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심성 망막병증 -
【개요】
중심성 망막병증은 흔한 안저질환 중 하나이다. 주로 황반부에 국한된 망막 조직의 부종, 삼출, 출혈 등의 염증성 변화로 인해 중심반사가 사라지고 부종처에 황백색 또는 회백색의 원형 삼출반점이 흔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환자의 시력의 급격한 저하, 시각적 개체의 변형, 더 작은 중심 암점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재발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병의 침 치료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고, 1960년대 초에 몇몇 사람들이 球后혈 전기침을 시도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1]. 1970년대 후반 이후 거의 20년 동안 주요 돌파구가 생겼다. 첫째, 몇 가지 효과적인 새로운 경혈의 발견으로 효과가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침, 이침, 경혈 주사, 자기경혈요법 등 다양한 요구에 맞게 적용되었다. 축적된 경험에서 침술은 이 질병의 주요 치료법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대조 시험을 통해 일부 사람들은 경혈 치료의 효과가 호르몬, 항생제, 혈관 확장제 및 에너지 혼합물을 사용한 종합 치료보다 훨씬 더 낫다는 것을 발견했다[2].
중추성 망막병증의 치료에서 침과 뜸의 작용 기전과 관련하여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더 개발되어야 한다. 최근 일부 사람들은 이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남성)를 대상으로 침술 전후의 성호르몬 변화를 관찰한 결과, 침술이 환자의 혈장 성호르몬 농도에 양성 조절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 조절 효과가 환자의 시력 회복에 대한 일부 고유 효과와 연관됨을 알 수 있게 되었다[3].
【치료】
A. 체침(1)
(1) 취혈
주혈 : 2개의 그룹/ (1) 신명(新明)Ⅰ, (2) 향양(向陽)Ⅰ, 향양Ⅱ.
배혈 : 신명II
신명Ⅰ 위치 : 예풍 전상방 0.5촌, 귓불 뒤 주름의 중간 지점.
향양 I의 위치 : 갑상선 연골의 상연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흉쇄유돌근의 안쪽의 교차점.
향양 II의 위치 : 설골의 수평선과 흉쇄유돌근 내측 경계의 교차점.
신명 II 위치 : 눈썹 끝에서 위로 1촌, 오목한 곳에서 바깥쪽으로 5분.
(2) 치료법
주혈 1개 그룹을 선택하고 한 번에 1개의 경혈만 취혈한다. 그 중 신명 I이 효과가 없을 때 신명 II를 추가할 수 있다.
신명Ⅰ 조작 : 침체와 피부가 60도 각도, 신체 세로축과 45도 각도로 침을 빠르게 삽입 하고 천천히 전상방으로 자입하여 하악골 과두상의 천면에 이르면 침감을 확인한 다음, 염전에 작은 제삽법을 결합하여 침감이 눈 부위에 닿는 느낌을 주고, 1분 동안 운침하고 발침한다.
신명 II : 침첨을 수평으로 삽입, 바늘 5~8푼 정도 자침, 위의 방법으로 침을 1분간 운침한 다음 발침하는 방법
향얌 Ⅰ : 앙와위에서 환자의 어깨를 들어올리고 머리를 뒤로 젖혀 목을 완전히 노출시킨다. 목에 자침하기 전에 왼손으로 경혈 부근의 경동맥 맥동부를 찾아 목의 연부조직을 눈가에 감각이 느껴질 때까지 가볍게 누른 후 바늘을 잡고 흉쇄유돌근의 위쪽 가장자리와 혈관 사이를 찔러 바늘을 뒤쪽, 안쪽, 위쪽 방향으로 45도 각도로 약 1.5~2촌 천천히 밀어넣고 침감이 느껴지면 침병을 돌려서 침이 눈가에 닿는 느낌이 들게 하고 가볍게 제삽하고 약간의 염전으로 침을 움직인 후 10분간 유침한다.
향양 II의 조작은 향양 I의 조작과 동일하다. 1일 1회, 10회 치료.
(3) 효능 평가
유효성 기준:
1. 회복 : 원거리 시력이 1.0 이상, 자각 증상이 사라지고 황반 부종이 가라앉음
2. 유효 : 시력 개선, 자각 증상 완화 또는 소실, 안저 병변 개선
3. 효과 없음 : 치료 전과 확연한 차이 변화가 없음
*총 1003건의 치료에서 총 유효율은 90.5-97.66%였다 [4,5] .
B. 기공침
(1) 침술
주혈 : 3개의 그룹으로 뉜다.
1、睛明、太阳、球后、承泣
2、翳明、新明Ⅰ、足三里、合谷
3、新明Ⅱ、印堂、曲池、行间、光明。
(2) 치료법
한 번에 한 그룹의 경혈을 선택하고 세 그룹을 교대로 선택한다. 환자는 앙와위를 취하고 혀 끝으로 윗 잇몸을 핥고 조용히 “静”、“松”이라는 두 글자를 암송하고 가볍게 눈을 감고 전신을 이완시키고 잡념을 없애고, 안으로 단전(丹田)을 보며 입에 침이 비교적 많이 고이면 세 번에 나누어 뱉고 삼키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10분 정도 유지한 다음 침술 치료를 개시한다. 자침시 의사는 기를 손가락 끝으로 운행하여 기를 침을 통해 혈자리로 안내하고 환자가 단전에서 침술 부위로 마음을 옮기도록 한다. 각 혈위마다 5~6분 동안 유침한다. 침을 시작한 후 환자에게 3번 심호흡을 하게 한 후 두번째 혈자리에 자침하면, 한 그룹의 자침이 마무리된다. 먼저 안면을 한 다음 사지로 가며, 일반적으로 6개 혈을 넘지 않도록 한다.
(3) 효능 평가
총 162건(233안) 치료에서, 163안이 기본적으로 회복되어 총 유효율이 98.5%[6]이다.
C. 체침(2)
(1) 취혈
주혈 : 睛明、承泣、球后。
配穴:合谷、太溪、太冲、光明。
(2) 치료법
주혈은 환측(양안이 다 병이면 양쪽)에서 취혈하고, 32호 1.5촌의 가는 호침을 피하로 빠르게 삽입하고, 안구와 안확 내벽 사이에 침을 약 1촌 정도 천천히 진침하고, 매우 느리게 염전(불가피하면 제삽)을 하여, 안구에 비교적 강열한 산창감을 확인한 다음 30분 유침한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2~3회 운침한다. 배혈은, 합곡 광명은 평보평사로, 태계는 보법, 태충은 사법을 쓴다. 격일 1회, 10회를 1치료과정으로 하며, 치료간격은 5~7일이다.
(3) 효능 평가
총 86례, 93안 중에서, 반 월~3개월 후 46안이 완치, 27안이 현저한 효과, 14안은 유효, 6안은 무효로, 총 유효율은 93.6%[7]였다.
'동의학 이야기 > 중국침구 처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舞蹈病의 침술 (0) | 2022.08.08 |
---|---|
震顫마비(파킨슨병).. 신경계25 (0) | 2017.08.04 |
가성구마비.. 신경계24 (0) | 2017.08.04 |
다발성신경병.. 신경계23 (0) | 2017.08.04 |
다발성경화증.. 신경계22 (0) | 201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