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생편부외방 (撻生編附外方)
撻生編附外方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23張); 18.0 x 20.0 cm
원저자는 서, 발문이 없어 알 수가 없다. 다만 영조 31년(1760년)에 필사된 동빈(佟璸)의 서문이 있는 �달생편(達生篇)�의 내용을 실용적으로 축약하고 있어 그 관련성을 참고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동빈이란 사람도 원래 자신의 집에 구간(舊刊)의 �달생편�이 있었는데 거기에 약간이 오자(誤字)도 있고 시일도 오래 되어서 이번에 보충하여 중간(重刊)하였다고 한다. 이 책도 현재 보급된 청나라 극재거 사(亟齋居士) 편찬의 �달생편�과는 다르므로 연구할 필요가 있는 책이다.
극재거사(亟齋居士) 편찬의 �달생편�은 중국에서는 1715년에 초간된 후 여러 차례 간행되어 전래본이 많다. 청대에 간행된 목판본은 80여 종, 석판본과 연활자본도 10여 종이 전래된다. 내용은 원생(原生), 임산(臨産), 진결조변(眞訣條辨) 등 14편이다.
이 책은 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부인과에 관련된 개괄적인 의서로써 곁에 두고 간편하게 참고할 수 있 도록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명확한 구분 없이 산부인과 관련 증상을 다루고 있다. 전반부에는 산전(産前)과 관련된 몇 개의 문제, 즉 조심할 부분, 산전의 통증 상태, 태중 아이의 위험을 진단하는 방법 등을 다루고 있고, 후반부에는 산후(産後)와 관련된 몇 개의 문제, 즉 사후의 조리문제, 임신중독에 따른 탕약 등을 다루고 있다. 끝부분에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양혈탕(養血湯), 종백무우산(宗伯無憂散)의 약방문이 실려 있다.
이 책은 내용 자체로 보아서는 출산에 관련된 실제적인 설명이 갖추어진 의서로써 가정에서 출산 전후 증상에 대한 최소한의 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나종면)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림사여과비전 (竹林寺女科秘傳) (0) | 2020.05.05 |
---|---|
부인양방 (婦人良方) (0) | 2020.05.05 |
구사첩경간이전서 (求嗣捷徑簡易全書) (0) | 2020.05.05 |
언해태산집요 (諺解胎産集要) (0) | 2020.05.05 |
고금경험활유방 (古今經驗活幼方)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