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은 변비의 발생이 오장육부와 모두 관련이 있다고 처음 제시하였고, 《중의내과학》(田德禄,2002)은 변비의 병위가 대장에 있으나 오장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폐주숙강(肺主肃降)은 대장과 표리관계에 있는 폐의 선발숙강 기능에 이상이 생겨 변비가 된다. 비장의 건운(健運)을 잃어 청기가 오르지 못하고 탁기가 내리지 못해 변비가 된다는 것이다. 肝主疏泄인데 肝气가 울체되면 腑气不通,气滞不行이 되어 변비가 된다. 신은 이음(二陰)으로 개규하니 신이 2변을 주관하는데 신허음한으로 응결이 되면 변비가 된다. 그런 까닭에 변비는 오장과 모두 관계가 있고 오장 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경락과 관계가 있다. 경락은 내장과 조직을 연결하니 경락은 내장과도 작용하여 내장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니 내장의 불균형을 치료하여야 한다.
임상 및 동물 연구에서 변비치료에서 침술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任亚东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치료한 바, 첫 번째 앙와위로 支沟、天枢、气海、足三里、上巨虚를, 두 번째 그룹은 복와위로 엎드려 脾俞、肾俞、大肠俞、次髎를 취하여, 20회 치료 후 상당한 효과를 보였다. 高纺 등은 변비 모델 생쥐의 장운동에 침술 개입으로, 생쥐의 天枢、足三里、支沟 등의 혈자리를 취한 결과 침이 생쥐의 배변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쥐의 결장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任亚东.温针灸治疗慢性功能性便秘的临床疗效观察 [J].成都中医药大学学报,2013,36(2):60-62.
高纺,盛红梅,张田宁,等.针刺不同穴方对便秘小鼠肠 运动的影响[J].针刺研究,2017,42(1):62-66,75.
한편 근자에 부침요법(浮针疗法)에 의한 침구치료도 매무 유효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 침법은 매우 근자의 침술기법으로 통상의 경락/경혈 치료와는 구별되는 방법을 취하고 있어 간단히 소개해 둔다
부침요법은 전통적인 경혈이 아닌 근막 유발점을 기준으로 한다. 물론 선택된 근막 유발점은 전통적인 경혈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부침요법은 피하에 느슨한 결합조직층에 침을 자입하는데, 전통적인 침과 같이 득기를 얻으려 하지 않으며, 통증이나 시큰거림, 저림 등의 감각 없이 피하 소산을 통해 즉각적인 효과와 장기적인 효과가 매우 좋다고 알려져 있다.
예컨대 王军 등은, 부침요법은 인체 내 새로운 기능 시스템인 지원 비축 및 자가 모니터링 시스템(근막 시스템 또는 경락 시스템이라고도 함)을 통해 작용하여 효과를 거둔다고 지적한다. 동의학 이론은 경락은 인체가 기혈을 운행하고, 장부을 연결하며, 내외를 소통하고, 상하를 관통하는 길로 보는데, 여기서 언급한 인체의 결합 조직도 마찬가지로 안으로 장부로 외부로 피부를 연결하며 내외를 연락하며, 교통을 통해 상하로 완전한 구조대를 형성한다고 여긴다. 즉 경락과 근막 시스템 사이에는 큰 유사성이 있다는 것이다. 부침을 피하결합조직에 찔러서 쓸어내는 동작을 해주면 근막계를 잡아당겨 자극하여 근막계의 물리적 구조에 변화를 가져온다. 이를 통해 생체전기를 생성되고 세포의 이온 채널을 변경하여 미세순환, 기저막 투과성, 채널 개폐, 신호 전달 및 기타 일련의 변화를 일으켜 빠른 통증 완화 및 내과 질환 치료의 목적을 달성한다고 논한다.
*부침요법 소개
范刚启,赵杨,符仲华.针刺方向、角度、深度与针刺镇 痛的关系[J].中国针灸,2010,30(11):965-968.
刘玲,范刚启.浮针疗法与传统针刺疗法之比较[J].针 灸临床杂志,2013,29(2):51-53.
王军,王春雷,沈宝林,等.用筋膜学说解读经络实质和 物质基础[J].中国针灸,2007,27(8):583-585.
王春雷,吴金鹏,王军,等.筋膜学说解读中医经络实质 及针灸作用机制[J].中国中医基础医学杂志,2008,14 (4):312-314.
原林,王军,王春雷,等.人体内新的功能系统——支持 储备及自体监控系统新学说[J].科技导报,2006,24
이상을 근거로 부침요법의 변비치료 임상도 볼 수 있다. 특이한 요법이어서 소개해 둔다.
요방형근 상부, 척추기립근 및 반대측 복근에서 근막 유발점(Myofascial Trigger Point, MTrP)을 찾아 한계성 경결, 끈모양, 결절점을 촉지한다. 근막 유발점 상부 3~5cm 범위를 요오드 소독을 하고, 부침기로 침을 찔러넣고, 침끝이 유발점을 향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으로 그 지점 좌우로 쓸어내리고, 동시에 환자에게 복부, 하지의 굴신저항 등의 운동을 하게하여 국소결절, 끈모양, 긴장감 등이 개선되거나 사라질 때까지 협조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침을 테이프로 고정 5시간 후 빼낸다. 처음 3일 동안은 1일 1회, 이후에는 격일 1회씩 4주간 치료한다.
그 치료 결과에 대해, 부침요법이 中脘、下脘、气海、关元、 天枢、大横、大巨 등을 대상으로 호침으로 시술한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치료효과를 올렸다고 한다. 대조군의 유효율 83.3%인데 비해 부침요법이 90.0%였디고 한다.
*이상은 王翀敏(2018), 浮针疗法治疗功能性便秘疗效观察, 上海针灸杂志 37卷 第6
'동의학 이야기 > 침술 기법과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침의 각도, 방향과 깊이 및 침술의 효과에 대하여 (0) | 2025.02.24 |
---|---|
도침(刀針)과 도침요법 (0) | 2024.05.06 |
전신조정요법 : 구당 기본침과 무극보양뜸 (0) | 2024.04.08 |
황제내경의 九鍼 (0) | 2024.03.30 |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펌]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