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장상 및 병인병기

적취(積聚)의 학습

지운이 2025. 2. 18. 17:15

積聚란 명칭은 이름은 <灵枢·五变>에서 처음 보인다. "장에 적취가 잘 생기는 사람은 ... 피부가 얇고 살이 느슨하고 질척하다. 이런 경우 위와 장이 약하고 최악의 경우 사기가 머물러 적취가 손상을 끼친다." 또한 "내경"에는 伏梁、息贲、肥气、奔豚 등의 병명이 나오는데, 모두 적취의 범주에 속한다. 치료 측면에서는 < 素问·至真要大论>에서 제시한 ‘딱딱한 것은 끊고', 맺힌 것은 풀고, 머무는 것을 공격한다’는 원칙이 전반적으로 지침 역할을 한다. < 难经>에서는 축적을 명확히 구분하고 오장(五臟)에 적에 해당하는 주요 증상을 자세히 설명해 준다. < 金匮要略·疟病脉证并治>에서는 학질로 인한 症瘕를 " 疟母"라고 지칭하고 鳖甲煎丸로 치료하고 있다. < 诸病源候论·积聚病诸候>에서는 적취의 병인과 병기에 대하여 자세히 논하고, 적취는 보통 점차 축적이 되어 병이 되는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각 장기가 사기를 받으면 처음에는 적취가 되지 못하다가 머물러 정체되어 제거되지 않으면 적취가 된다.” < 证治准绳·积聚>은 선인들의 경험을 종합하여 “이 병의 치료는 초·중·말의 세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景岳全书·积聚>에서는 攻补法의 응용에 대해 잘 정리해 주고 있다. "적을 치료하는 요체는 攻补의 적합성을 알아야 하고, 攻补의 적합성은 느린 것과 긴급한 것을 구별하는데 있다." < 医宗必读·积聚>에서는 攻补 양대 침법과 적취의 초중말의 3기 사이의 유기적 연관을 잘 파악하며, 적취를 치료할 때 빠른 결과를 서두르지 말고 " 攻과 补를 누차 실행하여 평정을 도모한다"(屡攻屡补,以平为期)고 지적 하였는데, 이는 후대 의사들로부터 높게 평가되었다. < 医林改错>은 어혈이 적취 병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혈액을 활성화하여 어혈을 제거하는 처방의 응용에 뛰어난 공헌을 했다.

 

중의학 문헌에 따르면 症瘕、痃癖 및 伏梁、肥气、息贲 등의 질병은 모두 적취의 범주에 속한다. 적취의 임상적 증상에 따르면, 주로 복부의 종양, 간비의 종대, 증식성 장결핵, 위장관 기능 장애, 불완전 장폐색 등의 질병을 포괄하며, 이러한 질병이 적취와 유사한 증상을 보일 때, 증후군의 감별 및 치료를 위해 그 변증논치가 충실히 이루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積聚의 병인 병기

 

1. 감정의 울체, 기 정체, 어혈 등. < 济生方·积聚论治>에서는, “근심, 생각, 기쁨, 분노는 사람들이 어찌하기 어려운데, 너무 과하면 오장(五臟)을 손상시키고 … 이것들이 쌓이면 오적(五积)을 초래한다.” 감정은 병을 일으키고, 무엇보다도 기를 침체시켜 간기를 불편하게 하고 비기를 울체시켜 간과 비의 기기가 막히게 된다. 그러면 기와 혈이 영향을 받아 혈행이 원활하지 않고, 경락이 막히고, 脉络이 막히게 된다. 기기의 흐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적이라고 하며, 기혈이 오랜 시간 정체되어 덩어리로 뭉친 경우를 적이라고 한다.

2. 음주로 인한 내상, 과도한 음주나 지방, 단맛, 기름기, 튀긴 음식, 매운 음식 등의 선호는 담탁을 초래한다. 부절제한 음식은 비위를 손상시켜 비의 건강한 기능을 상실하게 하고, 체내에 습탁이 머무르고 심해지면 응축되어 담이 된다. 담탁이 정체되면 나아가 기혈의 정상적인 흐름에 더욱 영향을 미쳐 기기가 울체되고 혈맥이 막히며, 기, 혈, 담이 서로 엉겨 붙어 적취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음식과 기기가 만나 서로 막히고 기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취증을 초래한다.

3. 사기와 독기의 침습. 한 습 열 등 각종 외사와 독사가 인체에 오랫동안 작용하거나, 인체에 침입한 후 그대로 머무르면, 영향받는 장부의 조화가 깨지고, 기혈의 운행이 원활하지 못하고, 체내로 담탁이 생성되고, 기가 정체되고 어혈이 생겨 시간이 지나며 오래되면 적취가 쌓이게 된다. < 诸病源候论·积聚病诸候>는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각종 장기가 사기를 받으면 처음에는 적취를 형성하지 못하지만, 정체되어 제거되지 않으면 결국 적취를 형성하게 된다.”

4. 다른 질병 결과로 인해, 시일이 오래되어 황달이 생긴 후 오래 적이 사라지지 않거나, 황달이 오래 지속되어 물러나지 않아 습사가 오래 지속되어 기혈이 막히는 경우, 장기간 학질이 치료되지 못한 경우, 습담이 응체되어 맥락이 막히는 경우, 또 흡충증 감염으로 맥도가 막혀 간비의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맥락이 정체되는 경우 등이 있다. 위에 언급된 질병과 증상들이 시간이 지나도 치료되지 않으면, 이 모든 것이 적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정서적 우울증, 식이 손상, 병원성 독사에 노출, 다른 질병의 진행 등이 적취의 주요 원인이다. 그 중에서도 감정, 식습관, 사독 등 질병의 원인이 서로 얽히고 섞여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정기 결핍은 적취 발병을 일으키는 내부 요인이다. 적취의 형성과 변화는 정기의 강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医宗必读·积聚>는 이렇게 지적한다. "적은 정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사기가 들어 머물며 생긴다." < 景岳全书·积聚>에서도, "비와 신의 기가 부족하여 허약 실조된 사람의 경우 주로 적취병에 걸린다."고 했다. 즉, 적취는 正虚感邪, 정기와 사기의 투쟁에서 정기가 사기를 이기지 못한 상태에서 사기가 자리잡고 점차 발전하면서 생긴다. 적취의 발생은 주로 간비의 양 장기와 관련되며, 기의 울체, 혈어, 담결이 곧 적취를 형성하는 주요 병리학적 변화이다. 그 중, 취증은 기기의 정체가 주이고, 적증은 기체, 혈어, 담결의 3자가 두루 존재하는 속에 혈어가 주가 된다.

 

임상 증상

 

적취의 주요 임상 증상은 복부의 덩어리, 팽창 또는 통증인데, 적과 취는 서로 다른 임상적 특징을 가진다. 적증은 대부분 점진적인 형성 과정을 거친다. 덩어리가 나타나기 전에 종종 해당 부위에 통증이 있거나 메스꺼움, 구토, 복창, 피로, 식욕 감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적증의 특징인 복괴는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부드러운 것에서 단단한 것으로 점차 커지며 고정되어 간다. 처음에는 창통을 느끼고, 그 후 통증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진행 기간이 길어지며 상태도 더 심각해진다. 복부 병변이 생기면서 동시에 식욕 감퇴, 피로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더 심각해지먄 안색이 창백해지고 몸이 점점 더 마르는 경우도 있다. 적증의 후반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쇠약 증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적증의 증상은 기취에 창통이 엄습하여 때로는 모이고 때로는 흩어지며, 혹은 복부에 띠 모양의 덩어리가 모이는 것처럼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진행 기간이 짧고, 증상이 경미하며, 전신적 증상은 적증만큼 명백하지 않다. < 金匮要略·五脏风寒积聚病脉证并治>는, “적은 장병으로 결코 없어지지 않으며, 취는 부병으로 때로 발작하며 통증이 옮겨다니며 치료도 가능하다.” < 景岳全书·积聚>에서도 양 병의 특성을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적은 누적하여 쌓인 것으로 점진적으로 형성되며, 취는 모이고 흩어짐을 가리키며 일정하지가 않다.”

 

진단

 

1. 적증은 크기가 다양하고 부드럽거나 딱딱한 질감의 덩어리가 복부에서 느껴지고,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창통이나 자통이 동반된다는 의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 덩어리가 생겨 자라면서 해당 부위에 통증이 생기거나, 메스꺼움, 구토, 복부 팽창, 피로, 식욕 감퇴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적증의 후기 단계에는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는 것 외에도 결핍 증상도 더욱 두드러진다.

2. 취증은 기취, 창통 엄습, 간헐적 발병 등의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 질병이 발생하면 영향을 받은 부위에 기취창만의 현상이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덩어리는 느낄 수 없다. 질병이 완화되면 기취창만의 현상도 사라진다. 취증이 나타나면 실증의 증상이 우세하고 반복적으로 발작하며, 피로, 식욕부진, 묽은 변 등 비위 허약의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

병력과 함께 B-초음파, Cr, 위장관 X선검사 및 내시경 검사를 병행하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감별 진단

 

1. 자각 증상은 복창, 충만감, 불편함을 환자 스스로 느낀다. 그러나 검사 시 복부에 기취 팽창이 보이지 않고 덩어리가 느껴지지 않는다면, 이는 임상적으로 적취와는 구별된다.

2. 고창은 복부가 팽대해지는 것으로 북처럼 튀어나오는 것이 임상적 특징이다. 적취와 같이 덩러리가 나타나지만 튀어나온 덩어리는 대부분 늑골부에 위치한다. 또 덩어리라 하더라도 수액이 축적되어 복부가 창만하기도 한다. 적증은 복부에 수액이 축적된 것이 아니고, 복부가 전반적으로 부어 오르지 않으며, 복부 덩어리의 위치가 옆구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변증논치/ 변증의 핵심

 

1. 적과 취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병증으로 지칭하지만, 둘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다. 적증은 덩어리가 뚜렷하고, 고정되어 있고, 통증이 고정된 부위에 있고, 병이 오래 지속되며, 주로 혈분에 속하고, 병정이 비교적 심각하고 치료도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취증은 덩어리가 없고, 복부의 기가 때로 모이고 때로 분산되며, 간헐적으로 발작하며, 통증이 고정된 부위에 없고, 병이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주로 기분에 속하고, 일반적으로 상태가 가볍고 비교적 치료하기 쉽다. 옛 문헌에 따르면 적은 장병이고 취는 부병이라 했지만, 그렇게 엄격하게 구애될 필요는 없으며 실제는 적증의 덩어리는 대부분 위와 장에서 발생한다.

2. 덩어리가 생긴 위치에 따라 연계되는 장부도 다르고, 임상 증상과 치료 처방도 다르기 때문에 감별이 필요하다. 많은 임상적 관찰에 따르면 내과 영역에서 복부 덩어리는 주로 위와 간의 병변에서 발견된다. 오른쪽 늑복에 덩어리가 생기고 갈비뼈에 자통, 황달, 식욕 부진, 복창 등의 증상이 있으면 간에 병이 있고, 위완에 덩어리가 생기고 메스꺼움, 구토, 토혈, 혈변 등의 증상이 있으면 위에 병이 있고, 오른쪽 복부에 덩어리가 생기고 설사나 변비, 체중 감소, 피로 등이 있고, 왼쪽 복부에 덩어리가 생기고 배변 횟수가 늘어나고 혈변이 있으면 장에 병이 있다.

3. 허증과 실증의 구별은 대략 초기, 중기, 말기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정기가 아직 심각하게 부족하지 않으며, 사기가 실하더라도 심각하지 않으며, 질감이 부드러운 작은 덩어리로 나타난다. 팽창, 통증 및 불편함이 있지만 전반적인 상태는 여전히 괜찮다. 중기에는 정기가 점차 쇠퇴하고 사기가 강해져서 덩어리가 커지고 질감이 딱딱해지고 통증이 지속되고 식욕이 감소하고 피로감이 생기며 체중이 감소한다. 말기에는 정기가 크게 부족하고 사기가 매우 강해져서 덩어리가 크고 딱딱해지고, 통증이 심하고, 식욕이 크게 감소하고, 피로하고, 안색이 창백하거나 어두워지며, 체중이 현저히 감소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원칙

 

취증의 치료는 기를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적증은 혈을 활성화하는데 중점을 둔다. 취증은 병이 기분 있으므로 간을 편안하게 하고 기를 조절하며, 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취를 소거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원칙이며, 기를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적증은 병이 혈분에 있으므로 혈액 순환을 활성화하고 혈어를 제거하며, 결절을 부드럽게 분산시키는 것이 치료의 기본원칙이며, 혈액 순환을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다양한 단계를 구별하고 적절한 攻补의 법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적증의 초기에는 덩어리가 크지 않고 부드럽지만 딱딱하지 않으며, 정기는 여전히 좋다. 치료는 주로 사기에 대한 공격을 위주로, 기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딱딱한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여 적을 제거하는 것이다. 중기에는 덩어리가 점차 커지고 딱딱해지고, 정기가 점차 손상되고, 사기가 만연하고 몸이 약해지므로 치료는 攻补를 병행해야 한다. 후기에는 덩어리가 딱딱하고, 몸이 마르고, 정신이 피곤하고, 정기가 손상된다. 치료는 주로 정기를 부양함을 위주로 하여 기를 보양하고, 어혈을 제거하여 적을 제거하는데 중점을 두되 과도한 공격은 피해야 한다.

적증의 치료에서는 공법과 보법의 관계를 처리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 景岳全书·积聚>에서는, "적을 치료하는 관건은 공보양의 합당성을 알아야 한다. 시급한 것과 느린 것을 구별해야 한다."라고 했다. 치료에서는 "실을 치료하면서 허약을 고려"하고 "허를 보하면서 실을 잊지 말아야 하며"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혹 먼저 공격하고 후에 보양하거나, 혹은 먼저 보양하고 나서 공격하거나, 혹은 보양과 공격을 병행할 수 있다.

 

분증 논치

 

-聚证

· 간기 울체

증상 : 복부에 기취가 창통이 침습하여 때로는 모이고 때로는 분산되며, 완복 늑복 사이에서 가끔 불편함을 느끼고, 기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고, 苔薄, 脉弦

치료방법 : 간을 진정시키고 우울증을 해소하며,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축적을 제거합니다.(疏肝解郁,行气消聚)

처방약 : 木香顺气散

이 처방은 기를 보하고 중추를 따뜻하게 하며, 추위와 습을 몰아내고, 간을 편안하게 하며 우울증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가 정체되어 있고, 추위와 습이 중추를 막고, 간기능 저하 증상이 동반된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이 처방은 기를 촉진하고 중추를 따뜻하게 하며, 추위를 물리치고 습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는 湯素, 백단, 백목련, 목련나무껍질, 감초(즉, 향사평위산)를 사용합니다. 여기에 백단, 생강, 자소엽을 결합하여 중추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조절하는 효과를 높입니다. 또한, 사철쑥과 녹피는 간을 진정시키고 기를 조절하며 우울증을 해소합니다.

감기가 심하고 복통이 심하면 발열로 증상이 완화되고 사지가 차가우면 갈근과 계피를 넣어 중앙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조절하며 통증을 완화한다. 만약 열이 나고, 입안에 쓴맛이 나고, 혀가 붉을 경우에는 백출(銀出)과 백출(銀出)을 제거하고, 황련(黃蓮)과 황련(黃蓮)을 첨가하면 간을 보하고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피로, 허약함,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개똥쑥과 백출을 첨가하면 기를 보충하고 비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팽창과 통증 증후군의 증상이 완화된 후에는 간을 진정시키고 비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야오가루를 컨디셔닝 및 후속 조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食浊阻滞

증상: 복부 팽창이나 통증, 변비, 식욕 부진, 때로는 복부에 띠 모양의 덩어리가 쌓이고, 팽창과 통증은 강한 압박감이 삼하다. 舌苔腻, 脉弦滑

치료방법 : 기를 조절하고, 탁한 것을 없애고, 정체를 해소하고, 장을 통하게 한다.(理气化浊,导滞通腑)

처방 : 六磨汤

이 처방에서는 가루단향, 코스투스 뿌리, 타이완야자를 이용해 기를 조절하고 배부르심을 해소하고, 대황, 아레카 열매, 쓴 오렌지 껍질은 장을 깨끗이 하고 정체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산사나무와 무씨앗을 첨가하면 위장과 소화를 강화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가래와 탁한 기운으로 몸 중앙이 막히고, 구토가 나고, 혀에 기름기가 많을 때는 반하, 귤껍질, 생강을 첨가하면 가래를 삭이고 역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회충이 장을 막아서 발생하는 질병인 경우, 항회충제 처방을 받고, 필요에 따라 오미약을 사용하면 됩니다.

축적증이 발생하면 주요 증상은 과잉증입니다. 그러나 재발하면 종종 비장과 위가 약해지고 기를 운반하고 변환할 수 없게 되어 기가 축적되어 복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이러한 환자에게는 향사 류쥔자 달인을 사용하여 비장과 위를 강화하고 기를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积证

· 气滞血阻

증상: 축적 증후군이 시작될 때는 덩어리가 부드럽지만 딱딱하지 않고,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붓고 통증이 있고, 얇고 흰 혀 코팅이 있으며, 맥박이 끈적끈적합니다.

치료 방법: 기를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활성화하며, 경락의 막힘을 해소하고 축적을 제거합니다.

처방명: 경붕건완.

이 처방은 기를 조절하고 덩어리를 풀어주는 데 코스투스 뿌리, 녹색 껍질, 회향, 쓴 오렌지 껍질, 아레카 카테쿠를 사용하며, 트릴리움과 쿠르쿠마 제도아리아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축적을 제거합니다.

석효분말(보황, 우령지)이나 금령자분말(금령자, 현호색)과 함께 복용하면 혈액순환 촉진, 어혈제거, 혹분해, 통증완화 등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 气结血瘀

증상: 복부의 덩어리가 점점 커지고 누르면 딱딱해지며, 통증이 끊이지 않고, 식욕이 감소하고, 피로하고, 얼굴이 칙칙하고 여위며, 때때로 오한과 발열이 나타나고, 여성의 경우 월경이 잦고, 혀가 청자색이거나 반점과 혈변이 있으며, 맥박이 끈적끈적하고 미끄럽거나 얇고 끈끈합니다.

치료 방법: 어혈을 제거하고, 딱딱한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며, 비장과 위를 보양합니다.

처방약: 거샤주위탕, 육군자탕. ·

이 처방은 당귀, 천웅, 복숭아씨, 홍화, 모란뿌리, 백출, 현호색을 사용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제거하고, 경락을 풀어주며, 통증을 완화합니다. 향나무, 린더라자, 망초는 기를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하며, 감초는 기를 북돋우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축적을 제거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Salvia miltiorrhiza, Curcuma zedoaria, Trillium, 거북이 껍질, 소성 와카메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는 비자산완과 화정혜성단을 함께 복용하면 증상을 제거하고 축적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거샤주어탕을 치료에 사용할 경우, 비장과 위를 보양하고 양기를 보하는 효과가 있는 육군자탕을 가끔씩 복용하여 공격과 보충의 방법을 형성해야 합니다.

 

· 正虚瘀结

증상: 덩어리가 딱딱하고 통증이 점차 심해지고 식욕이 현저히 감소하며 안색이 창백하거나 검어지고 몸이 쇠약해지고 체형이 망가지고 혀가 창백하거나 보라색이 되며 혀의 겉껍질이 회색이고 거칠거나 혀에 윤이 나지만 겉껍질이 없고 맥이 가늘거나 굵습니다.

치료 방법: 기와 혈액을 보양하고, 혈액 정체를 해소하며, 축적을 제거합니다.

처방: 바진탕과 화기환.

바진탕은 기와 혈액을 보충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효과적인 처방입니다. 기가 심하게 부족한 사람은 황기, 마, 율무 등을 첨가하여 기를 보충하고 비장을 강화합니다. 혀가 밝은 붉은색이고 코팅이 없고 맥박이 미세하고 빠르면 음액이 심하게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생지황, 현삼, 오피오포곤 자포니쿠스, 둥굴레 오도라툼 및 기타 약초를 첨가하여 음을 보양하고 액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화지정에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제거하고, 혹을 부드럽게 하고 분산시키는 트릴리움, 쿠르쿠마, 사문골, 백출, 그리고 백출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덩어리를 제거하고 축적물을 제거하는 아사페티다, 가래를 제거하고 혹을 부드럽게 하고 분산시키는 부석, 기를 조절하고 하제를 내리는 아레카 열매(묽은 대변이나 설사가 있는 사람은 섭취하지 마세요)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고 분산시키기 위해 살비아 밀티오리자와 거북이 껍질을 첨가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처방을 번갈아 복용할 수 있으며, 질병의 상태에 따라 하나를 보하고 하나를 공격하거나, 두 가지를 보하고 하나를 공격하는 치료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축적증후군의 치료에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증후군 감별 및 처방과 함께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축적증후군이 새로 생긴 것이든 오래된 것이든 아사페티다 페이스트, 홍화 페이스트 등을 바르는 등 외부적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결절을 분산시키고, 딱딱한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며, 축적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증상이 축적되어 질병이 생기는 환자를 위해 서양 의학에서 종양으로 진단하는 경우, 상기 증후군의 감별 및 치료에 따라 처방 및 약물을 선택하는 것 외에도, 특정 항종양 효과가 있는 일부 한약을 적절히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상당수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고, 붓기를 줄이고, 결절을 분산시키는 약으로, 예를 들어 半枝莲、半边莲、白花蛇舌草、蚤休、夏枯草、垂盆草、菝葜、虎杖 등이 있다.

 

 

 

참조

-中医内科学. 第七章 气血津液病证(第七节 积聚)에서..

https://www.zysj.com.cn/lilunshuji/neikexue/76-8-7.html

 

第七节 积聚 - 《中医内科学》 - 中医世家

第七节 积聚 积聚是由于体虚复感外邪,情志饮食所伤,以及它病日久不愈等原因引起的,以正气亏虚,脏腑失和,气滞、血瘀、痰浊蕴结腹内为基本病机,以腹内结块;或胀或痛为主要临床特

www.zysj.com.cn

 

 

*참고 침구자생경, 보제방의 적취 취혈과 치료

 

<针灸资生经의 積聚 치료혈>

 

冲门、主腹中积聚疼痛.(千)鬲俞、阴谷、(见腹痛.)主积聚.上管、主心下坚.积聚冷胀.悬枢、主腹中积上下行.高曲、主腹中积聚.太阴 、主腹满积聚.膀胱俞,主坚结积聚.积聚坚满.灸脾募百壮.穴在章门季肋端.心下坚.积聚冷胀.灸上管百壮.三报之.积聚坚大如盘.冷胀.灸胃管二百壮.三报之.冲门、(见腹满.)府舍、(见痹疼.)治腹满积聚.(铜)鬲俞、阴谷、(见腹痛.)主积聚.(千)悬枢、治积聚上下行.水谷不化.下利.腹中留积.(铜)明下云、积气上下行.(解溪同.)腹中尽痛.脾俞、治积聚.(见 癖.)商曲、治腹中积聚.(千同.)肠中切痛.不嗜食.四满、治脐下积聚.疝瘕.肠 切痛.振寒大腹有水.通谷、治结积留饮.(见痰.)章门、疗积聚气.(明)中极、疗冷气积聚.时上冲心.饥不能食.(下)脾俞、治积聚.(铜见腹胀.)中管、主积聚.(千见腹胀.)积聚灸肺俞.或三焦俞.(见腹胀.)脾俞、疗黄胆积聚.(见黄胆)脏腑积聚.灸三焦俞.心腹积聚.灸肝俞.(并见腹胀.)期门、主喘逆.卧不安席.咳.胁下积聚.(千)

충문은  복부 적취 통증을 주관한다. 격유 음곡은 (복통이 보이는) 적취를 주관한다. 上管은 심하 단단한 적취, 냉창을 주관한다. 현추는 배의 적을 주관하며 아래위로 달린다. 고곡은 복부 적취를  주관한다. 태음은 복만 적취를 주관한다. 방광유는 긴결의 적취를 주관한다. 적취 긴만에는 비모혈에 뜸을 백장 뜬다. 그 혈은 장문으로 계륵단심 아래에 있다. 단단한 적취와 냉창에는 상관에 뜸을 백 장 뜬다. 3번 보한다. 충문(복만을 보이는). 부사(비통을 보이는)는 복만적취를 치료한다. 격유 음곡(복통을 보이는)은 적취를 주관한다. 현추는 적취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 수곡불화, 하리, 복중 남겨진 적을 치료한다. 비유는 적취를 치료한다. 明下는 적기는 상하로 움직인다 하였다. (해계도) 남겨진 동통을 치료한다. 비유는 적취를 치료한다. 상곡은 복중의 적취, 장의 절통, 식욕부진을 치료한다. 사만은 제하 적취, 산하, 장 절통, 한사의 대복 수의 한사를 치료한다. 통곡은 결적으로 음이 머무는 것을 치료한다. 장문은 적취기를 치료한다. 중극은 냉기의 적취, 때로 심을 치받음, 음식기피를 치료한다. 비유는 적취를 치료한다. 중관은 적취를 주관한다. 적취에 폐유 혹은 삼초유에 뜸을 뜬다. 비유는 황담적취를 치료한다. (황담을 보이는) 장부적취에는 삼초유에 뜸을 뜬다. 심복의 적취에는 간유에 뜸을 뜬다. 기문은 천역, 누워 있으며 앉기가 불편함, 기침, 늑하적취를 주관한다. 

(积聚-针灸资生经)

 

< 针灸资生经의 积气 치료혈>

梁门、治胁下积气.(期门同见吐泻.)食饮不思.大肠滑泄.谷不化.(铜)解溪、(见咳嗽.)悬枢、治积气上下行.(见积聚.)关门、治积气.肠鸣卒痛.泄利.不欲食.腹中气游走.夹脐急.气海、治气结成块.状如覆杯.(见脐痛.)阴交、疗气痛如刀搅.作块如覆杯.(明见便赤)章门、疗积聚气.(见积聚.)膻中、岐伯云疗积气成噎.(下)三里、(见腹坚)不容、疗积气.(见腹痛.)章门、疗积气如石.(见鼓胀.)梁门、主胸下积气.

 

 

<普济方의  积聚 치료>

 

治积聚(资生经). 膈俞 阴谷혈은 心下坚을 치료한다. 。积聚冷胀은  穴上脘(일설에는 灸百壮 三报之)

治腹中积聚上下行. 悬枢는 腹中积聚를 치료한다. 商曲은 腹满积聚를 치료한다. 阴은 坚结积聚를 치료한다. 膀胱俞는 积聚坚满을 치료한다. 穴脾募(灸百壮)

治腹中积聚疼痛. 冲门은 积聚坚大如盘을 치료한다. 冷胀에는 胃脘(灸二百壮。三报之

治腹满积聚. 冲门 府舍는 积聚로 上下不行 水谷不化, 下利腹中留积, 腹中尽痛을 치료한다. 悬枢는 积聚를 치료한다. 脾俞는 腹中积聚 肠中切痛 不嗜食을 치료한다. 商曲은 脐下积聚 疝瘕 肠癖切痛 振寒 大肠有水를 치료한다. 四满은 结积留饮을 치료한다. 通谷은 积聚气를 치료한다. 章门은 冷气积聚 时上冲心 饥不能食을 치료한다. 中极은 积聚을 치료한다. 中管은 积聚를 치료한다. 肺俞 혹은 三焦俞에 뜸을 뜬다.

治黄胆积聚. 脾俞는 脏腑积聚 胀满 羸瘦不能食을 치료한다. 灸三焦俞 心腹积聚를 치료한다. 灸肝俞는 喘逆卧不安席 咳逆을 치료한다. 胁下积聚는 期门이다.

(《普济方·针灸》)

'동의학 이야기 > 장상 및 병인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부 적취가 만병의 근원?  (0) 2025.02.21
복부 비괴(痞块)와 침뜸치료  (1) 2025.02.21
病機十九條와 그 의미  (0) 2023.09.21
병인병기론 기초자료  (0) 2023.09.14
병인병기론 개설  (0)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