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러지성 비염과 침술..
Acupuncture Relief Of Nasal Allergies Confirmed
HealthCMi/ 2018. 4. 26
미국에서 침구온라인교육을 하는 사이트(HealthCMi)에.. 북경중의학연구소에 실시된 알러지비염 임상시험 연구에서.. 침구치료가 증상을 완화하는데 유효하였다는 결과가 소개되고 있다.
북경중의대 부속병원에서.. 알레르기비염 환자 2,602명을 대상으로 30건의 독립적인 임상 시험에 대한 메타 분석을 실시했다.[1] 연구진은 (Tang 외)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뜸, 약초 및 서양의학 등과 같은 다른 치료법과 함께 사용된 침술이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단기 및 장기에 임상적으로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한다. 알레르기비염 치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침점은 아래와 같다.
영향(LI20)
인당 (추가)
합곡(LI4)
족삼리(ST36)
상영향(비통혈, EX-HN8)
알레르기성 비염 (AR)은 IgE(면역글로블린 E) 매개된 염증을 유발하는 알레르겐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코 점막의 염증성 질환이다.[2] 미국에서는 약 4천 6백만명의 사람들이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통받고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콧물(옅고 1차적으로 깨끗한 비강 분비물), 재채기, 비강 가려움증, 코 막힘 등이 임상적 특징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중력 감소, 집중력 저하, 수면 장애 및 피로와도 관련이 있다. 이것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작업 생산성도 떨어 뜨린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경우 천식의 발병 위험도 높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를 위한 일반적인 약제로는 비강 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경구용 H1- 항히스타민제 및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LTRAs) 등이 있다.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약제는 종종 부작용을 일으키며 임신 기간, 어린이, 노인 및 특정 의학적 상태의 환자에게는 사용이 곤란하다.[5]
메타 분석의 세부적인 결과는 이러하다. 총 30개 연구 중 27 개가 영향혈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이 점은 해부학적으로 nasolabial groove에 있으며, ala nasi의 측면 경계선의 중간점에 위치한다. 이 경혈은 수양명대장경에 위치한다. 그것은 또한 위와 대장 경락의 교점이다. 이 지점에 자침하면 경락을 통해 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하고 비강 내 장애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 침점은 전통적으로 비강의 혼잡(nasal congestion), 코막힘(sniveling nose), 코피(nosebleed) 등에 주로 활용된다. 중국 전통의학의 원칙에 따르면 폐와 대장은 표-리의 관계(즉, 폐와 대장이 기능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음)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폐의 질병은 폐경락 또는 대장경락에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총 23 개의 연구에서 인당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혈은 두 눈썹의 사이 한 가운데 위치한다. 인당혈은 "혈을 열어 정신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즉 머리의 기와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킨다. 합곡혈을 사용한 연구는 총 17건이었다. 합곡은 대장경의 원혈이다. 이 점을 취하는 것은 양명경 상의 장애를 분산시키고 폐를 조절한다.
총 14개의 연구가 족삼리혈을 사용했다. 족삼리는 코 옆에서 시작하여 발로 흐르는 족양명위경의 합혈이다. 위경락은 영향(LI20)의 코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정명(BL1)과 교차하는 코의 루트를 따라 올라간다. 족삼리는 기와 혈의 순환을 활성화시키고 경락에 영향을 미치는 국지적 장애물을 제거해 준다. 침은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과 관련된 내부 장기를 강화하기 위해 위, 장 및 폐를 조절해 준다. 총 11개의 연구에서 상영향혈(일명 비통혈)을 사용했다. 이 지점을 지키면 국소의 기혈 순환이 촉진되고 비강의 막힘이 해소된다. 이 경혈은 코의 nasolabial groove 상단 부근에 위치하며, maxilla와 the nasal cavity의 결합부이다.
연구자들은 침술이 다른 한약 치료와 병행하거나 또 약물과 병용한 단독 요법으로 장기 및 단기 요법 모두에서 효과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다른 독립적인 연구에서도 침술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계절성 알레르기 및 보완 의학을 주제로 다룬 국립보건원(NIH, USA) 웹사이트에는 "침술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일부 증상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준다는 무작위 대조연구 자료가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NIH 웹사이트는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에서 발행한 임상 진료 지침에서 "임상의는 침술을 제공하거나 침술을 제공 할 수 있는 임상의를 소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NIH 웹사이트에 의하면, 표본 크기 2,365명의 알레르기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 분석을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침술 치료군은 비강 증상 점수, 투약 점수, 혈청 IgE 등에서 현저한 감소 그리고 삶의 질의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한다.[8,9] 또한 NIH 웹 사이트에서는 "계절성 및 만성의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에서 침술의 효능을 입증하는 성과가 높은 무작위 대조 연구가 있다... "고 밝히고 있다.[10]
과학적 연구를 통해 침술이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에게 합리적인 치료 옵션임이 확인되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면허가 있는 침술사와 상담하시길...
Notes
[1] Qu SH, Liu YX.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 for Allergic Rhinitis [J]. World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2016,11(07):900-906+948.
[2] Varshney J, Varshney H. Allergic Rhinitis: an Overview [J]. Indian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5 Jun; 67(2): 143–149.
[3] acaai.org/allergies/types/hay-fever-rhinitis
[4] Palma-Carlos AG1, Branco-Ferreira M, Palma-Carlos ML.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J]. Allerg Immunol (Paris). 2001 Jun;33(6):237-41.
[5] ncbi.nlm.nih.gov/pubmedhealth/PMH0072670/
[6] Xia J, Peng D. Acupuncture Combined with Herbal Medicine for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nd Its Effectiveness on Downregulating Ig E、TNF-α、IL-4 and IL-12 [J]. International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2018,39(03):374-377.
[7] nccih.nih.gov/health/providers/digest/allergies-science. documented 4-25-18.
[8] Ibid.
[9] Feng, Shaoyan, Miaomiao Han, Yunping Fan, Guangwei Yang, Zhenpeng Liao, Wei Liao, and Huabin Li.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rhinology & allergy 29, no. 1 (2015): 57-62.
[10] Taw, Malcolm B., William D. Reddy, Folashade S. Omole, and Michael D. Seidman. "Acupuncture and allergic rhinitis."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3, no. 3 (2015): 216-220. Authors: UCLA Center for East-West Medicine,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Department of Medicine,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t UCLA bIntegrative Healthcare Policy Consortium, Pinecrest Wellness Center c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orehouse School of Medicine dDepartment of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Henry Ford Health System, Michigan.
(*芝雲 역/정리)
..............................
*원문은 아래 참조..
'동의학 이야기 > 해외 동의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침술일까.. 미국 (0) | 2018.08.08 |
---|---|
Community Acupuncture가 인기.. 미국 (0) | 2018.08.06 |
무릎 수술후 회복에 침술 병용.. 미국 (0) | 2018.08.03 |
암 치료에 따른 불면증의 침치료.. 미국 (0) | 2018.07.30 |
부인과 골반부 염증성질환과 침뜸.. 미국 (0) | 2018.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