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동의학 : 역사와 명의

세의〔世醫〕

지운이 2019. 1. 18. 08:20

세의〔世醫〕/역대 의학 인물

*의림촬요(醫林撮要/ 양예수) 중에ᆢ

 

의술을 업으로 삼아서, 대대로 계승한 사람들이다.

 

누호(樓護 중국 전한(前漢) 시기)

자(字)는 군경(君卿)이고 서한(西漢 전한(前漢)) 사람이다. 젊어서부터 아버지를 따라 의술을 배웠으며 오후가(五侯家)와 교류하면서 그들의 환심을 모두 샀다. 나중에는 경학(經學 유학(儒學))으로 경조령(京兆令)이 되었다.

 

서추부(徐秋夫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나라 시기)

남송(南宋) 서희(徐熙)의 아들로서, 관직이 사양령(射陽令)이 되었다. 의술이 특히 뛰어났으며, 일찍이 귀신의 허리에 침을 놓았다.

 

서도도(徐道度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나라 시기)

서추부(徐秋夫)의 맏아들로서, 의술로 인해 관직이 난릉태수(蘭陵太守)가 되었다.

 

서숙향(徐叔嚮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나라 시기)

서추부(徐秋夫)의 둘째 아들로서, 그 역시 의술에 정통하였다.

 

서건(徐謇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 시기, ?~504)

자(字)는 성백(成伯)이며, 서도도(徐道度)의 둘째 아들이다. 후위(後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단양(丹陽) 사람이다. 그 집안은 본래 동관(東筦)에 있었다. 의약(醫藥)을 잘 다루어서, 의술로 인해 관직이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이르렀으며, 동장군제주자사(東將軍齊州刺史)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정공(靖公)〔靖〕이다.

 

서천(徐踐 서건(徐謇)의 아들,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 시기)

자(字)는 경승(景升)이고, 건흥태수(建興太守)로 습작(襲爵 자손이 선조의 벼슬〔爵位〕를 세습함)되었는데, 그 역시 의술에 정통하였다.

 

서웅(徐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제(南齊) 시기)

덕의(德醫)인 서문백(徐文伯)의 아들이다. 아버지의 의술을 전해받았는데, 더욱 의술에 정통해졌다.

 

서지범(徐之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와 수(隋)나라 시기, ?~581)

유의(儒醫)인 서지재(徐之才)의 아우이다. 의술로 인해 관직이 태상시(太常寺)의 경(卿)이 되었다.

 

서민제(徐敏齊 중국 수(隋)나라 시기)

서지범(徐之範)의 아들이다. 의술을 공부하였으며, 의서를 박람(博覽)하여 재주가 많았는데, 수(隋)나라에서 서민제를 조산대부(朝散大夫)로 추증하였다.

 

저해(褚該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와 북주(北周) 시기)

자(字)는 효통(孝通)이며, 저징(褚澄)의 아우이다. 의술을 잘하였고 양(梁)나라에서 벼슬을 하다가 주(周)나라로 귀부(歸附)하였는데, 요승탄(姚僧坦)과 동시(同時)에 거기대장군(車騎大將軍)을 제수받았다. 그의 아들 저칙(褚則) 역시 가업을 이었다.

 

허지장(許智藏 중국 수(隋)나라 시기, 537~617?)

수(隋)나라의 고양(高陽) 사람이다. 어머니의 질병으로 인해 의서를 찾아 공부했는데, 양(梁)나라ㆍ진(陳)나라ㆍ수(隋)나라에서 두루 벼슬살이를 하면서 모두 원외산기시랑(員外散騎侍郞)을 지냈다. 수나라 양제(煬帝)가 즉위할 때에 벼슬에서 물러났는데, 나이 80세에 집에서 죽었다.

 

허징(許澄 중국 수(隋)나라 시기, 6세기)

허지장(許智藏) 집안의 사람〔宗人〕이다. 의술로써 요승탄(姚僧坦)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다. 상의동삼사(上儀同三司)에 임명되었다.

 

견권(甄權 중국 당(唐)나라 시기, 540~643?)

당(唐)나라 허주(許州)의 부구(扶溝) 사람이다. 어머니의 질병으로 의서〔方書〕를 연구 수집하여 드디어 고명한 의원이 되었다. 수(隋)나라에서 벼슬하여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가 되었지만 질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었다. 노주자사(魯州刺史)인 고적흠(庫狄欽)이 풍비(風痺)에 걸려 활을 당길 수 없었다. 공(公 견권)은 환자가 살받이터(과녁을 세워두는 흙더미)〔堋〕를 향해 화살을 당기도록 한 상태에서, 환자 어깨의 견우혈(肩髃穴) 한 곳에 곧바로 침을 놓았다. 견권이 말하기를, “이제 화살을 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니, 정말 그 말대로 되었다. 정관(貞觀) 연간(627~649) 중에 공(公 견권)이 이미 100세였는데 태종(太宗)이 그의 집에 행차하였다. 태종이 그의 음식 먹는 모습을 보고 그의 의술을 물은 다음에 조산대부(朝散大夫)로 발탁하고, 궤장과 의복을 하사하였다. 곧바로 죽으니, 나이는 103세였다. 《맥경(脉經)》ㆍ《침방(鍼方)》ㆍ《명당(明堂)》 등의 도(圖)를 찬술하였다.

 

견립언(甄立言 중국 당(唐)나라 시기)

견권(甄權)의 아우로서 태상승(太常丞)이 되었다. 《본초음의(本草音義)》 7권과 《고금녹험방(古今錄驗方)》 50권을 찬술하였다. ○어떤 도인(道人)이 심복통(心腹痛)으로 2년 동안 번만(煩滿)한 것을 치료할 때였다. 공(公 견립언)이 진찰하고 말하기를, “뱃속에 고(蠱)가 있는데, 머리카락을 잘못 먹어서 그리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웅황(雄黃) 1제(劑)를 먹도록 하니, 잠시 후에 손가락 만한 크기에 눈이 없는 뱀 한 마리를 토하였다. 태워보니 머리카락 냄새가 났으며, 병이 나았다.

 

강철(江嚞 중국 송(宋)나라 시기)

자(字)는 명원(明遠)이고, 송(宋)나라 무원(婺源) 사람이다. 의술로 집안이 15세(世)나 이름을 떨쳤다. 여기에 공(公 강철)은 유서(儒書 유교 경전)에도 능통했으며, 의술로 사람들 살리기에 힘썼다. 자기의 큰 거처를 시약실(施藥室)로 만들고 높은 층루(層樓 여러 층으로 된 누각)를 등운루(登雲樓)라고 편액(扁額)하니, 멀고 가까운 곳의 병자들이 떼를 지어 모였으며 강철의 처방을 1제(劑)만 먹으면 곧바로 쾌차하였다. 송나라 황제 이종(理宗)이 불러서 그에게 여러 차례 관직을 주었으나, 그가 원하지 않자 집 한 채를 하사하였다. 그의 아들 강세량(江世良)은 공검랑(供檢郞)이 되었으며, 그의 손자 강뢰(江靁)는 진사(進士)에 올랐다.

 

유한(劉翰 중국 송(宋)나라 시기, 919~990)

송(宋)나라 창주(滄州)의 임진(臨津) 사람이다. 대대로 의업을 익혔으며, 한림의관(翰林醫官)이 되었다. 《경용방서(經用方書)》 30권과 《논후(論候)》 10권을 저술하였다.

 

장확(張擴 중국 송(宋)나라 시기)

자(字)는 자충(子充)이며, 송(宋)나라 흡현(歙縣) 사람이다. 방안시(龐安時)〔龐時〕 및 왕박(王朴)의 맥법(脈)을 배웠고,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太素〕를 잘 알았다. 동생인 장휘(張揮)와 함께 《의설(醫說)》을 저술하였다.

 

장휘(張揮 중국 송(宋)나라 시기)

자(字)는 자발(子發)이며, 형인 장확(張擴)에게 의학을 배워서 치료술을 완벽하게 연구하였다. 의학으로 집안이 이름을 떨쳤는데 그 역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太素〕에 정통하였다.

 

서추(徐樞 중국 명(明)나라 시기)

자(字)는 숙공(叔拱)이며 국조(國朝 명(明)나라)의 남교(南橋) 사람이다. 그의 조상이 이인(異人)을 우연히 만나서 《편작신경경(扁鵲神鏡經)》을 배우게 되었는데, 공(公 서추)은 그 의술을 전수받았다. 황제의 부름을 받아 태의원(太醫院)의 원사(院使)가 되었다.

 

서표(徐彪 중국 명(明)나라 시기, 15세기)

자(字)는 문울(文蔚)이며, 서추(徐樞)의 아들이다. 그 역시 의술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관직은 어의원판사(御醫院判事)에 이르렀다.

 

정명조(程明助 중국 명(明)나라 시기)

자(字)는 양보(良輔)이며, 국조(國朝 명(明)나라)의 유의(儒醫)인 정명우(程明祐)의 아우이다. 대대로 신안(新安)의 암진(巖鎭)에 살았다. 어렸을 때 한질(寒疾)에 걸렸는데, 의원이 잘못해서 부자(附子)를 투약하는 바람에 거의 죽게 되었다. 결국 열병(熱病)이 되었는데 코는 불난 것처럼 붉어졌고 약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었다. 이에 뜻을 세워서 의학을 공부하였는데 옛날의 금방(禁方)들을 널리 구하였다. 당시 세상이 계속 태평하여서 일찍 결혼하고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따뜻하게 입고 다닌 까닭에 담화(痰火)와 음허(陰虛)의 병이 많아졌는데, 정명조는 하간(河間 유완소(劉完素))과 단계(丹溪 주진형(朱震亨))의 치료법을 표준으로 삼았다.

 

은구(殷榘 중국 명(明)나라 시기)

자(字)는 도경(度卿)이며 호(號)는 방산(方山)이다. 국조(國朝 명(明)나라)의 의진(儀眞) 사람으로 집안 대대로 의술로 이름이 났다. 헌기(軒岐)의 의서를 읽고 가만히 해석하고 암송하였으며 진맥하거나 약을 쓸 때는 핵심을 짚어 질병을 가라앉혔고, 기괴(奇怪)한 치료법을 좇지 않았다.

 

장무(蔣武 장무생(蔣武生), 중국 명(明)나라 시기, 1351~1424)

자(字)는 용문(用文)이며 국조(國朝 명(明)나라) 양주〔楊〕의 의진(儀眞) 사람이다. 대대로 가업(家業)이 유의(儒醫)였는데, 할아버지인 장맹뢰(蔣孟雷)는 양주(楊州)의 의학교수(醫學敎授)였고, 아버지인 장백옹(蔣伯雝)은 진사(進士)에 합격하였다. 공(公 장무)은 젊어서부터 총명해서 한 번 보기만 하면 외웠으며 경적(經籍) 공부에 힘을 쏟아 성인(聖人)의 깊은 가르침을 얻었다. 시문(詩文)에 능한 데다 의업(醫業)을 익혔으므로, 군현(郡縣)에서 번갈아 초빙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부모가 돌아가신 후 비로소 천거를 통해 태의원(太醫院)에 들어갔고 곧바로 태의원판사(太醫院判事)로 승진하였으며, 대원례(戴元禮)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사망한 다음에는 봉의대부 태의원사(奉議大夫太醫院使)로 추증되면서 특별히 공정(恭靖)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았고, 그의 맏아들인 장주선(蔣主善)은 등용되어 태의원판사가 되었다.

 

축중녕(祝仲寧 중국 명(明)나라 시기, 15세기)

호(號)는 귤천(橘泉)이고 사명(四明) 사람이다. 집안 대대로 의가(醫家)였는데, 공(公 축중녕)에 이르러 의술이 더욱 정밀해졌다. 영락(永樂) 연간(1403~1424) 초에 황제의 부름을 받았다. ○8살짜리 어린이가 효천(哮喘)으로 눕지도 못하면서 목구멍에서는 톱을 써는 소리가 나는 증상을 치료할 때였다. 화기(火氣)를 배출하고 기(氣)를 맑게 하는 약제를 사용하니 나았다. 어떤 사람이 어린이는 화기(火氣)가 없다고 하였다. 공은 말하기를, “사람은 늙은이도 있고 어린이도 있지만, 여러 기(氣)가 쌓이고 막히면서 폐(肺)의 화기(火氣)가 발생하는 것은 동일하다.”라고 하였다. 말〔馬〕에서 떨어져서 인사불성이 된 것을 치료할 때였다. 상처를 치료하고 부러진 것을 잇게 하는 약을 다른 의원들이 사용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공(公 축중녕)이 화기(火氣)를 가라앉혀 담(痰)을 줄이는 약을 주니 곧 나았다. 온몸 마디마디에 통증이 있고 가슴과 배가 부풀며, 눈은 감기고 사지에는 궐증〔厥〕이 생기며, 손톱〔爪甲〕은 청흑색(靑黑色)인 증상을 치료할 때였다. 의원들이 상한병(傷寒病)이라고 하여 치료했으나 7일 만에 혼수상태에 빠지면서 효과가 없었다. 공이 말하기를, “이것은 분노〔怒火〕로 인해 생긴 것이니, 분노와 담(痰)이 서로 싸우면서 생겼다.”라고 하였다. 사역산(四逆散)에 황금(黃芩)과 황련(黃連)을 첨가하여 주니, 삼초(三焦)의 화기를 배출하고 나았다.

 

고준(顧俊 중국 명(明)나라 시기)

자(字)는 시옹(時雍)이고, 국조(國朝 명(明)나라)의 장주(長洲) 사람이다. 집안 대대로 의업에 종사하였다. 고준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깊고 우애한다고 소문이 났다. 조상들의 의술만을 따르지는 않고, 한결같이 단계(丹溪 주진형(朱震亨))의 이론을 위주로 삼았다.

 

허국정(許國禎 중국 원(元)나라 시기, 13세기)

자(字)는 진지(進之)이며 집안 대대로 의업에 종사하였다. 황제의 부름을 받아 한해유수(翰海留守)가 되었으며 의약(醫藥)을 관장하였다.

 

공신(龔信 중국 명(明)나라 시기)

국조(國朝 명(明)나라) 사람이다. 《고금의감(古今醫鑑)》 8권을 찬술하였다.

 

공정현(龔廷賢 중국 명(明)나라 시기, 1522~1619)

공신(龔信)의 아들이고 호(號)는 운림산인(雲林山人)이다. 만력(萬曆) 연간 계미년(1583) 사람이다.〔萬曆癸未人.〕 《만병회춘(萬病回春)》 8권과 《종행선방(種杏仙方)》 등의 책을 찬술하였다.

 

[주-D001] 오후가(五侯家)와 교류하면서 :

언변이 좋았던 누호는 한(漢)나라 성제(成帝)의 외척인 왕담(王潭), 왕근(王根), 왕립(王立), 왕상(王商), 왕봉(王逢) 등 오후(五侯)와도 교류가 깊었다. 매일 아침마다 오후들의 집안〔五侯家〕에서는 누호에게 좋은 음식을 보내왔다.

[주-D002] 귀신의 …… 놓았다 :

《남사(南史)》 권32, 〈장소전(張邵傳)〉에 상세한 이야기가 나온다. 서추부가 사양령(射陽令)이 되었을 때, 그는 밤마다 귀신의 신음 소리를 들었다. 신음 소리가 아주 처참했으므로 서추부가 귀신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귀신이 답하기를 ‘살아서 허리 통증을 앓았는데, 귀신이 되어서도 이 통증을 참기 어려우니, 풀로 자신의 인형을 만들어 침을 놓아달라.’고 하였다. 그 말대로 서추부는 인형의 몸 네 군데에 뜸을 뜨고, 견정혈(肩井穴) 등 세 곳에 침을 놓은 후, 제사를 지내고 그 인형을 매장하였다. 다음날 어떤 사람이 와서 감사를 하고 홀연히 사라지니, 당시 사람들이 그 영통함에 감복했다고 한다.

[주-D003] 저칙(褚則) :

《주서(周書)》 권47, 〈열전(列傳)〉39 저해(褚該)에 의하면, 저해의 아들 이름은 저사칙(褚士則)이다.

[주-D004] 맥경(脉經)ㆍ침방(鍼方)ㆍ명당(明堂) 등의 도(圖) :

견권이 편찬한 이 책은 흔히 《명당인형도(明堂人形圖)》라고 불린다.

[주-D005] 방안시(龐安時) …… 배웠고 :

《흡현지(歙縣誌)》에 따르면, 장확은 먼저 방안시(龐安時)를 찾아서 배웠으며, 나중에 왕박(王朴)이 맥법(脈法)에 밝고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로 사람들의 귀천(貴賤)과 화복(禍福)을 안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서 《황제내경태소》를 완전히 습득했다고 한다.

[주-D006] 효천(哮喘) :

목구멍 안에서 가래가 끓으면서 숨이 찬 증상을 말한다. 효(哮)는 그르렁거리면서 가래가 끓는 소리가 나는 증상이고, 천(喘)은 숨이 차서 헐떡거리는 증상이다.

[주-D007] 사역산(四逆散) :

손발이 차가워지면서 기침을 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감초(甘草)ㆍ지실(枳實)ㆍ시호(柴胡) 등으로 구성된다.

[주-D008] 만력(萬曆) 연간 …… 사람이다 :

이 문장이 왜 본문에 들어있는지는 알 수 없다. 공정현과 관련된 주요한 연도가 아니어서이다. 공정현의 생몰 연대는 1522~1619년이며, 그의 주된 저서와 연도는 《종행선방(種杏仙方)》(1577), 《만병회춘(萬病回春)》(1587), 《복명안방외과신험전서(復明眼方外科神驗全書)》(1591), 《운림신구(雲林神彀)》(1591), 《노부금방(魯府禁方)》(1594), 《소아추나방맥전서(小兒推拿方脈全書)》(1604), 《수세보원(壽世保元)》(1615)이다. 따라서 본문의 ‘계미년(1583)’ 문장은 이해하기 어렵다.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이경록 (역) | 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