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의 이해
인체는 호흡과 순환 등의 생명을 유지하는 일과 같은 식물성 기능과, 걷거나 생각하는 것과 같은 사람으로서의 활동에 관련된 동물성 기능이 존재한다. 자율신경계는 식물성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식물성 기능은 의사와는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인체의 생명/생리 활동에 기초가 되는 것이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분되는데, 교감신경계의 활동이 크면 인체는 활동상태(흥분상태),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이 크면 인체는 휴식상태(릴렉스상태)로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율신경을 구성하는 뉴런은 통상 절전뉴런과 절후뉴런이 있다. 절전뉴런은 중추에서 신경절까지의 신경섬유(절전섬유)를, 절후뉴런은 신경절에서 시냅스 교체가 이루어진 다음 통상목표장기로 계속되는 신경섬유(절후섬유)로 구성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절전섬유(절전뉴런)에서 차이가 난다. 교감신경 절전섬유는 흉신경과 상위 요신경에 각각 포함되며, 부교감신경 절전섬유는 動眼신경, 안면신경, 舌咽신경, 미주신경, 천골신경(S2 ~ S4)에 각각 포함된다.
또한 신경절에서도 차이가 난다. 교감신경은 신경절-목표기(장기)가 크게 떨어진 경우가 많아, 긴 절후섬유(節後뉴런)를 갖는다. 부교감신경은 신경절-목표기 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개 짧은 절전섬유를 갖는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중요한 차이점은 절후섬유에서 나오는 전달물질이 다르다는 점이다. 교감신경 절후섬유의 전달물질은 노르아드레날린, 부교감신경 절후섬유의 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으로 대표되며, 이 전달물질의 작용으로 각각에 고유한 작용을 하게 된다.
-교감신경
척추의 측면에 좌우 1쌍의 교감신경간이 존재한다. 교감신경간은 각 신경절이 節間枝라는 끈에 의해 상하로 연결된 것이다. 신경절에는 뉴런이 모여 있는데, 이 신경절에 모인 뉴런은 중추에서 오는 절전섬유를 받은 것이다. 반면 그리고 이 신경절을 지나 절후섬유를 거쳐 말초로 펼쳐진다. 교감신경간-척수신경 사이는 교통지가 연결한다. 교통지를 경로로 신경절의 신경세포가 절전섬유를 받아 신경절의 뉴런의 돌기를 절후섬유로 보낸다.
척수 중 頸髄 하단에서 腰髄의 상단까지의 측면 기둥에서 교감신경의 절전섬유가 시작된다. 그후 전근을 통과한다. 척수에서 나온 절전섬유는 교통지를 거쳐 간신경절로 들어간다.
두경부
경부의 교감신경간에는 상경신경절, 중경신경절, 하경신경절 3개의 신경절이 있다. 각각의 경신경절에서 나온 가지는 두경부 및 상지로 분포한다
흉부
흉부의 교감신경간에는 흉신경절이 10~20개 정도 존재한다. 흉신경절에서 나오는 가지는 기관, 식도, 심장 등에 분포한다
요부
요부의 교감신경간에는 요신경절이 4~ 5개 정도 존재한다. 요신경절의 분지는 복부의 내장과 하지에 분포한다. 또 요신경절은 척수신경을 향해 가지를 펼치고 있다.
천골부, 미골부
합해서 6개의 신경절이 있다. 그 신경절에서 나오는 섬유는 직장의 하부 등에서 신경총을 구성하고, 또한 골반내장 등에 분포한다
-부교감 신경
動眼신경, 안면신경, 舌咽신경, 미주신경, 천골신경(S2~S4)은 각각 부교감신경 절전섬유를 포함한다.
動眼신경은 모양체신경절에서 절후섬유가 나와 안구로 들어간다. 그 후 동공괄약근과 모양체근에 각각 분포한다
안면신경은 절전섬유가 중간신경에 포함되며, 그로부터 하나는 안면신경슬 → 대추체신경의 순서를 거쳐 익구개신경으로 이어지고, 익구개신경절에서 나온 절후섬유는 눈물샘 코샘 구개샘 등에 분포한다. 다른 하나는 鼓索신경 → 설신경을 거쳐 악하신경절로 이어지고 악하신경절에서 나온 절후섬유는 설하샘과 악하샘에 분포된다
舌咽신경은 이(귀)신경절로 연결, 이신경절에서 나온 절후신경은 이하선에 분포한다.
미주신경의 경우는, 골반 내장을 제외한 경부, 흉부, 복부의 각각의 내장에 분포한다. 즉 신경핵에서 기시하여 체간으로 내려온 다음, 여러 경로로 심장, 폐, 기관 및 식도와 같은 흉부내장, 위, 장, 간, 췌장, 부신과 같은 복부내장 부근에 있는 종신경절에서 연접, 해당 장기에 분포하는 것이다.
천골신경은 천골(S2~S4) 측면 기둥의 세포에서 절전섬유가 나오고, 그 절전섬유는 전지를 통과하여 천골신경으로 연결된다. 천골신경에서 골반내장신경 또는 발기신경이 갈라져 나온다. 골반내장신경은 골반신경총 안의 신경절에 들어간 다음, 절후섬유로 이어져 하행결장 및 직장 등의 기관에 분포한다.
'동의학 이야기 > 학습방-인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멜라토닌의 이해 : 항산화작용과 항암효과 (0) | 2019.11.19 |
---|---|
통증억제기전과 도파민 (0) | 2019.11.07 |
뉴런이란? (0) | 2019.09.04 |
자율신경과 장기의 연관 (0) | 2019.09.02 |
부교감신경과 아세틸콜린 (0) | 2019.08.30 |