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술 기법과 기술

운동근침(動筋針)과 그 작용기전에 대하여

지운이 2025. 3. 17. 15:39

운동근침(動筋)과 그 작용기전에 대하여

 

운동근침 요법 개요(德成의 動筋)


"운동근침요법(動筋)"은 중국의 德成 박사가 처음 창안한 침술 요법 중 하나이다. ""은 "운동"을 의미하며, ""은 "경근"과 "근막"을 의미한다. 운동근침 요법은 자침 과정 중이나 유침한 상태로 환자가 의자의 지도 하에 국소적으로 운동을 하는 요법을 말한다. 동근침 요법은,  德成 박사가 30여 년의 침구 임상 경험을 쌓으며, 전통적인 침구 방법과 현대 근육 해부학, 근막이론 등의 이론을 결합하여 형성된 새로운 침구 요법으로 분류된다.

 

2022년에 인민위생출판사에서 출판한 <療法>이라는 책은 세계침사연맹 회장인 劉保延 교수로부터 "고전을 존중하되 고전에만 얽매이지 않고, 혁신하되 미혹되지 않았다"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이 책은 출간된 이후 업계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을 끌기도 하였다. 운동근침요법은 筋点, 筋针, 筋法 및 筋態 등의 4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운동근점은 운동근침요법에서 그에 고유한 취혈과 정확한 치료점을 찾는 방법을 말하는데, 통상 "3단계 1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단계/ 환자가 호소하는 가장 고통스러운 지점이나 위치를 지적한다

2단계/ 동적테스트인데, 의자가 관련된 움직임을 하도록 하여 연부조직의 손상의 원인근을 파악한다

3단계/ 촉진. 의자가 관련 근을 촉진하여 근 병변의 반응지점을 찾는다

이상 3단계는 운동근점을 결정하기 위한 완전한 프로세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3단계 1과정”이라고 한다

 

운동근침은 박사가 발명한 특허 침구로 호침과 달리 침체에 모서리와 나선이 있는 구조로 설계하고 있으며, 운동근법은 고유한 자침의 방법을 말하는데 체침의 리프팅(제한된 리프팅과 극한의 리프팅) 방법이 특징적이다. 이른바 동근태는 자침 후 체침의 동적 유침이다. 이 네 가지 측면은 운동근침요법의 네 가지 핵심 포인트이다.

 

운동근침요법은 주로 근 손상으로 인한 각종 통증과 위장관의 소화기 질환, 비뇨기 질환, 생식기 질환 등 연조직과 근막의 긴장으로 인한 많은 내장 질환에 사용되는데, 정확한 치료, 빠른 임상 효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로 재발되지 않는데 그 장점이 있다고 한다.

*운동근침 실물

 

운동근침의 논거에 대하여

 

이 침술의 기법은 환자의 신체 부위를 침과 함께 움직여 기의 흐름을 동적으로 자극한다는 데 초점이 두어진다. 동태적 유침의 운동방식에는 능동적 운동, 수동적 운동 및 부하 운동이 포함된다. 그 중 능동운동이 주된 운동이 되고, 수동운동을 보조운동으로 하며, 적정한 부하운동을 활용한다. 모든 운동은 환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내성에 맞추도록 한다. 그 작용 기전은 주로 침술과 운동을 통해 운동근점을 자극하여 관련 근막사슬을 이완시키고, 근막사슬의 전도효과를 통해 인체구조의 균형을 회복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운동근침의 고전적 논거

 

그 역사적 기원에 관하여 고전 문헌이나 고의들의 문헌에서 분명하게 언급된 바는 없지만,  气、運動针法、气针法 등과 같은 유사한 표현들을 볼 수 있다.

 

气라는 개념은 황제내경에서 몇 가지 논의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素问·至真要大论>에, "气,知其脏也"라고 하여, 내장의 허실성쇠를 기의 움직임을 통해 관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의 움직임이 신체의 병증을 표현해 준다는 것이다. <素问·調經论>에는 “ 气候时,近气不失,遠气乃来,是謂追之“라 하였다. 여기서 움직이는 기란 경락을 흐르는 기(氣)를 말하는데, 이는 경락기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명대 張景岳 《類經》 에서, “이것이 바로 음릉천인데, 5푼을 찔러 7 호흡 동안 유침하였다가 동기가 이르면 곧 발침한다”고 했다. 즉 가 침 아래로 이르면 침을 즉시 빼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带针運動(자침 한 채로 운동을 해줌)에 대한 가장 초기의 설명은, 고대의 "발몽침법(發蒙针法)"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추>  刺節真邪편에  "자침에는 다섯 단계가 있는데, 그 중 두 번째 단계를 이라 한다"고 했다. 소위 "발몽침법"이란 청궁혈에 자침하여 난청이나 이명을 치료할 때 "두 콧구멍을 단단히 빠르게 눌러" 기가 耳目에까지 올라가도록 해야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带针運動 에 대한 임상 보고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운동침법"이라 불렸다. 일반적으로 원위부에서 침술을 하거나 건강한 쪽에 침을 놓는 것과 함께 환측의 국소 운동을 결합했다. 예를 들어, 조구-승산 투자로 어깨 통증을 치료하거나, 후계로 낙침을 치료했다.

 

이후 동씨기혈은 자침과 동시에 환처를 활동시켜주는 것을 "针法"이라 했다. 동씨기혈을 이어온 楊维杰의 저작 <针灸經緯>(1975년)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董景昌은 침술 치료 시에 환측의 교차 경락에 巨刺를 하고, 원위 경혈 침술과 국소 마사지 또는 운동을 결합할 때 특히 통증성 질환에 효과적이며 종종 통증을 즉시 완화할 수 있다고 이해했다. 이후 “针刺運動療法” “運動针灸” 등이 잇따라 등장하게 되었다. 1978년 何广新 등은 "運動系统軟組織損傷的针刺 - 運動療法"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운동이 침술 진통에 상당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운동이 침술의 진통 효과를 강화하고 진통 효능을 개선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근래에 등장한 '두침운동요법'과 '안침대침운동' 역시 대침운동의 범주에 속한다. "두침운동요법"은 침치료와 운동치료를 합친 것으로 머리의 특정 부위에 침을 놓고, 동시에 환자에게 능동적 또는 수동적 운동을 하도록 하여 전신적 질환을 치료하는 미세침 치료법이다. "안침요법"은 유명한 침술 전문가인 彭静山 교수가 창안한 것으로, 눈 부위의 침술로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王鹏琴 교수는 안침대침 재활을 기반으로, 안침요법과 현대 재활치료를 결합하여 안침운동요법을 이용하여 재활훈련을 실시하는 "안침운동요법"을 제안했다. 대침운동과 연관 논의는 많지만, 지금까지 '留针'(동태적 유침)에 대한 보고나 문헌은 없었다.

 

동태적 유침(動留针)과 대침 운동(带针運動)의 차이점

 

동태적 유침과 대침 운동은 모두 유침 동안에 운동을 병행하지만, 둘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첫째, 대침 운동은 허리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손의 요통 지점에 자침하듯이 원위부 침술 지점이나 건강한 쪽에 침을 놓는 반면, 동태적 유침은 환처 국부를 위주로 자침하며 해당 치료 대상점, 즉 동근점을 선택한다. 이는 자침 층차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표층근막층에 있다. 둘째, 대침 운동은 일반적으로 불규칙하고 무작위적인 운동인 반면, 동태적 유침의 운동은 규칙적인 근육 수축 및 확장 운동이다. 마지막으로, 대침 운동은 일반적으로 끌어당기는 동작이 수반되지 않지만, 동태적 유침에서는 동태적 끌어당김을 필요로 한다. 즉, 운동의 마지막에 0.2초 동안 근육 끌어당김을 수행하는데, 이는 동태적 유침에 필요한 고유한 동작이다.(아래 표 참조)

 

 

 

동태적 유침과 동기침법의 차이

 

동태적 유침과 동기침법은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르다. 동기침술은 동씨침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침법이다. 동씨기혈은 홀로그램 대응 이론에 기초한다. 일반적으로 경혈은 환처에서 선택되지 않고 사지, 귀, 머리 및 얼굴에서 주로 선택된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건측의 경혈을 사용한다. 동태적 유침에서는 전통적인 경근이론과 현대 근근막 및 압통점 이론에 기초한다. 주로 환부를 위주로 자침하며 일반적으로 건측에 자침하지 않는다. 동기침술은 다양한 질병에 대해 평보평사의 조작 기법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는 반면, 동태적 유침에서는 보사 기법에 초점을 두지 않고 대침 리프팅과 같은 특수한 조작 기법을 사용하여 긴장된 근근막을 풀고 운동과 더불어 긴장을 해소해 준다. 양자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동태적 유침과 정태적 유침의 차이

 

동태적 유침과 정태적 유침은 모두 침술 치료의 "留针" 범주에 속하며, 유침을 통해 경락의 기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정태적 유침은 전통적인 유침 방법으로, 자침 후 20~30분 동안 침을 그대로 두고 환자는 조용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그 목적은 기를 기다리기 위해 침을 그대로 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동태적 유침은 침술 후 자침 동안에 환자가 일정한 규율의 운동을 하는데, 운동에는 능동 운동, 수동 운동, 부하 운동이 포함된다. 그 목적은 경락에서 기의 흐름을 동태적으로 자극하는 것이다. 동태적 유침은 전통적인 정태적 유침의 개념을 깨고 경락의 기를 빠르게 자극하여 질병 부위에 도달하고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동태적 유침 기법의 작용기전

 

동태적 유침 기법의 작용 메커니즘을 논의하기 전에 먼저 연조직의 구조와 부상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해부학적 관점에서 인체의 연조직은 피부 표면에서 뼈까지 4개의 층으로 나뉜다. 첫 번째 층은 피부이다. 두 번째 층은 지방 조직을 포함한 표층 근막이다. 세 번째 층은 인대 등을 포함한 심부 근막과 근육이다. 네 번째 층은 골막과 뼈이다. 4개의 조직층 모두 혈관과 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 표층 근막과 심층 근막은 각종 장기와 조직의 막 또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 근막 조직은 몸통과 내장 전체에 퍼져 있으며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감각을 전달할 수 있다. 외상, 과로 손상, 부적절한 자세 등으로 인한 연부조직 손상은 통증과 기능부전을 유발한다. 이는 주로 근막 사슬의 변화로 인해 근육이 짧아지고 두꺼워지고 딱딱해져서 뼈와 관절에 구조적 결함과 불균형을 유발한다. 따라서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통증 치료는 긴장된 근막을 이완하여 인체의 정상적인 구조를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동태적 유침 치료는 주로 동근점(치료대상)을 자극하여 국소 근막을 이완시킨 후 근막사슬 전도를 통해 이 이완효과를 운동으로 전달하여 심부근막, 골막, 심지어 내장근막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즉, 근막사슬 전도를 통해 인체 연조직과 내장구조의 균형을 회복시켜 준다.

 

운동근침 요법에 의한 조직구조 조정에 대해서는 아래의 개략도를 참고할 수 있다. 오랫동안 유침에 대한 논의가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 유침 여부나, 얼마나 오랫동안 유침하느냐가 효능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운동근침에서는, "동태적 유침"를 내세우며 정태적 유침이라는 전통적인 아이디어를 깨뜨렸다. 환자는 침과 함께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이는 기를 적극적으로 자극하는 과정이다. 임상 실습을 통해서도 이러한 동태적 유침 방법이 임상 효능을 크게 향상시켰음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연조직 손상으로 인한 다양한 통증 질환에 효과적이며 효과가 확실하고 명확하며 홍보 및 응용 가치도 충분하다고 강조한다.

 

*운동근침의 치료 모식도

 

 

동태적 유침의 작용 기전은 운동근침술이 표층 근막을 자극할 때 침이 근육을 통과하며 대침 운동이 일어나는데 이를 "동태적 유침"이라고 한다. 이는 침 자극량을 증가시킨 다음 이 자극을 근막 네트워크를 통해 표층 근막에서 심부 근막, 심지어 골막과 장부 근막까지 전달하여 전체 근막의 기계적 긴장을 조절하고 근막, 근육 및 뼈 구조의 균형을 촉진한다(아래 그림 참조). 이를 통해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의 목적을 달성한다.

 

 

*동태적 유침의 작용기전 모식도

 

 

 

동태적 유침 시에 운동 과정에서 자극이 전도되고, 인체의 근막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레벨의 근막으로 전달되어 환자의 근육과 근막의 긴장을 줄이고 관절과 근육과 같은 조직 구조의 재배치를 촉진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筋肉骨正"으로, 궁극적으로 통증을 완화하고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 효과를 얻게 된다.

 

동태적 유침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가장 강한 긴장을 갖는 스트레스 지점(근육 매듭 지점), 즉 높은 긴장 스트레스 지점인 동근점을 정확하게 찾아내야 한다. 동태적 유침과 국소 운동의 경합을 통해 침과 근육 사이의 상호 운동이 발생한다. 마찰과 분리의 작용력으로 인해 원래 스트레스 지점의 긴장이 풀리고 운동을 통해 이 힘이 인접한 연조직으로 전달되거나 더 나아가 전체 근육의 긴장이 풀리고 경락과 기를 자극하여 기혈 순환을 개선하고 전체 관절, 근육, 인대 및 기타 연조직의 구조적 변화가 정상으로 돌아간다.


다른 유침 방법과 비교했을 때, 동태적 유침 기법은 세 가지 주요 장점이 있다. 치료 효과가 빠르고 반복 가능하며, 완벽한 방출과 재발 가능성이 낮고, 깊은 전도와 포괄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지속적인 임상 관찰을 거치며 동태적 유침 기법은 그 적응증이 연조직 손상으로 인한 신체 여러 부위의 근육과 관절 통증에 국한되지 않고 복부, 골반 질환 등 여러 내장 질환에도 적응 가능하다고 한다. 이는 형의 조절에 그치지 않고 형과 기, 신의 입체적 조절까지를 포괄한다. 더불어 동태적 유침의 기법은 예상치 못한 치료 효과를 얻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지점은 동의학의 관점에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대 景岳 《類經》은, "형은 신의 체이고 신은 형의 용이다. 신이 없으면 형이 살 수 없고 형이 없으면 신이 살 수가 없다"라고 했다. 즉 형과 신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인체의 정상적인 생명 현상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또한 병리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며 질병의 발생과 발전에서 종종 서로에게 원인과 결과가 된다. 동태적 유침 기법은 신체 구조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와 신을 조절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요약하자면, 동태적 유침은 운동근침 요법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것은 특정한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독특한 요법으로 전통적인 치료 개념을 깨뜨리고 있다. 그것은 특정한 운동을 통해 경락의 기를 자극하고, 이 자극은 근막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전도되어, 인체 전체의 관절, 근육 및 기타 연조직 구조를 조정하고, 궁극적으로 형, 기, 신의 조화 효과를 달성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무엇보다 연조직 손상으로 인한 통증에 대해 확실하고 상당한 치료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많은 내장 질환에 대해서도 좋은 컨디셔닝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参考文献

* 陈德成 등, 动态留针理论依据作用机理硏究, 微创医学杂志 2023. 18권1

[1] 黄馨云, 李璟,顾促,等,留针时间初探[J].中国针 ,2019,39(4) 445-450.
[2] 陈德成. 动筋针疗法[M].北京:人民卫生出版社, 2020:112.
[3]陈德成,杨观虎,王富春,等 “动筋针法”的靶点治疗[]],中国针灸,2016,36(11):1177-1180. 

[4] 陈德成, 动筋针法与肌筋膜松解[J].长春中医药大 学学报,2018,34(5):902-904,1031.
[5] Chen DC, Yang GH, Chen XC, et al. Motion acupuncture for musculoskeletal pain; principles and methods[J]. European Journal of BioMedical Research, 2016, 2(2): 19-24.
[6] 齐丛会,刘山山,邢潇.等,针刺运动疗法临床应用发 展研究[J]. 河北中医药学报,2017,32(5):53-57. 

[7] 金芳芳,蔡永敏,李燕梅、“动气”含义考释[J].中国 中医基础医学杂志,2019.25(5):571-572,577

[8] 杨维杰 针灸经纬[M],台北:志远书局,1987:60.

[9] 何广新,曲延华针灸运动疗法与疼痛治疗[M].北 京:学苑出版社,2005:5,
[10]王朝阳,头针运动疗法[M].北京:科学技术文献出版 #1,2006.5-6.
[11]杨森,王鋼琴,罗妮妮,眼针运动疗法治疗中风后痉 李的疗效观察[J].辽宁中医杂志,2019,46(9): 1961-1963.
[12]邱雅昌,董氏奇穴实用手册[M].北京:人民卫生出版 #1,2012:63.
[13] Chen DC. Yang GH, Zhou KH Traditional theories and the development of Motion Acupuncture: A Historical perspective [J].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cupuncture (USA), 2015, 24(4):223-227. 

[14]陈德成. 针刺层次与针感的关系[J].中国针灸, 2017.37(11):1219-1222.
[15]陈德成“动筋针法”和靶点概述[J];中国针灸, 2016,36(9):941-944.
[16] Stecco C, Tienp C, Stecco A, et al, Fascia redefined; anatomical features and technical relevance in fascial flap surgery [J]. Surg Radiol Anat, 2013, 35(5):369-376.
[17] Lancerotto L., Stecco C, Macchi V, et al. Layers of the abdominal wall; anatomical investigation of subcutaneous
tissue and superficial fascia [J]. Surg Radiol Anat. 2011, 33(10) 835-842.
[18] Stecco C, Gagey O. Belloni A, et al. Anatomy of the deep fascia of the upper limb. Second part: study of innervation[J]. Morphologie,2007,91(292) : 38 - 43,
[19]原林. 筋膜学[M].北京:清华大学出版社,2011:58. 

[20]陈德成,杨观虎,王富春,等试论阿是穴,压痛点和激 痛点的关系[J].中国针灸,2017,37(2):212-214.
[21] 李继乾,邵文达,刘飞“动筋针法”治疗肩关节周围炎理 论及临床应用[J].亚太传统医药,2019,15(9):77-78. (收稿日期:2022-11-08 修回日期: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