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험방(神驗方)
神驗方 / 肯搆子(朝鮮) 編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40張) : 10行字數不同 註雙行, 無魚尾; 22.7 x 15.6 cm
表紙 : 丁酉四月 日抄出 卷頭 : 丁酉四月初吉肯搆子識
긍구자(肯搆子)가 초출한 약방문이다. 서명으로 보아 신 통한 효능을 볼 수 있는 처방을 수집한 책으로 보인다. 표지에 ‘정유사월 일초출(丁酉四月 日抄出)’이라 기록되어 있고, 다음에 ‘정유사월초길긍구자식(丁酉四月初吉肯搆子識)’이라 기록되어 있는 바 필사자는 긍구자(肯搆子)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필사자인 긍구자의 본명과 행적을 알 수 없으므로 필사시기도 알 수 없다. 권말에 동근(東根)이란 타원형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뚜렷한 목차가 없어서 검색에 불편하다. 다만 편정두통(偏正頭痛), 뇌두풍통(雷頭風痛), 열담두통(熱痰頭痛), 뇌후통(腦後痛), 두면발열(頭面發熱), 경험방전소아편(經驗方全小兒篇), 부인문(婦人門), 두부(頭部), 안부(眼部), 면부(面部), 이부(耳部), 비부(鼻部), 구부 (口部), 피부(皮部) 등은 찾아낼 수 있는데, 그 부위의 통증에 대한 증상, 원인과 처방을 수집한 책이다. 그러나 처방의 방제명은 수록되어 있지 않고 다만 해당 약재, 분량과 복용법만 수록되어 있다. 서미에는 보충자료가 소자로 삽입되어 있다.
한약에 대한 상당한 지식이 있는 상태에서 좀 수준이 높은 방제에 대해 자신의 참고용으로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泥土[시궁밭에흙], 蒼耳[독고마니], 宋察魚[송리], 癬[버짐], 龜[남상] 등의 한글 이름도 간혹 보여 고어 연구에도 자료가 될 수 있다. (배현숙)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람별방 (要覽別方) (0) | 2020.05.09 |
---|---|
약성강령 (藥性綱領) (0) | 2020.05.09 |
산음유집 (山陰遺集) (0) | 2020.05.09 |
사의경험방 (四醫經驗方) (0) | 2020.05.09 |
사의경험 (四醫經驗)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