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귀감 (家藏龜鑑)
家藏龜鑑 / 李時珍(明) 著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丙申(1896) 1冊(76張) : 無界. 12行30-32字; 26.8 x 205 cm
본서는 중국 명조(明朝)의 이시진(李時珍, 1518-1593)이 저술한 유명한 약학서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수록되어 있는 「선가비전(仙家秘傳)」을 초략하여 전사(轉寫)한 불분권 1책(76장)의 필사본이다. 초사자가 누구이며 어느 시기에 초사하였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표지이면에 있는 ‘병신중춘하한지강등초(丙申仲春下澣芝崗謄抄)’라는 기록으로 볼 때 아마도 지강(芝崗)이라는 호를 가진 이가 건양(建陽) 1년(1896) 2월 하순에 등초(謄抄)한 것이 아닌가 한다.
�본초강목�은 명조의 이시진이 �신농본초경(神農本 草經)�등 중국 역대의 약학서에 수록된 내용을 선취하고 편집하여 1578년(만력 6)에 완성한 유명한 약학서이다. 모든 약에 대하여 정명(正名)으로 강(綱)을 삼고 석명(釋名)으로 목(目)을 붙였으므로 �본초강목�이라 하였으며, 도합 52권에 16부(部) 60종류이다. 수록된 약물은 1,892종인데 그 중 374종은 이시진이 증보한 것이다. 각종 약물은 석명에서는 명칭을 확정 하고 집해(集解)에서는 산지 ·형태 ·재배 ·채집방법 등을 기술하였으며 변의(辨疑)·정오(正誤)에서는 약 물 품종의 진위를 가리고 문헌기재상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수치에서는 약의 정제나 뜸을 뜨는 방법을 설명하였고 기미(氣味)·주치(主治)·발명에서는 약물의 특성 ·맛 ·기능 등을 분석하였으며, 부방(附方)에서는 고대의 의사나 민간에서 전해오는 치료법 1만여 종을 수집하여 수록하였다. 또한 약물도(藥物圖) 1,100여 폭을 첨부함으로써 16세기 이전 중국 약물학의 성과를 집대성하였으며, 광물학 ·화학 ·동물학 ·식물학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서의 표제는 ‘가장귀감기생비록(家藏龜鑑奇生秘錄)’이고 이제(裏題)는 ‘가장귀감선가비전(家藏龜鑑仙 家秘傳)’이며, 편제(篇題)는 ‘선가비전(仙家秘傳)’·‘본초강목선비약초(本草綱目仙秘略抄)’·‘선가비장본초비 요(仙家秘藏本草備要)’·‘선가비록별록후집(仙家秘錄別錄後集)’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서문이나 발문 등은 전혀 없으며 본문의 내용만 수록되어 있다.
권상에 해당하는 「본초강목선비약초(本草綱目仙秘略抄)」에는 황정(黃精)·희렴( 薟)·관중(貫衆)·원지 (遠志)·선모(仙茅)·선령비주(仙靈脾酒)·대두(大豆)·촉초(蜀椒)·연우(蓮藕)·백실(栢實)·송지(松脂)· 저실(楮實)·오가피(五加皮)·구기(枸杞)·복령(茯苓)·복신(茯神)·사초(莎草)·여로(藜蘆)·인동(忍冬)· 창포(菖蒲)·포황(蒲黃)·부평(浮萍)·호마(胡麻)·대마(大麻)·교맥(蕎麥)·호도(胡桃)·오수유(吳茱萸)·녹용(鹿茸)·대조(大棗)·해송자(海松子)·호초(胡椒)·오미자(五味子)·지황(地黃)·부자(付子)·백작약(白灼藥)·목향(木香)·보골지(補骨脂)·연출(蓮朮)·한수석(寒水石)·현정석(玄精石)·백행(白杏)·석유황(石硫黃)·천마환(天麻丸)·원지(遠志)·남과(南瓜)·식염(食鹽)·유황(硫黃)·백행(白杏)·감초(甘草)·황기 (黃芪)·인삼(人蔘)·녹행(綠杏)·사삼(沙蔘)·길경(桔梗)·황정(黃精)·적전(赤箭)·창출(蒼朮)·관중(貫 衆)·파극천(巴戟天)·원지(遠志)·진범(蓁芃)·전호(前胡)·방풍(防風)·독활(獨活)·당귀(當歸)·천궁(川芎)·사상자(蛇床子)·고목(古木)·백지(白芷)·백작약(白灼藥)·목단피(牧丹皮)·목향(木香)·익지인(益智 仁)·보골지(補骨脂)·연출(蓮朮)·삼릉(三䔖)·사초(莎草)·향부자(香付子)·형개(荊芥)·자소(紫蘇)·국화 (菊花)·야국(野菊)·충울자(茺蔚子, 익모초)·청상자(靑相子)·속단(續斷)·악실(惡實, 우방자)·창이자(蒼 耳子)·마황(麻黃)·목적(木賊)·등심(燈心)·지황(地黃)·우슬(牛膝)·자완(紫莞)·맥문동(麥門冬)·규(葵)· 발장(醱醬)·패장(敗醬)·관동화(款冬花)·결명(決明)·지부(地膚)·왕불묘(王不苗)·차전자(車前子) 등의 다 양한 약재가 수록되어 있다.
권하에 해당하는 「선가비전(仙家秘傳)」에는 남예(藍刈)·남전(藍澱)·청대마(靑代馬)·호장근(虎杖根)· 편축(萹蓄)·질려(蒺藜)·해금사(海金沙)·대황(大黃)·상륙(商陸)·낭독(狼毒)·대극(大戟)·감수(甘遂)· 속수자(續隨子)·여로(藜蘆)·부자(付子)·초오(草烏)·천남성(天南星)·반하(半夏)·사간(射干)·봉선자(鳳 仙子)·척촉화(躑躅花)·토사자(兎絲子)·오미자(五味子)·복분자(覆盆子)·사군자(使君子)·목별자(木別子)· 견우자(牽牛子)·선복화(蔙卜花)·과루(瓜蔞)·고부종(高敷種)·백부(百部)·위령선(葳靈仙)·천초(茜草)· 방이(防已)·조균(釣鈞)·석창포(石菖蒲)·호마(胡麻)·천문동(天門冬)·월계화(月季花)·견우자(牽牛子)· 하수오(何首烏)·토복령(土茯苓)·택사(澤瀉)·통초(通草)·골쇄보(骨碎補)·복분자(覆盆子)·초선(草藓) 등의 다양한 약재가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 해당하는 「선가비록별록후집」에는 감초(甘草)·황기(黃芪)·인삼(人蔘)·사삼(沙蔘)·육종용(肉蓯蓉)·천마(天麻)·출(朮)·파극천(巴戟天)·원지(遠志)·선모(仙茅)·현삼(玄蔘)·지유(地楡)·단삼(丹蔘) ·자초(紫草)·백급(白及)·삼칠(三七)·황련(黃連)·황금(黃芩)·진구(秦芃)·자호(柴胡)·고삼(苦蔘)·연호색(延胡索)·백모(白茅) 등의 다양한 약재가 수록되어 있다
본서는 다양한 약재들의 특성과 채집법 및 이들을 통한 치료법을 상세하게 수록하고 있어, 본초학은 물론 광물학 ·화학 ·동물학 ·식물학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박문열)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초비요략 (本草備要略) (0) | 2020.05.09 |
---|---|
본초방(本草方) (0) | 2020.05.09 |
태을자금단방 (太乙紫金丹方) (0) | 2020.05.09 |
금주불환방 (金珠不換方) (0) | 2020.05.09 |
구급방(救急方)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