mm의 2가지

 

-염전 위주의 자극, 1분 5~10회. 적절한 자극량의 득기 후 유침 5~10분. 환자에 따라 60분도 가능

  /무통을 위해 신속 자입을 선호. 그 증상 변화에 따라 침의 방향, 각도 등을 조절. 더불어 침 수도 조절. 효과 반응이 기준

 *주로 1~2개 혈위를 사용, 중등 정도의 강도로 5~10회 자극, 1회 자침 후 2분 간격으로 추가 자침

 *자침시 보사, 침감 등은 중시되지 않으며 염전 정도의 자극 방법이 활용됨

 *유침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리하는데, 유침 동안에 운동요법, 마사지 등으로 치료효과를 높여주며, 치료 효과를 관찰하며 침을 조절하거나(각도 깊이 등) 침 수를 조절하여 치료를 도모함. 이 때 다른 침법을 병행하기도 함

 

-발침 시 솜 압박으로 출혈 방지. 특히 눈 주위

 

*통증 진단의 포인트

 

뺨침요법에서는 진단과 치료를 위해 통증을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왕교수는 신체 통증을 정지성 통증, 운동성 통증, 압통으로 구분한다.

 

정지성 통증은 치통, 두통 등 정지 상태에서도 느낄 수 있는 통증이다. 운동성 통증은 정지상태에서는 통증이 없지만 운동할 때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견관절주위염 환자는 제한된 부위에 운동이 가해질 때 견딜 수 없는 통증을 느끼고, 테니스 엘보 환자는 물건을 잡거나 강제로 들어올릴 때 영향을 받는 부위에 통증을 느낀다. 압통은 환자의 통증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하는 통증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외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통증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목이 뻣뻣하면 풍지, 견정 등의 부위에서 압통점을 찾을 수 있다.

 

통증을 진단하려면 통증 부위를 식별해야 하는데, 이는 이후의 침술 지점의 선택과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정지성 통증과 운동성 통증은 식별하기가 비교적 쉽지만, 압통을 느끼려면 의사가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에 대한 지식을 충실히 이해하고, 아시혈점, 트리거점, 근육의 기점 및 부착점과 같은 이론을 결합하여, 전이통과 방사통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통증을 분석하고, 반복적으로 촉진하여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신체 통증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통증 범위, 가장 눈에 띄는 통증 지점, 통증의 원발처 등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임상례 소개 및 적응증

 

-포괄적인 보고로는, 신체 동통 환자 3000명 가운데 유효 2175명(72.5%), 장부의 통통혼자 300명 가운데 유효 189명(60.0%)로 보고하고 있다. 

 

<지체성 동통 환자 630례의 뺨침 치료 유효율>

 

<장부의 통증 환자 100례의 뺨침 치료 유효율>

 

이들 임상 결과로부터, 높은 치료효과와 더불어, 취혈의 간명함(빰 부분만 취혈), 신속한 통증 완화 효과, 간명한 논거 등에다가 안정성도 높다는 점이 강조된다. 

 

유효한 적응증으로는 앞의 표에서도 예시한 바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언급된다.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급성 및 만성 통증(어깨, 목, 허리, 다리 통증 등)과 신경계 관련 통증(두통, 대상포진 신경통, 뇌졸중 후 통증 등) 등 각종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적시하자면,  두통, 급성 및 만성 연부조직 손상, 목 경직, 테니스 엘보, 손목 터널 증후군, 요추 디스크 탈출, 무릎 반월판 제거 후 통증과 같은 홀로그램 질환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또한 불안, 우울증, 불면증, 안면 대상포진 등의 심인성 질환 등은 물론, 이명, 난청, 비염. 부비동염, 인후염, 만성 위염, 수술 후 통증, 메스꺼움 및 복부 팽창, 기타 위장 불편감, 과민성 대장증후군, 만성 전립선염, 월경통, 산후 치골 분리 및 복직근 분리로 인한 통증, 가슴 답답함, 극심한 불면증, 복통, 내장 통증 등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통증, 천식, 비염, 방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 요법과 관련된 통증 및 불편감 등에도 효과적이라고 지적하는 등 폭넓은 적용 범위를 내세운다. 

 

 

*임상 사진 예시

 

 

뺨침의 이론적 논거 문제

 

이미 살펴본 대로 뺨침요법은 뺨 부위에 인체의 축소판을 그려넣는 것으로 그 입론이 이루어진다. 앞의 그림에서와 같이 귀 앞 관자놀이 부근에 머리를 두고 귀 앞쪽으로 인체의 체간이 서고 이어 코 아래로 팔을 뻗고 아랫턱 승장혈 부근으로 발을 뻗친 소인체 모형을 모식해 넣는 식으로 성립된다. 그리고 해당 부위에 머리, 목, 체간, 팔과 손, 다리와 발을 특정하고 그 위에서 해당 혈자리를 잡는 식이다. 

 

 

이러한 입론은 전식론(全息論)적 생물의학에서 출발한다. 생물 홀로그램 이론은 모든 동식물은 홀로그램 배아(全息胚)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홀로그램 배아는 생물체에서 발육 단계에 있는 특화된 배아로 생물체에서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생물체에서 비교적 독립적인 어떤 부분이 홀로그램 배아가 되는데, 세포는 발육 정도가 가장 낮은 홀로그램 배아이다. 홀로그램 배아는 모두 새로운 개체를 향해 자주적으로 발육하는 능력을 가지며, 모두 전체 발육의 축소판으로 생물 전체의 정보를 포함한다. 생물체의 성장 과정은 이 홀로그램 배아가 전체를 향해 끊임없이 발현되는 과정이다. DNA의 반보존적 복제와 세포의 유사분열로 인해 다세포 유기체의 모든 체세포는 원래의 수정란(유성생식 과정) 또는 시작 세포(무성생식 과정)와 동일한 일련의 유전자를 갖는다. 홀로그램 배아의 미래 기관이 될 특정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했을 때, 미래에 동일한 이름을 갖게 될 부분과 생물학적 특성의 유사도가 비교적 높다. 이런 식으로 홀로그램 배아는 생물체 전체의 축소판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구조와 기능이 상대적으로 완전하고 주변 부분과 비교적 명확한 경계를 가진 비교적 독립적인 부분으로서의 홀로그램 배아를 상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홀로그램 배아는 모자이크형 발육(배아가 난할을 거치며 모자이크식으로 분화 발육)의 자율적 발달 단위로, 미래 또는 현재 전체에 해당하는 모든 기관과 부분을 포함한 미래의 기관 지도를 가지고 있다. 발육 과정에서 홀로그램 배아 간의 상호 제약(물론 이러한 제약도 유전자에 의해 제어됨)으로 인해 홀로그램 배아의 미래 기관 지도의 각각의 부위는 미래 전체에서 확연해질 부위와 동일하며, 후자는 전자로부터 발율된다.

 

뺨침이론은 이 생체 홀로그램 이론을 기초로 그 핵심적 혈자리 규칙을 구성한다. 인체의 비교적 독립적인 부분(머리, 손, 발, 귀, 혀, 코 등)이 어느 정도 전체 부분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생체 홀로그램 이론을 토대로 전신의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침술요법 이론적 근거를 구축하였다고 설명된다.

 

생물학적 진화 과정은 수생에서 육생으로, 단순에서 복잡한 것으로, 복사 대칭에서 양측 대칭으로 등등 이러한 기본 법칙의 제약으로 인해, 육생 환경의 복잡화, 다양화로 이어져 왔다. 그 결과 동물 및 인체의 머리는 점점 더 발달하고 감각기관은 점점 더 집중되어 신체의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왔다. 인체의 머리는 전체 정보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부위로, 홀로그램 의학 및 모든 의학의 연구에서 초점이 되어 왔다. 머리와 얼굴은 또한 두침, 이침, 안침, 비침, 안면침, 설침, 구강침과 같은 다양한 침법 연구에서 가장 풍부한 성과를 얻은 부위이다. 동시에 연구 성과도 다양해지는 있다. 두침만 하더라도 方氏, 焦氏, 氏, 朱氏 등 다양한 침법이 알려져 있다. 이침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유파를 형성하고 있으며, 귀갑정, 귀갑강, 귓불 등 2차적 홀로그램 수준으로 발전하였고, 혈자리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두침과 이침의 응용은 점점 더 광범위해지고 있으며 점차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두침혈과 이침혈은 각각 WHO에 의해 국제 표준화 계획의 혈자리 지도까지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상에서와 같이 뺨침요법은 생체 홀로그램 이론을 근거로 하여 다양한 임상을 거쳐오며 정립된 새로운 침술요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인체의 뺨에 인체 전신을 포괄하는 홀로그램을 투영시켜 놓은 경혈시스템을 설정하고 있다. 뺨침요법은 이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두침, 안면침, 수지침, 족침 등과 매우 유사한 이론적 근거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뺨침요법은 인체의 뺨과 그 주변에 전신의 홀로그램을 프로젝션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 실천자들에 의하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만여 건의 인체 임상과 실험을 거쳤으며, 앞서 예로 든 것처럼 630건 이상의 사지통증 환자와 100건 이상의 내장통증 환자의 임상관찰과 검증을 통해 효과가 빠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전신치료 효과가 있어 황인종뿐만 아니라 흑인과 백인에게도 효과적이며 의의가 크다고 한다. 나아가 즉각적인 통증 완화 효과가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혈자리의 취혈이 쉽고, 효과가 빠르며, 적응증도 광범위하다는 장점이 강조된다. 새로운 침술요법으로 임상에서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활용해 보는 것도 가치있는 작업일 것으로 사료된다.

 

물론 경락이론의 관점에서도 사고해 볼 수 있다. 뺨은 주로 수족 양명경과 수족 소양경이 통과하는 구역이라 할 수 있다. 동의학에서 양명은 多气多血의 경락으로, 뺨부위 경혈을 자극하면 기혈을 조절하고 끌어내어 전신으로 전달해 주고, 소양은 樞(중심축)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기의 승강출입을 조절하여 표리내외를 소통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뺨 부위를 전신의 기혈 조절을 도모하는 역할로 이해할 수 있다.

 

더불어 삼초론적 이해도 한몫한다. 삼초는 동의학에서 독특한 역할을 하는데, 원기의 운행을 통해 오장육부의 기능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삼초는 본래 기의 별사로, 삼기를 순환시켜 오장육부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삼초의 이러한 전체론적인 의미와 패턴을 대삼초(大三焦)라고도 한다. 요컨대 삼초는 내장의 기능과 고도로 융합되어 기의 출입승강, 섭취와 배출, 생명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빰침요법에서는 심신이론, 즉 "정신과 신체의 통일"을 원칙을 강조한다. 인간의 신체와 정신의 통일이라는 전체론적인 관점에서 정신과 신체의 동시 치료를 강조한다.

 

 

 

*참고

사체 해부를 통해 본 뺨침 혈위

사체를 통해 본 주요 혈위
신경 및 혈관의 분포와 주요 혈위
삼차신경과 주요 혈위

 

 

 

 

*참고자료

- 梁志軒醫師- 頰針療法是透過在面頰部取穴治療全身 ...

- 方晓丽 등, 颊针理论及其临床应用, 中国 自然 医学杂志 2OO7年 2月

 (79-21頰針理論及其臨床應用.pdf)

-王永洲颊针治疗躯体疼痛经验

- 疼痛治疗神奇新疗法—颊针[2023/03/27]

 (https://www.pyhospital.com.cn/show.php?id=3129)

-专病专技|康复科:颊针疗法——治疗颈肩腰腿痛

-疼痛视角丨杨璐:颊针在疼痛诊疗和围手术期管理中的应用

-杏林绝技:“扎脸”治全身

- 往脸扎几针,身上病痛就消失了?东莞颊针疗效有多快

-【案例解析】胃胀腹痛人焦虑 颊针疗法解病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