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古醫書 해제

신각섭생집람전초 (新刻攝生集覽全抄)

지운이 2020. 5. 9. 23:05

신각섭생집람전초 (新刻攝生集覽全抄)


新刻攝生集覽全抄 / 胡文煥(明) 編 筆寫本
[發行地不明] :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 1冊(30張) : 10行24字 註雙行; 22.0 x 13.4 cm
表題 : 修養叢書


이 책은 섭생에 관련된 기록으로 명대(明代)의 호문환(胡文煥)이 교감한 �신각섭생집람(新刻攝生集覽)�과 하빈장인(河濱丈人)이 저술하고 전암도인(全菴道人)이 교감한 �섭생요의전초(攝生要義全抄)�, 호문환(胡文煥)이 편집한 �유수요결(類修要訣)�등 3종으로 구성된 필사본이다. 간기가 없어 간행시기를 알 수 없으며, 필사자 역시 확인할 길이 없다.


표지서명은 「수양총서(修養叢書)」로 필사되었다. 이는 누군가 섭생 및 수양에 관련된 서적을 모아 편집한 후 �수양총서�로 서명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목록 역시 없다. 권두(卷頭)에는 �신각섭생집람전초(新刻攝生集覽全抄)�를 필두로 하여 그 하단에 ‘명 전당 호문환 덕보 교(明錢塘胡文煥德甫校)’라 하여 교정자의 이름을 기재하고, �섭생요의전초(攝生 要義全抄)�에도 ‘하빈장인 저(河濱丈人著)’, ‘전암도인 교(全菴道人校)’라는 저자와 교감자를 밝혔으며, �유수요결초 권상(類修要訣抄 卷上)�에 ‘명 전당 호문환 덕보 편집(明錢塘胡文煥德甫編輯)’이라 하여 집필한 시대와 편집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내용을 보면 �신각섭생집람전초�에는 인간의 몸은 안락함을 근본으로 삼는데 안락을 근본으로 삼으려면 보양을 해야한다는 것과 보양에 도움을 주는 3가지 즉, 신(神)을 편안하게 하는 양신(養神), 기를 바르게 하는 석기(惜氣), 몸이 편안해지는 제질(隄疾) 등의 방법을 설명하고, 오기(五氣)와 오미(五味), 계절마다 생기는 질병의 원인과 심(心), 간(肝), 비(脾), 폐(肺), 신장(腎臟) 등의 병이 생기는 원인을 밝히고 이는 음식조절 같은 양생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등의 내용을 밝히고 있다. �섭생요의전초(攝 生要義全抄)�에는 존상편(存想篇), 조기편(調氣篇), 안마편(按摩篇), 도인편(導引篇), 음식편(飮食篇), 방중편(房中篇), 사시편(四時篇), 잡기편(雜忌篇)까지 �대동경(大洞經)�의 �구궁지론(九宮之論)�을 인용한 상상법, 기조절, 안마법, 음식물 조절과 방중술, 자연의 사시를 이용하는 법, 여러 가지 금기 해야 할 사항 등을 설명하였으며, �유수요결초 권상(類修要訣抄 卷上)�에는 도진인위생가(陶眞人衛生歌), 손진인침상기 (孫眞人枕上記), 손진인양생명(孫眞人養生銘), 양심요어(養心要語), 양생요결(養生要訣), 소요자도인법(逍 遙子導引法), 여순양조사 가석허가(呂純陽祖師可惜許歌) 등 주로 도진인, 손지인 등 개인의 비법인 양생가 를 기록하였으며, �유수요결 권하초(類修要訣 卷下抄)�에는 중양조사 좌망명(重陽祖師坐忘銘), 태식명(胎 息銘), 이청암 태극송(李淸菴太極頌), 심단가(心丹歌), 이진인 장생일십육변묘결(李眞人長生一十六變妙訣), 육기가결(六氣歌訣), 조리탕액가결(調理湯液歌訣), 복기음식비의가결(腹氣飮食比宜歌訣), 복기음식잡기가결(腹氣飮食雜忌歌訣), 구재공변가결(九載功變歌訣), 거병연년육자결(去病延年六字訣), 총결(總訣), 오금희법(五禽戱法), 복기토납결(腹氣吐納訣) 등의 가결(歌訣)을 중심으로 양생법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중국의 양생서를 모아 편집한 대체의학서로서 현대의학에 적절하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섭생을 시도하고 연구하는 역사적인 자료로써 가치가 있다. (김중권)

'동의학 이야기 > 古醫書 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양편 (二養編)  (0) 2020.05.09
신학신설  (0) 2020.05.09
삼재원고 (三才圓攷)  (0) 2020.05.09
삼리결 (三理訣)  (0) 2020.05.09
침구택일편집 (鍼灸擇日編集)  (0) 20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