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보급 (濟衆寶笈)
濟衆寶笈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110張); 22.8 x 17.6 cm
1책 110장으로 장정은 오침안(五針眼)으로 표지에는 ‘제중보급(濟衆寶笈)’이란 서명이 묵서되어 있으며, 표지 뒷면에는 ‘소화 6년 6월 5일 등록번호 고19776’이라는 조선총독부도서관의 타원형 등록인이 날인이 되어 있다. 다음 장에는 목차가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목차 다음에 바로 내용으로 이어졌다.
본 의서는 �의학입문(醫學入門)�의 인용처를 간간히 밝히고 있으나 내용은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내용과 대동소이하다. 목차의 신형(身形), 정문(精門), 기문(氣門), 신문(神門) 등도 �동의보감�내경편(內景篇) 권1과 동일하며, 그 밖의 목차는 혼합하여 작성하였다.
내용을 보면 상한문(傷寒門), 풍문(風門), 내상(內傷), 허로문 (虛勞門), 보익문(補益門), 식갈문(食渴門), 조문(燥門), 화(火), 서(暑), 습(濕), 곽란(霍亂), 구토(嘔吐), 일격반위(噎膈反胃), 해수(咳嗽), 천만(喘滿), 울(鬱), 적괴(積塊), 부인문(婦人門), 조경(調經), 오장(五臟), 육부(六腑), 제충(諸蟲), 부종(浮腫), 창만(脹滿), 소갈(消渴), 황달(黃疸), 소아(小兒), 흉(胸), 유 (乳), 복(腹), 제(臍), 요(腰), 협(脇), 피(皮), 이(耳), 비(鼻), 구설(口舌), 아치(兒齒), 인후(咽喉), 경항(頸項), 배(背), 두(頭), 면(面), 안(眼), 옹저(癰疽), 제창(諸瘡), 하감(下疳), 당창(唐瘡), 대풍창(大風瘡), 토(吐), 담음(痰飮), 하(下), 대변(大 便), 소변(小便), 해학(痎瘧), 온역(瘟疫), 사수(邪祟), 혈문(血門), 몽문(夢門), 성음(聲音), 언어(言語), 진액(津液), 수비(手臂), 족각슬(足脚膝), 모발(毛髮), 전음(前陰), 후음(後陰), 신형(身形), 정문(精門), 기 문(氣門), 신문(神門), 제상(諸傷), 해독(解毒), 괴질(怪疾), 역질(疫疾) 등 총 75문으로 분류하였다. 상한문의 경우 상한증이 발생 초부터 날짜별로 병증을 나열하고 합병증, 임산부의 상한증까지 치료하는데 참고하도록 하였으며, 기타 각 병문마다 자세하게 병증을 구분하여 병증에 따른 처방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이 책은 복잡한 병증의 설명을 피하고 질병에 따른 처방을 상세히 밝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탕액서례 (湯液序例) (0) | 2020.05.04 |
---|---|
외감옹저편 (0) | 2020.05.04 |
동의보감 (東醫寶鑑) 3 (0) | 2020.05.04 |
동의보감 (東醫寶鑑) 2 (0) | 2020.05.04 |
동의보감 (東醫寶鑑) 1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