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침구처방의 고민

경부 척추증의 신경근병증과 '목8침(項八針)'

지운이 2025. 3. 10. 17:13

경부 척추증의 신경근병증과 '목8침(項八針)'

 

경부 척추증성 신경근병증은 임상에서 아주 흔한 질병의 하나이다. 침구 치료법 가운데 '项八针(목8침)'이라 소개된 침술이 이 질환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어 정리한다. 현대의학에서도 호침으로 근막통증의 유발점을 자극하여 경추척추증을 치료하여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 중국의  胡中平 주임의는 "목팔침"과 근막통증 유발점을 결합하여 양기를 활성화하고, 근맥을 온조하며,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경락의 막힘을 해소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어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 임상 사례를 통해 치료 경험을 면밀히 살펴 임상 치료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도입

 

경추 척추증은 임상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경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와 주변 구조의 2차 병리학적 변화가 축적되어 발생하는데, 목과 어깨 통증, 마비, 운동 제한과 같은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고 영상에서도 해당 변화가 수반된다. 경추 척추증에는 증상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는데, 그 중 신경근형이 가장 흔한 유형으로 경추 척추증 환자의 약 60~70%를 차지한다. 또한 임상적으로 환자에게는 매우 힘든 질환이기도 하다.

 

임상 증상으로는 목, 어깨, 상지에 방사통, 마비, 허약함, 근위축 등이 있다. 현재 경추 척추증성 신경근병증의 치료 방법은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주로 양약, 동의학약물, 동의학을 이용한 외적 치료, 재활 치료 등이 있다 [ 1 ].

 

양방에서는 주로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한다. 그 효능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데다,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면 약물 내성도 생길 수 있다. 또한 특정 독성 부작용이나 위장관에 부정적인 자극을 일으킬 수도 있다 [ 2 ]. 수술적 치료는 주로 수술적 적응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데, 금기사항도 따르며 약간의 합병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동의학에서는 침술, 부항, 도침, 마사지, 동의약외과 치료 등이 있는데, 그 효능이 좋고, 독성 부작용도 적어 주목받고 있다.

 

이 가운데 "목8침" 기술은 沈卫东 교수가 수년간 질병을 치료한 후 요약한 특별한 경혈 선택 및 치료 방법으로 경추 척추증의 임상적 예방 및 치료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고 한다. 근막통증 트리거 포인트의 침술은 빠르고 높은 치료 효과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임상 통증 치료에도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胡中平교수는 중의학 전문가의 업적을 계승한 국가 지도원인 张虹 교수의 제자로, 경추 척추증 신경근병증의 기본 병인을 양기 부족, 외인성 사기의 침입, 경락 막힘, 기혈 정체로 요약했다. 그는 또한 근막통증 트리거포인트와 "목8침"을 혁신적으로 결합하여 경추 척추증을 치료했다고 그 치료 경험은 다음과 같이 소개되고 있다.

 

 

2. 경추척추증의 병인 및 병태생리

 

동의학에는 "경추 척추증의 신경근병증"이라는 질환 없지만 임상 증상에 따라 중의학에서는 "관절통" 범주로 이해한다. "목과 어깨 통증"이라고도 하며, 그 병인병기는 "내인"과 "외인"으로 요약할 수 있다. "내인"은 주로 인체의 허피로 장부의 허쇠가 주가 되며, 양기 부족, 간신의 허, 기혈 부족 등으로 요약된다. <소문>에서는 "阳气者,精则养神,柔则养筋"이라고 하여, 양기가 부족하면 근맥을 온양할 수 없고, 지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 "肾者,封藏之本……其充在骨"이라 하여, 인체의 간신이 부족하면 근맥을 유양할 수 없어 비병이 생긴다. <诸病源候论·风湿痹候>에서는 "血气虚,则受风湿,而成此病"고 하여, 몸에 기혈이 부족하고 정혈이 부족하면 몸은 외부의 사기에 대항할 수 없고 병도 생긴다. 그리고 풍한습의 사기, 경부의 외상, 만성 피로 등이 외인이 된다. <素问>에 “风寒湿三气杂至,合而为痹也"라 했다. < 证治准绳>에는, “颈项强之证多由邪客三阳经也,颈项强急,发热恶寒,脉浮而紧,此风寒客于阳经也”이라 했다.(경항 강직의 증상은 대부분 사기가 삼양경을 침범하여 발생하여, 경항강직, 발열오한, 부막과 긴맥 등이 있고, 이는 풍한의 사기가 양경을 침범한 것이다). 풍한습의 사기가 이 병의 외부 요인이다. 주로 풍한습 사기의 침범으로 근맥과 기혈이 막히고 그 순행이 원활하지 않아 사지와 관절이 마비되고 뻣뻣해지고 통증 등이 수반된다. 동시에, 외상, 염좌, 낙침 등으로 근맥이 손상되고, 기의 흐름이 막혀 기혈 근맥이 막힐 수 있다. 노동과 휴식의 부적절, 정기의 손상 등으로 방어 체계가 약해질 수 있다. 머리를 숙인 채 책상에 오랫동안 몸을 굽히면 목에 과부하가 걸려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불편과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경추증은 本虚标实의 증에 속하는 것으로, 양기 부족과 간신의 허손이 본이고, 외사의 침입이 표가 된다. 병인의 핵심은 풍한습의 외사, 풍합습의 외사, 장기의 노손, 양기 부족, 간신의 허약, 기혈 부족, 근맥의 유양실조, 경락의 막힘, 불통으로 인한 통증이다.

 

3. 경추척추증 치료를 위한 '목8침'

 

沈씨의 "목8침"은 장기간의 임상 경험을 통해 확립된 경추증 치료에 효과적인 침술 포인트를 말한다. 그는 양기 부족이 경추 척추증이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양기는 인체에서 온조, 추동, 흥분, 승등, 발산 등의 작용을 갖는데, 양기가 고갈되면 온조의 작용을 잃어 외사에 저항할 수가 없게 되고, 지절의 온양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신체의 이완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그는 "양의 관점에서" 경추척추증을 치료하는 관점에서[3], 치료에서 무엇보다 양기를 강화하고 사기를 제거하고 기혈 순환을 촉진하며 경락 막힘을 해소하여 통증을 완화하는데 중점을 둘 것을 강조했다. '풍한습의 사기가 삼양경(양명, 소양, 태양경)을 침범'에 있다고 하였듯이, 외부 사기가 몸 안으로 들어오면 경락이 막혀서 기(気)가 작용하지 못하고, 사기가 몸 안에 머물러서 배출되지 못하고 경락이 막혀서 통증이 생긴다는 것이다.

 

임상에서 '목8침'으로 선정된 8개의 경혈은 다음과 같다. 목 양쪽 C2 , C4 , C6(제2, 4, 6 경추) 극돌기 아래 정중선 외방 2촌의 6개의 경험적 경혈과 아문, 대추[4]. 임상 결과, 이들 8개 경혈에 대한 침술은 경추척추증 환자의 목 통증 증상을 상당히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의 기분을 개선하고 심리 상태를 조절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 5 ].

 

陈以国 교수는 경추는 뇌와 몸통을 연결하는 허브로 상체와 하체 간의 소통과 기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6 ]. 양기의 분포, 기혈의 순환은 이곳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목 관절염을 치료할 때는 이 부위의 기혈, 양기의 흐름이 원활한지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수한 경혈로서, "목8침"의 치료 메커니즘은 목 양쪽 C2, C4, C6 극돌기 아래의 여섯 개의 경험적 경혈이 종종 경추증 환자의  압통점이 된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족태양방광경락 근육 부위에 위치하며, 근맥을 온조하고 목의 기혈 막힘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으며, 국소 진통 작용도 한다[ 7 ]. 아문과 대추의 2혈은 모두 독맥에 위치하는데, 독맥은 양경의 바다이며 전신의 양을 지휘하는 기능이 있다. 이 두 지점에 침을 놓으면 양기를 자극하고 근맥을 온조해 준다. 아문, 대추 및 6가지 경험혈을 결합하면 경락의 기를 순환시키고, 양기를 강화하며, 뇌수를 보익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해부학적 관점에서, 아문과 대추혈 아래의 표층 조직은 승모근과 경추인대이고, 심부 조직은 경신경과 척추외정맥총이 있어, 이 두 혈에 대한 침술은 경배부의 긴장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경부의 미세순환을 조절하고, 국소 조직의 허혈 및 저산소 상태를 개선하고, 경부의 기계적 균형을 조절하여 통증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4. 경추 척추증을 치료하기 위한 근근막 트리거포인트의 자침술

 

근근막의 통증유발점은, "트리거 포인트"라고도 불려지는데, 영향을 받는 골격 근육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 부위에서 끈과 같은 결절을 느낄 수 있고, 쥐거나 누르면 산창감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트리거포인트는 원위 조직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빠른 자극 시 국소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위치, 분포, 형성 기전의 차이로 인해 근근막 트리거포인트는 침술 이론의 "아시혈"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8 ]. 황제내경에서 아시혈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누르면 나타나는 일반적인 임상적 신체 감각 외에도 촉지 시의 결절, 끈모양의 경결, 丘疹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피부 부위 등도 아시혈이라고 할 수 있다. 근막 트리거포인트는 골격근에 명확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비정상적인 근섬유가 모여 형성된 병리학적 생성물이다. 이를 감지하는 기준에는 통증점, 긴장된 띠, 통증의 전이 및 국소 근육 경련 반응 등이 포함된다[ 9 ]. 근막 통증유발점은 신체에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하고 다양한 통증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는데, 경추척추증이 그 중 하나이다.

 

경부 척추증 환자를 임상적으로 검사해 보면, 경부 척추증이 발생하면 목, 등, 어깨에 근막 통증유발점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흉쇄유돌근, 승모근, 두판상근, 대후두직근, 소후두직근, 사각근, 견갑거근, 극상근, 극하근 등 경견부 근군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근육에는 풍지, 경추 협척, 견정, 천종, 견정 등 경추증의 전통적 침술 치료에 활용되는 경혈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혈을 통해 경추증을 치료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임상 실습에서, 근근막 통증유발점을 활용하여 경부 척추증을 치료하는데, 근육의 통증유발점을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 : 풍지혈 자침 시에는 두협근, 대소직근, 두상하사근 등의 통증유발점을 탐색하고, 경추 관절부 통증점에 대응하는 경추 협척혈 자침 시에는 승모근 상부의 경각처, 견갑거근의 근근막 통증유발점을 탐색하며, 견정혈 자침 시에는 승오금 경견부, 극상근의 근막 통증유발점을 탐색하고, 천종혈 자침 시에는 극하근의 근막통 유발점을 탐색하고, 견정혈 자침 시에는 삼각근 후부, 대원근 근막의 통증유발점을 탐색한다. 통증유발점에 자침한 후, 빠르게 제삽하여 근육 조직의 긴장을 완화하고 통증을 경감하며 긴장을 내려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을 통해 국소 및 원위부 관련 통증을 빠르게 완화할 수 있다.

 

黄春华[ 11 ]은 경항부 근막 통증유발점에 침술을 시행한 후 환자의 통증 정도와 혈청 염증인자 수치가 치료 전에 비해 현저히 감소했으며, 증상 개선 및 혈청 인자 감소가 전통 침술만을 시행한 경우보다 현저히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그 작용 기전은 주로 침술로 트리거포인트를 비활성화하고, 혈청 내 인터루킨-1과 TNF-a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말초 수용체의 통증 민감성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진통 효과를 얻는 것이다. Da, Silva 등[ 12 ]은 침술이 면역세포와 염증 유발 인자의 방출을 억제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켜 국소 근육 부종을 감소시키고 조직 손상 복구 및 구조적 재건을 촉진한다고 본다.

 

임상적 작용 측면에서도 트리거포인트의 자극 작용은 전통적인 경락 경혈의 작용과는 차이가 있다. 근막통증의 트리거포인트에 침술을 시행할 때는 침점의 선택, 자침의 방향, 자극 기법, 강도 등에 주의해야 한다. 彭增福[ 13 ]은 임상에서 트리거포인트에 대한 촉진 위치에는 매끄러운 촉진, 꼬집는 촉진, 깊은 촉진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고 한다. 트리거포인트에 대한 자침 시에 제삽의 방향이 근섬유 방향과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 트리거포인트에 대한 침술과 반복적인 제삽은 경련이 없거나 국소 조직 긴장이 감소할 때까지 국소 경련 반응을 생성한다. 트리거포인트가 올바르게 자극되면 긴장된 근육 내부의 수축된 근육 묶음이 이완되고 근막이 비교적 정상적인 생리학적 상태로 회복되며 국소적인 기계적 균형이 개선되어 상당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큰 골격근에 대한 침술의 경련 반응은 비교적 명확하지만, 작은 근육군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육안으로는 경련 반응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포인트 침술을 시행할 때는 왼손의 검지와 엄지를 침이 삽입된 피부 주위에 두고 손가락 아래에서 약간의 경련 반응을 느껴야 한다. 또는 환자가 경련 느낌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한다. 근막통증 유발점에 대한 침술 후 일부 환자는 근육 통증과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소 허혈 압박을 가하거나 환자에게 탄성 밴드를 사용하여 저부하 훈련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14 ]. 徐安乐[ 15 ]은 허혈 조작의 압박 후 국소 근육 조직에 반응성 충혈을 유발하고, 국소 산성 환경을 개선하고,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농도를 증가시키고, 아세틸콜린의 정상적인 가수분해를 촉진하고, 통증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저부하 운동은 트리거포인트 침술 후의 통증과 부기를 줄이고 근육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침술 후 통증에 대한 개입은 수술 후 환자의 신체적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으며, 임상 치료에 중요한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다.

 

5. 치료 사례

 

48세 여성 환자, 2024년 1월 13일에 처음 병원 방문.

주된 증상 : 반복적인 경항부 통증에 왼쪽 상지의 방사성 감각 마비와 통증이 동반되었으며, 3일 동안 악화되었다. 환자는 6개월 전 장기간 책상에서 일한 탓에 목에 산통이 있었고, 왼쪽 상지에 방사성 마비와 통증이 있었으며, 손가락 끝에 가끔 마비와 불편함이 있었다고 호소했다. 스스로 목을 움직인 후 손가락 끝의 불편함은 완화되었다.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마사지숍에서 목 마사지 치료를 받은 후, 목과 왼쪽 상지의 증상이 약간 완화되었다. 환자는 3일 전 밤에 책상에서 일하다가 감기에 걸려 목에 통증과 불편함을 느꼈고, 왼쪽 상지에 뚜렷한 방사통이 있었다. 그는 진단과 치료를 위해 외래 진료소에 왔다.

현재 증상 : 목의 통증, 방사성 무감각 및 왼쪽 상지 통증, 머리를 숙이거나 감기에 걸린 후 증상이 악화되고, 가끔 현기증과 양쪽 어깨 통증이 있고, 메스꺼움이나 구토는 없으며, 가슴이 답답하거나 심계항진하고, 기침이나 가래가 없고, 피로나 다른 불편함이 없다. 식단은 정상적이고, 수면은 괜찮고, 배변도 정상이다.

중의학 진단 : 혀가 검고, 혀밑 정맥에 푸른 멍이 보이며, 털이 희고, 맥박이 가늘다.

전문 신체 검사 : C2 ~ C3 , C3 ~ C4 , C5 ~ C6 경추 극돌기 옆에 압통이 있니다 . 척추 주변 근육에서 뚜렷한 끈과 같은 변화를 느낄 수 있으며 국소 근육 긴장도가 높다. 통증은 좌측 목 굽힘 시 더 심해진다.

경추의 전후방 및 측면 엑스레이 검사 결과 : 경추 퇴화.

중의학 진단 : 목의 비통(기체혈어형)

서양의학 진단 : 경부 척추증성 신경병증.

치료: 목의 근막통증 유발점에 "목8침"과 침 치료를 실시. 구체적인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를 엎드려 눕히고 목을 완전히 노출시켜 일상적인 소독을 하고, 목 양쪽의 C2, C4 및 C6 극돌기 하 정중선 외방 2촌 경험혈을 취하여, 경추향 45도 사자하여 횔돌기에 이르도록 0.5~0.8촌 자침, 아문과 대추혈에 0.5~0.8촌 자침한 다음 평보평사의 염전자극을 가하고 득기 후 유침. 경항부 통증유발점을 촉진하여 동통점을 자침점으로 삼는다. 풍지혈, 5경추 협척혈, 견경혈, 견정혈을 취하여 통증유발점을 찾아 국소의 근 긴장이 만들어진 근육에 수차례 제삽 자극하는데, 국소 동통이 경감되고 긴장감이 감소될 때까지 제삽 자극을 가한 후 유한다. 매 번 30분씩, 격일로 치료한다. 동시에 환자에게 어깨와 목에 탄력밴드 스트레칭 운풍한의 사기를 피하도록 조언함.

두 번째 방문은 2024년 1월 16일. 환자는 목 통증, 왼쪽 상지의 감각마비 및 통증 증상이 현저히 완화되었고, 목을 움직이면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보고했다. 이전과 동일한 처방으로 침 치료를 계속함. 환자에게 귀가 후에도 기능적 운동을 계속하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도록 조언.

2024년 1월 20일, 환자는 마지막 침 치료를 받은 후 통증과 불편함 증상이 사라졌고, 목의 운동 범위가 기본적으로 정상이었으며, 다른 특별한 불편함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주: 환자는 중년 여성으로 공무원으로 사무실에 오래 앉아 있고, 종종 책상에서 일한다. 그 결과 목이 뻐근하고, 양기가 부족하고, 근골을 온양할 수 없다. 기혈이 막히고, 경락이 막혔으며, 외부 사기의 공격을 받아 목에 통증이 만들어졌다. 주치는 환자의 업무가 목에 장기간 부담을 주어 국소 기혈 순환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한 목은 독맥이 순행하는 곳이며 경락이 막혀 양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그런 상황에서 환자는 외부 풍한의 사기에 침범당하고 양기가 약해지고 사기가 머물러 목이 온조를 잃어 질병으로 이어졌다. 치료는 양기를 강화하고 경락을 흐르게 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기혈을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하므로 "목8침"을 선택한다. 동시에 환자는 어깨와 목에 뚜렷한 압통점이 있고, 누르면 말단 상지로 방사 감각이 있으므로 풍지혈, 제3, 제5 경추 협척혈, 견경혈, 견정혈을 추가하여 피하 근막 통증 트리거포인트를 찾아 자침하여 근육 긴장을 줄이고 국소 염증 반응을 완화하며 통증 증상을 개선한다. 풍지혈은 내외의 풍사를 제거해 준다.

 

6. 정리

 

현재 경추 척추증성 신경근병증에 대한 다양한 임상적 치료법이 있다. 비수술적 치료법 중 하나인 침술은 임상적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주치의 胡中平은 전통 침술이 경추 척추증의 척추 신경근증 치료에 실제로 효과적이라고 믿지만, 많은 환자가 보다 더 단시간 내에 통증을 완화하고 증상을 개선하고자 한다. 따라서 "목8침"은 현대 의학의 "근막 통증 트리거포인트"와 결합된 치료 방법이다. 트리거포인트가 자극되면 국소 및 원위부 관련 통증이 단시간 내에 개선될 수 있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물론 목 기능 운동과 생활 방식 조정도 요구된다. 

 

 

参考文献

[1] 董志锋, 任春贞. 颈椎病治疗的研究进展[J]. 世界最新医学信息文摘, 2018, 18(16): 105+113.
[2] 王天平. 非甾体类药物致上消化道出血高发因素的原因分析[J]. 大家健康(学术版), 2014(1): 183.
[3] 樊文朝, 沈卫东. 沈氏“项八针”从阳论治颈椎病理论浅析[J]. 陕西中医, 2019, 40(2): 253-256.
[4] 沈卫东, 马文, 王莹, 等. “项八针”防治颈椎病的临床研究总结[C]//中华中医药学会. 中华中医药学会第六次民间医药学术年会暨首批民间特色诊疗项目交流会论文集. 上海: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针灸科, 2013: 7.
[5] 冯罡. “项八针”联合改良关节松动术对神经根型颈椎病患者颈痛及生活质量的影响[J]. 颈腰痛杂志, 41(4): 490-492+495.
[6] 李萍, 陈以国. 陈以国运用针药结合疗法治疗颈椎病经验[J]. 中国民间疗法, 2021, 29(9): 42-44.
[7] 关啸, 崔晓光. 针刺镇痛的研究进展[J]. 医学综述, 2019, 25(24): 4972-4975+4980.
[8] 宋雨洁, 王娟, 张文锐, 等. 阿是穴理论初探[J]. 吉林中医药, 2024, 44(3): 361-364.
[9] 阎思宁, 阎杰. 阿是穴与肌筋膜触发点异同辨析[J]. 亚太传统医药, 2020, 16(9): 185-187.
[10] 谭树生, 庄小强, 黄强民, 等. 针刺肌筋膜疼痛触发点治疗颈椎病疗效观察[J]. 广西中医药, 2012, 35(5): 13-15.
[11] 黄春华, 刘汉顺, 崔竟成, 等. 针刺肌筋膜疼痛触发点治疗神经根型颈椎病临床疗效观察[J]. 安徽中医药大学学报, 2023, 42(4): 44-48.
[12] da Silva, M.D., Bobinski, F., Sato, K.L., Kolker, S.J., Sluka, K.A. and Santos, A.R.S. (2014) IL-10 Cytokine Released from M2 Macrophages Is Crucial for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cupuncture in a Model of Inflammatory Muscle Pain. Molecular Neurobiology, 51, 19-31.
https://doi.org/10.1007/s12035-014-8790-x
[13] 彭增福. 激痛点针刺疗法操作特点及其启示[J]. 云南中医学院学报, 2009, 32(5): 55-58.
[14] 黄强民. 肌筋膜触发点及肌筋膜疼痛综合征[J]. 颈腰痛杂志, 2004, 25(5): 360-362.
[15] 徐安乐, 黄强民, 嵇丽娟, 等. 缺血性按压治疗肌筋膜疼痛综合征的研究现状[J]. 按摩与康复医学, 2018, 9(16): 89-93.

 

 

*아래 참조

 王思颖 등, “项八针”结合肌筋膜疼痛触发点治疗神经根型颈椎病经验总结, 2024.8

(https://www.hanspub.org/journal/paperinformation?paperid=94366)

 沈卫东, “项八针”治疗神经根型颈椎病颈痛疗效观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