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5 2

2/25일 오늘의 한시/ 밭둑 태우기 -黃玹

燒田(소전)/ 밭둑 태우기白竹長竿碎作炬 백죽장간쇄작거兒童噀火出門去 아동손화출문거放膽今夕爲火戱 방담금석위화희家翁肫肫不嗔汝 가옹순순부진여溪南坡隴如衲紩 계남파롱여납질先從低田斜遵渚 선종저전사준저草枯風細燃不休 초고풍세연불휴分外熛颯如着絮 분외표삽여착서羣兒眼薰類迷藏 군아안훈유미장冒烟還走烟深處 모연환주연심처ᆢ*횃불 거, 뿜을 손, 쫓을 준, 불똥 표, 바람소리 삽마른 대나무 장대 쪼개서 횃불 만들어아이들이 불 태우며 문밖으로 나가네오늘 밤엔 대담하게 불놀이에  나서도할애비도 온화할 뿐 나무라질 않네시내 남쪽 밭둑이 꿰맨 승복처럼 너덜너덜낮은 밭에서 시작해 냇가 따라 번져가네잔잔한 바람에 마른 풀이 줄곧 타들어가더니솜에 불 붙은듯 불똥이 엉뚱하게 날리네아이들은 눈이 매워 숨바꼭질하듯연기 피하려다 도리여 자욱한 곳으로 달..

침술의 자침 각도, 방향 및 깊이에 대하여

침술의 자침 각도, 방향 및 깊이에 대하여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는 침이 피하 조직에 삽입된 후의 구체적인 시술 기법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침술 시술 시, 올바른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를 익히는 것은 침감을 얻고, 보사법을 수행하여, 침술 효과를 발휘하거나 그 효과를 향상시키며, 또 침술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항목이다. 정확한 경혈 선택은 피부 표면의 위치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올바른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를 결합하여 경혈의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따라서 경혈을 단순히 작은 점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경혈에 대한 입체적인 개념을 가져야 한다. 임상에서 동일한 경혈에이라 하더라도 자침의 각도, 방향, 깊이가 달라지면 닿는 조직의 구조, 생성되는 침감, 치료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