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학 이야기/해외 동의학 뉴스

침의 효과에 대해.. (영국)

지운이 2017. 11. 22. 16:00

침의 효과에 대해..

 (*OUPblog/ 2017.03.09.. 영국)

 

 

침술은 수천 년 전에 중국에서 시작된 의학적 요법으로 생리학에 대한 현재의 이해를 앞서가는 철학에 바탕을 둔 복잡한 실행 의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특히 전기 자극과 결합될 경우, 치료의 개입 자체가 주변에 집중된 신경 변조 치료법과 크게 겹친다. 많은 임상연구기관에서 만성 통증 장애에 대한 침술을 연구하여 침술이 가짜 침술(예 : 삽입되지 않은 바늘)보다 약간이나마 더 좋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통증 정도를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지만 그 크기는 그다지 크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의문이 남는다. 침은 어떻게 작동할까? 만성 통증에 대한 생리학적(즉, 객관적인) 결과를 개선하는데 침술이 더 효과적일까?

많은 임상연구가 이루어진 후에도 침술이 위약(플라시보)과 다른 지 여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확실히 피부 수용체를 통해 두뇌에 입력을 보내는 가짜침(바늘 삽입이 없는)은 특정 의식과 결합된 가짜 장치로써, 예를 들어 위약 약물보다 강력한 플라시보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 그러나 그러한 증상 개선효과는 실제 침술과 비교하여 완전히 다른 생리학적 기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메커니즘은 병리생리학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적화할 수도 있다 .

대부분의 만성 통증 장애는 확립된 바이오 마커 또는 객관적인 결과를 결여하고 있다. 그러나 신경병증성 통증 장애인 수근관증후군 (CTS)의 경우 말초신경에 기반한 결과임이 잘 입증된다. 이러한 결과는 포착신경병증인 CTS로 인한 국소 빈혈과 섬유화로 고통받는 정중신경의 생리학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CTS에서 영향을 받는 것은 손목의 신경이 아니다. 연구에 의하면 뇌, 특히 1차 체성감각 피질(S1)이 CTS에 의해 재맵핑된다는 것이 명확하게 증명되었다. 우리의 파일럿 침술 신경영상 연구에 이어 , 최근의 연구는 CTS에 대한 최초의 가짜 제어 신경 영상 침술 연구이다 . 우리의 결과는 실제와 가짜 침술이 CTS 증상을 개선시켰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객관적 / 생리적 결과(손목과 뇌 모두)는 실제 침이 가짜침에 비해 특별한 개선을 보였으며 CTS 증상의 장기적인 개선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우리의 결과는 천식 대한 albuterol 흡입기에 대한 최근의가짜 제어 연구와 유사하며, 증상 완화, 객관적인 생리적 결과(즉, 강제적인 날숨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폐활량 측정)와 관련하여 가짜침술 및 위약 흡입기가 알부테롤 흡입기만큼 효과적 이었지만, 호흡량은 알부테롤만이 의미있는 개선을 보였다. 따라서 가짜 침술은 뇌의 알려진 플라시보회로를 조절하여 "효과를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실제 침술은 일차 체성 감각 피질을 재연결함으로써 또 손목의 말초신경에 국부 혈류를 조절함으로써 증상을 개선시키게 된다. 즉, CTS의 말초 및 중추 신경의 생리학적 변화는 더 오래 지속되고(가짜 침과 비교하여) 뇌에 대한 조절된 입력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침의 개입으로 중단되거나 역전될 수 있다. 미래의 장기간의 신경 영상의학 연구가 탐구해야 할 것인지도 모른다 .

흥미롭게도, S1에는, 여러 신체 부위가 공간적으로 뚜렷한 피질 영역에 나타난다. 실제로,이 신체 특정지도는 침술을 위한 "침점 특성"의 조잡한 형태를 위한 기반이 될 수도 있다  - 물론 확실히 논쟁적인 주제가 되겠지만. 현재 연구에서, 우리는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손목에 국한된 침을 반대쪽 발목을 겨냥한 침과 비교함으로써 이 추측 가설을 평가하였다. 우리의 결과는 국소부침 및 원위부의 침이 모두 중추신경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국부 및 원위부 침 치료(즉, 손목 및 다리 S1 피질로 표현되는)에 의해 구체적으로 표적화되는 S1 하위 영역의 신경가소성이 치료 받는 손목에서 중추신경 기능의 개선과 관련이 있음을 제시했다.

우리의 연구는 침술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계이지만, 침 진통에 대한 객관적 / 생리학적 및 주관적 / 심리적 결과로 연결되는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단 우리가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침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더 잘 이해하면, 만성통증 환자에 대해 효과적이고 비약리학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치료법을 더 잘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芝雲 譯)

.........................

가시원문은 아래..

https://blog.oup.com/2017/03/sham-acupuncture-s1-remapping/

How does acupuncture work? The role of S1 remapping

 

 

Acupuncture is a medical therapy that originated in China several thousand years ago and is rooted in a complex practice ritual based on a philosophy that predates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physiology. Despite its long history, though, the intervention itself, particularly when coupled with electrical stimulation, significantly overlaps with many conventional peripherally-focused neuromodulatory therapies. A large body of clinical research has explored acupuncture for chronic pain disorders, demonstrating that acupuncture may be marginally better than sham acupuncture (e.g., non-inserted needles) in reducing pain ratings, but with small effect size. Still, several questions remain: how exactly does acupuncture work? Is acupuncture any better at improving physiological (i.e., objective) outcomes for chronic pain?

Even after so much clinical research, controversy persists as to whether or not acupuncture differs from placebo. Sham (non-inserted needle) acupuncture, which certainly sends inputs to the brain via skin receptors, is a sham device coupled with specific ritual and may thus produce a stronger placebo effectthan, for example, a placebo pill. However, such symptom improvements may occur due to completely different physiological mechanisms compared to real acupuncture, whose mechanisms may more specifically target pathophysiology.

Most chronic pain disorders lack established biomarkers or objective outcomes. However, for carpal tunnel syndrome (CTS), a neuropathic pain disorder, local peripheral nerve-based outcomes are well established. These outcomes reflect physiology of the median nerve, which suffers from ischemia and fibrosis due to CTS, an entrapment neuropathy. Moreover, it’s not just the nerve in the wrist that’s affected in CTS. Research ha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brain, and particularly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S1), is re-mapped by CTS. Following up on our pilot acupuncture neuroimaging study, our recent study is the first sham-controlled neuroimaging acupuncture study for CT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both real and sham acupuncture improved CTS symptoms. However, objective/physiological outcomes (both at the wrist and in the brain) showed specific improvement for acupuncture, compared to sham acupuncture, and were linked to long-term improvement in CTS symptoms.

Basic Acupuncture by Kyle Hunt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Our results are analogous to a recent sham-controlled study of albuterol inhaler for asthma, which demonstrated that, while sham acupuncture and placebo inhaler was as effective as an albuterol inhaler in terms of symptom reduction, objective physiological outcomes (i.e., spirometry to assess forced expiratory volume)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for albuterol. Hence, sham acupuncture may “work” by modulating known placebo circuitry in the brain. In contrast, real acupuncture may improve symptoms by re-wiring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in addition to modulating local blood flow to the peripheral nerve in the wrist. In other words, both peripheral and central neurophysiological changes in CTS may be halted or even reversed by electro-acupuncture interventions that provide more prolonged (compared to sham acupuncture) and regulated input to the brain – something that future longer-term neuroimaging studies should explore.

Interestingly, in S1, different body areas are represented in spatially distinct cortical regions. In fact, this body-specific map may serve as the basis for a crude form of “acupoint specificity” for acupuncture – a controversial topic, for sure. In the current study, we evaluated this speculative hypothesis by also comparing acupuncture local to the most-affected wrist with acupuncture targeting the opposite ankle. Our results suggested that both local and distal acupuncture improve median nerve function, and that neuroplasticity in S1 subregions specifically targeted by these local and distal acupuncture interventions (i.e. wrist and leg S1 cortical representations, respectively) were linked to improvements in median nerve function at the wrist following therapy.

While our research is an important step toward understanding how acupuncture works, more research linking objective/physiological and subjective/psychological outcomes for acupuncture analgesia needs to be performed. once we better understand how acupuncture works to relieve pain, we can better optimize this therapy to provide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care for chronic pain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